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332 |
0 |
2014-05
525633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294 |
25 |
2015-12
1781294
1 백메가
|
82911 |
요세 인텔 메인보드들의 내장 VGA 질문 (3) |
방o효o문 |
2013-03 |
5861 |
0 |
2013-03
5861
1 방o효o문
|
82910 |
주니퍼 SRX100 설정 고수님들 제발 도와주세요 (4) |
나요 |
2021-11 |
2564 |
0 |
2021-11
2564
1 나요
|
82909 |
게임용 그래픽 카드 추천 부탁 드립니다. (13) |
인디고 |
2016-12 |
8800 |
0 |
2016-12
8800
1 인디고
|
82908 |
공구한 t20 국내 as 가능한 제품으로 아는데 맞는지요? (2) |
가정선생 |
2016-01 |
3773 |
0 |
2016-01
3773
1 가정선생
|
82907 |
Hyper-v 가상스위치 하고 네트워크 연결 어댑터 갯수가 차이가 납니다 (2) |
케리스 |
2016-12 |
4931 |
0 |
2016-12
4931
1 케리스
|
82906 |
proxy 질문 드립니다. (2) |
김제연 |
2020-06 |
2604 |
0 |
2020-06
2604
1 김제연
|
82905 |
서버램 호환성 질문드립니다 ㅜㅜ!! 레노버 x3500 m5 (8) |
HoneyK |
2021-11 |
2810 |
0 |
2021-11
2810
1 HoneyK
|
82904 |
기가 보드 X399 DESIGNARE EX 보드에서 서버용 메모리 지원 여부 문의 (6) |
다롱이 |
2018-02 |
4831 |
0 |
2018-02
4831
1 다롱이
|
82903 |
아답텍 5405 온도가 높은 것 같은데, 그냥 사용해도 무방할까요? (10) |
재호 |
2014-09 |
9551 |
0 |
2014-09
9551
1 재호
|
82902 |
IPTIME 공유기가 자꾸 죽어요... (23) |
정의석 |
2021-11 |
4904 |
0 |
2021-11
4904
1 정의석
|
82901 |
이집트 구매 윈도우도 그럼 환불해야 합니까? (4) |
늘파란 |
2016-12 |
5836 |
0 |
2016-12
5836
1 늘파란
|
82900 |
LSI MegaRAID 9260-8i vs 9270-8i 차이 많이 나나요 ? (6) |
캔위드 |
2018-02 |
6924 |
0 |
2018-02
6924
1 캔위드
|
82899 |
[긱에어리] 서큘레이터 기판 혹시 알아볼 수 있는 분 계신가요?? (1) |
필스 |
2023-07 |
1932 |
0 |
2023-07
1932
1 필스
|
82898 |
ML110 G7 / RAID 관련 문의입니다 (20) |
이갑부 |
2013-04 |
7000 |
0 |
2013-04
7000
1 이갑부
|
82897 |
슈마 케이스 레일 처리 문제 (2) |
파렌 |
2014-10 |
5396 |
0 |
2014-10
5396
1 파렌
|
82896 |
이미 판매한 pc에 인증된 윈도우키를 날리는 방법이 있을까요? (3) |
luciddream |
2021-12 |
1920 |
0 |
2021-12
1920
1 luciddream
|
82895 |
가상메모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8) |
방o효o문 |
2010-03 |
7811 |
0 |
2010-03
7811
1 방o효o문
|
82894 |
나스 잘 쓰시는 분들... (특히 해놀/시놀) (9) |
강민준1 |
2020-07 |
2742 |
0 |
2020-07
2742
1 강민준1
|
82893 |
강제전선관 절단기? (7) |
뚜뚜김대원 |
2013-04 |
7542 |
0 |
2013-04
7542
1 뚜뚜김대원
|
82892 |
usb3.0온보드단자가 없을때 .. (8) |
라온제나 |
2014-10 |
12456 |
0 |
2014-10
12456
1 라온제나
|
소변볼 때 서서쏴를 하면 그게 다 튑니다.
그리고 소변은 굉장히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기에 곰팡이 배양센터가 됩니다.
그런 식으로 욕식 자체는 습도 온도 양분이 골고루 만족되는 조건이죠
무튼 큰 비용없이 순간건조시키는 것은 모르지만
그 뭐냐 창문닦을 때 쓰는 거 고무 밀대?같은거 있습니다. 그걸로 대충 물기있는 곳을 쓱쓱 물을 정리해주면
안하는 것보다는 낫더군요
정압 환풍기라는게 있어요 샤워시 거울에 성애가 끼지 않는 수준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
공부 하시면 자가 교체도 가능합니다.
댐퍼없이 7만원 정도 하는데요 전동 댐퍼 달린건 10만원쯤 합니다
화장실 문을 닫아도 문틈에 손을 대보면 바람이 느껴질 정도로 환기 성능이 좋습니다.
그걸로 해결 안되면 사실상 아파트 구조적 문제랑 화장실에 물을 너무 많이 튀기고 잡동사니가 많은거에요
제조사 블로그라 광고성이 있는데요 그래도 자사 제품끼리 비교 하면서 수치별로 어떻게 다른지 비교했으니 봐보세요
보통 고급 아파트에 달린 450pa급 정압 환풍기 아니면 그냥 기분 좋으라고 달아 놓은 수준입니다
곰팡이는 락스로 한번 청소 한다고 제거 되고 그런게 아니더라구요...(자주 해야 하는데 이게 또 귀차나서..)
집사람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 곰팡이 핀곳에 키친타올에다가 락스 담거서 붙혀 놓더라구요...
그냥 청소만 해서 안되고 키친타올에 락스 해서 하루정도 붙혀 놓으면 속에 있는 곰팡이 까지 다 죽는다고 하더라구요...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jum&query=%ED%82%A4%EC%B9%9C%ED%83%80%EC%98%AC+%EB%9D%BD%EC%8A%A4#imgId=blog62855421%7C8%7C220876378135_3&vType=rollout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jum&query=%ED%82%A4%EC%B9%9C%ED%83%80%EC%98%AC+%EB%9D%BD%EC%8A%A4#imgId=blog2700578%7C107%7C220708604072_6&vType=rollout
그리고 나선
elkiselee 님 말씀 처럼 환풍기를 쎈것으로 바꾸시거나.
저 같은 경우 화장실 환풍기를 24시간 켜 놓을때도 많아요...(전원스위치 따로 해서 환풍기만...)
환풍기 돌리면 빨리 마르더라구요...
이사오기 전에 살던 분이 청소를 안하셨는지 곰팡이 천국이었는데 이걸로 해결하고 청소 자주 합니다.
화장실 문은 주로 열어놓는 편입니다.
점성이있는 짜는 곰팡이 제거제 있습니다.
홈스타 곰팡이싹싹 같은거를
공팜이가 보일때마가 틈틈히 발라주면 좋습니다.
1. 현상황은 배기팬이 없어 보입니다. 창문만큼 유일한 환기통로이구요.
이 경우엔 곰팡이가 필 수밖에 없습니다. 뜨거운 공기가. 천장으로 올라가서 머물기 때문이죠. 거기에 단열까지 취약합니다. 겨울철에 필히 발생하죠. 사시사철 생긴다면 간단하게 해결될 문지는 아닙니다.
현재 천장과 벽쪽에 생기고 있다면 천장속에서 코어로 구멍 내서 외부로 나가는 통로를 만들어줘야만 합니다.
아니면 샤워하고 매번 벽 천장 바닥에 고인 물기를 깨끗하게 닦고 나오기는 길 밖에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창문만 열어두면 환기가 되서 마를거라 생각하시는데요 기본적으로 물기가 바닥에 흥건하면 자연건조되려면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릴지 보세요.
창문만 열어두지 화장실문은 닫고 있을겁니다. 막힌 공간에 화장실 창 고거 하나 열어두고 그 물이 자연적으로 마르기를 바라시면 안됩니다.
그럼 환기팬 고 조그마한 걸로 되느냐? 창문이 더 큰데. 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구멍은 더 작지만 더 효율적으로 강력하게 일하기에 훨씬 더 유용합니다.
예전 원룸에 살 때 그 작은 화장실이 환기가 안되어서 환풍기를 만들어서 달았었습니다. 불이 켜지면 자동으로 켜지고 불이꺼지면 사람이 나간 것이니 일정 시간 돌아가고 온도가 높아져도 알아서 켜져서 돌아가게 만들어 창문에 껴놨었죠. 2.3A짜리 90mm델타팬 2개. 켜켜~~
락스 좀 솔하고 몇번 문지르니 많이 없어 졌습니다.
다만 락스를 써서 청소할때 장갑끼고 선풍기라도 틀어놓고 강제로 환기시키는게 좋습니다.
말씀중 정압 환풍기라는 건 사실 이런것의 소형 모델이 아닐까 싶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