|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42 |
25 |
2015-12
16736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47 |
0 |
2014-05
5139147
1 정은준1
|
35401 |
제가 사고를 친거 같은데요... CCR1009-7G-1C-1S+PC이거랑 DS2015xs를 질렀습니다. (7) |
류승완 |
2017-04 |
4105 |
3 |
2017-04
4105
1 류승완
|
35400 |
블루스크린 도와주세요 ㅠㅠ (10) |
냠냠이 |
2015-07 |
4105 |
0 |
2015-07
4105
1 냠냠이
|
35399 |
베터리 불량인건가요 ? (7) |
캔위드 |
2017-09 |
4105 |
0 |
2017-09
4105
1 캔위드
|
35398 |
초고속인터넷 가입시 같은주소? (6) |
NGC |
2016-07 |
4105 |
0 |
2016-07
4105
1 NGC
|
35397 |
이런 형태의.. (4) |
황진우 |
2015-04 |
4105 |
0 |
2015-04
4105
1 황진우
|
35396 |
데스크탑 대용으로.... (12) |
jacks |
2017-10 |
4105 |
0 |
2017-10
4105
1 jacks
|
35395 |
전압 강하 문의 (2) |
Nikon |
2015-06 |
4105 |
0 |
2015-06
4105
1 Nikon
|
35394 |
usb커넥터 이건 어디서 사야할까요? 수리가능한곳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6) |
머리감자 |
2018-04 |
4105 |
0 |
2018-04
4105
1 머리감자
|
35393 |
100TB용량의 파일시스템은 어떤것을 사용하시나요? (21) |
HEUo김용민 |
2019-03 |
4105 |
0 |
2019-03
4105
1 HEUo김용민
|
35392 |
M2-802L B207 펌웨어 도움 부탁 드립니다. (2) |
PCMaster |
2021-04 |
4105 |
0 |
2021-04
4105
1 PCMaster
|
35391 |
기가비트랜공유기 구매하려는데 추천좀 해주실분 계신가요. (6) |
박초롱 |
2015-08 |
4105 |
0 |
2015-08
4105
1 박초롱
|
35390 |
클라우드 업체는, 자료 백업을 할까요?? (5) |
LSSAH |
2018-05 |
4105 |
0 |
2018-05
4105
1 LSSAH
|
35389 |
[질문]혹시 감나무 언제 쯤 새순이 나오는지 아시는 분 있나요? (1) |
퍼싱글 |
2016-04 |
4104 |
0 |
2016-04
4104
1 퍼싱글
|
35388 |
3647같은 경우는... (7) |
GPGPU |
2020-10 |
4104 |
0 |
2020-10
4104
1 GPGPU
|
35387 |
3.5인치 핫스왑, SSI-EEB 보드, ATX파워 지원되는 케이스는 이것말곤 대안이 없나요 ? (3) |
캔위드 |
2018-09 |
4104 |
0 |
2018-09
4104
1 캔위드
|
35386 |
IDE 도 밖으로 빼는게 가능한가요? (5) |
방o효o문 |
2014-06 |
4104 |
0 |
2014-06
4104
1 방o효o문
|
35385 |
슈퍼마이크로 국내 유통사가 어딘지 연락처 혹시 아시는 분 있나요? (2) |
platon |
2018-07 |
4104 |
0 |
2018-07
4104
1 platon
|
35384 |
Window NT 4.0 패스워드 복구방법 문의? (6) |
푸른달 |
2014-12 |
4104 |
0 |
2014-12
4104
1 푸른달
|
35383 |
가정용 16포트 스위치 허브 가성비 제품 추천해주세요. (10) |
테츠 |
2021-04 |
4104 |
0 |
2021-04
4104
1 테츠
|
35382 |
bx100 ssd 속도느림 |
youngeye |
2015-08 |
4104 |
0 |
2015-08
4104
1 youngeye
|
상환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어 보입니다.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01/2018080102752.html
무슨 거치 대출에서 원금 상환이 시작된다네요
얼핏 들었는데 찾아보니 이 이야기 아닌가 싶습니다
페선생 말씀같네요
DTI
검색해보세요~~^^
대출을 받은 사람들 상당수가 대기업.공기업.공무원 등등 입니다.
원금상환을 차환할 수도 있는 직업군이구요.
중소기업이나 일반 자영업자들은 5억짜리 집에 5천 대출도 안됬습니다.
꿀빠는 대출은 특정 집단들이 가져 갔습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578243
국민은행의 직장인 신용대출(WISE 직장인 대출) 금리는 3.33~4.23%인 반면,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신용대출은 2.52~3.52%였습니다.
여기다 경찰 공무원 대상 무궁화대출은 최저 연 1.9%에 그쳐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투기의 주범이 공무원들이라는 것에 1표 던집니다.
저 같은 사람들은 4%대 금리 씁니다.
대출금리가 오르고, 거치 상환에서 원금 균등 상환으로 바꾸고 있어서 그런거 같네요.
우리나라는 대부분 집에다가 너무 많은 재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재테크라고 하는게 거의다 집에 몰빵 되어 있는 구조의 분들도 많이 있고요.
집값이 떨어지면 전재산에 문제가 생기는 구조지요.. 여기에 대출 이자까지도 영향을 받으니...
빚도 재산이라고 볼수도 있습니다...그만큼 능력이 되어 빌릴수 있으니깐요...
초저금리 대출을 받았다가. 대출 이율만 좀 올려도 대출로 무리하게 사업 하시는 분들과 재테크 하시는 분들에게는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은행이 돈 떼일 만한데다가 돈 을 마이 빌려 주고 그러지는 않겠지요.
대손충당금도 어마어마 하게 쌓아 놓고 있지 않을까 싶어요...
결국 노름판에서 돈을 따는 것은... 삥값 뜯는 하우스가 돈을 가장 안정적이게 많이 벌듯...은행도 돈을 많이 벌겠지요.
그렇지 않은 사람이 없어요 그냥 평생 이거 하나 마련하려고 살았던거 같습니다
집만 보면 좋구 흐뭇하고... 그래서 욕심을 부리는 거 같습니다
말씀처럼 은행 좋은 일만 시키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