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25 |
25 |
2015-12
167402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75 |
0 |
2014-05
5139475
1 정은준1
|
35402 |
개인 컴퓨터 꺼짐문제 도와주세요 (23) |
Lucyed |
2021-12 |
4109 |
0 |
2021-12
4109
1 Lucyed
|
35401 |
SR-IOV가 안됩니다..(하드웨어 모두 지원) (6) |
CPDLC |
2019-03 |
4109 |
0 |
2019-03
4109
1 CPDLC
|
35400 |
바탕화면에 익스플로러 즐겨찾 문의드립니다 (2) |
미수맨 |
2018-01 |
4109 |
0 |
2018-01
4109
1 미수맨
|
35399 |
저도 아수스 p5q 보드 e5450 개조바이오스 좀 부탁드립니다. (2) |
yuyuyu |
2015-04 |
4109 |
0 |
2015-04
4109
1 yuyuyu
|
35398 |
P5Q3-DELUXEWIFI-AP-e5472-삼성양면램12800성공기아주잘됨니다 (((((*^_^/ |
남미화 |
2016-05 |
4109 |
0 |
2016-05
4109
1 남미화
|
35397 |
메모리 Ecc기능이 토글인가요 패시브 인가요? (8) |
Hotswell |
2016-01 |
4109 |
0 |
2016-01
4109
1 Hotswell
|
35396 |
CentOs6.5 설치할 데스크탑 고사양으로 부품추천 부탁드립니다. (11) |
은우마스터 |
2016-07 |
4109 |
0 |
2016-07
4109
1 은우마스터
|
35395 |
다시 정리 해서 질문 드립니다.(스토리지관련) (16) |
naan |
2019-02 |
4109 |
0 |
2019-02
4109
1 naan
|
35394 |
Window NT 4.0 패스워드 복구방법 문의? (6) |
푸른달 |
2014-12 |
4109 |
0 |
2014-12
4109
1 푸른달
|
35393 |
320-2e에서 10 설정하는법 가르쳐주세요 (7) |
노하석 |
2006-10 |
4109 |
23 |
2006-10
4109
1 노하석
|
35392 |
HP P410 512MB BBWC와 동급인 저가형(?!) 콘트롤러는 어떤게 있을까요? (2) |
세가새턴 |
2014-08 |
4109 |
0 |
2014-08
4109
1 세가새턴
|
35391 |
IBM DSA 로그 에서 라이트 패스 이상 생겼을때 |
ADUS |
2014-12 |
4109 |
0 |
2014-12
4109
1 ADUS
|
35390 |
윈10 초창기버전 iso 구할수있는곳 있을까요? (4) |
후리기 |
2018-01 |
4109 |
0 |
2018-01
4109
1 후리기
|
35389 |
nvidia 비디오 카드의 max threads에 대하여 찾아 보고 있는데요. (3) |
하셀호프 |
2016-12 |
4109 |
0 |
2016-12
4109
1 하셀호프
|
35388 |
HP Compaq DC5700 개조제온 성공하신 회원님 계신가요? (4) |
철 |
2014-05 |
4109 |
0 |
2014-05
4109
1 철
|
35387 |
안녕하세요 HFSS 시물레이션에 맞춰서 컴퓨터 구매하려고 하는데 (3) |
깔롱이 |
2018-12 |
4109 |
0 |
2018-12
4109
1 깔롱이
|
35386 |
kt 기가 공유기 사용 문의 (3) |
머라카는데 |
2017-09 |
4109 |
0 |
2017-09
4109
1 머라카는데
|
35385 |
hibernation 때문에 read-only 마운트만 됩니다.. (5) |
윈도우10 |
2015-03 |
4109 |
0 |
2015-03
4109
1 윈도우10
|
35384 |
rtl-sdr 말고 FM 라디오 들을 방법이 있나요? (6) |
구차니 |
2021-01 |
4109 |
0 |
2021-01
4109
1 구차니
|
35383 |
바르게 하고 있는지 봐주세요. (13) |
카르하타 |
2016-03 |
4109 |
0 |
2016-03
4109
1 카르하타
|
상환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어 보입니다.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01/2018080102752.html
무슨 거치 대출에서 원금 상환이 시작된다네요
얼핏 들었는데 찾아보니 이 이야기 아닌가 싶습니다
페선생 말씀같네요
DTI
검색해보세요~~^^
대출을 받은 사람들 상당수가 대기업.공기업.공무원 등등 입니다.
원금상환을 차환할 수도 있는 직업군이구요.
중소기업이나 일반 자영업자들은 5억짜리 집에 5천 대출도 안됬습니다.
꿀빠는 대출은 특정 집단들이 가져 갔습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215&aid=0000578243
국민은행의 직장인 신용대출(WISE 직장인 대출) 금리는 3.33~4.23%인 반면,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신용대출은 2.52~3.52%였습니다.
여기다 경찰 공무원 대상 무궁화대출은 최저 연 1.9%에 그쳐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부동산 투기의 주범이 공무원들이라는 것에 1표 던집니다.
저 같은 사람들은 4%대 금리 씁니다.
대출금리가 오르고, 거치 상환에서 원금 균등 상환으로 바꾸고 있어서 그런거 같네요.
우리나라는 대부분 집에다가 너무 많은 재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재테크라고 하는게 거의다 집에 몰빵 되어 있는 구조의 분들도 많이 있고요.
집값이 떨어지면 전재산에 문제가 생기는 구조지요.. 여기에 대출 이자까지도 영향을 받으니...
빚도 재산이라고 볼수도 있습니다...그만큼 능력이 되어 빌릴수 있으니깐요...
초저금리 대출을 받았다가. 대출 이율만 좀 올려도 대출로 무리하게 사업 하시는 분들과 재테크 하시는 분들에게는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은행이 돈 떼일 만한데다가 돈 을 마이 빌려 주고 그러지는 않겠지요.
대손충당금도 어마어마 하게 쌓아 놓고 있지 않을까 싶어요...
결국 노름판에서 돈을 따는 것은... 삥값 뜯는 하우스가 돈을 가장 안정적이게 많이 벌듯...은행도 돈을 많이 벌겠지요.
그렇지 않은 사람이 없어요 그냥 평생 이거 하나 마련하려고 살았던거 같습니다
집만 보면 좋구 흐뭇하고... 그래서 욕심을 부리는 거 같습니다
말씀처럼 은행 좋은 일만 시키는 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