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3396 |
0 |
2014-05
525339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8384 |
25 |
2015-12
1778384
1 백메가
|
83177 |
핸드폰 호환 문의드립니다. (12) |
2cpumem |
2018-08 |
3499 |
0 |
2018-08
3499
1 2cpumem
|
83176 |
컴퓨터 케이스 파워버튼 자작 문의 (5) |
공알이 |
2018-08 |
4625 |
0 |
2018-08
4625
1 공알이
|
83175 |
x3250 m6 1기가 포트 8개가 가능한가요? (17) |
적이 |
2018-08 |
4195 |
0 |
2018-08
4195
1 적이
|
83174 |
Z800 부팅시--- 메모리 체크인지 이상인지? F1키 (5) |
kking |
2018-08 |
4879 |
0 |
2018-08
4879
1 kking
|
83173 |
E5-2670으로 4k영상작업 질문 (6) |
컴박 |
2018-08 |
4203 |
0 |
2018-08
4203
1 컴박
|
83172 |
슈마 보드 부팅관련 질문 (5) |
공알이 |
2018-08 |
3052 |
0 |
2018-08
3052
1 공알이
|
83171 |
USB-A와 USB-C 젠더 이용시 저항에 관하여 질문 (2) |
황재광 |
2018-08 |
5065 |
0 |
2018-08
5065
1 황재광
|
83170 |
HDD DISK INFO 확인방법 (2) |
Nomaker |
2018-08 |
3278 |
0 |
2018-08
3278
1 Nomaker
|
83169 |
노트북 외부출력의 기본은 DP 인건가요? (5) |
인디고 |
2018-08 |
3368 |
0 |
2018-08
3368
1 인디고
|
83168 |
DVR CCTV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6) |
땅땅 |
2018-08 |
3415 |
0 |
2018-08
3415
1 땅땅
|
83167 |
와이파이 커버리지에대한 질의 (4) |
알선업체 |
2018-08 |
3713 |
0 |
2018-08
3713
1 알선업체
|
83166 |
노트북을 데스크 탑의 모니터로 쓰는 방법? (6) |
annm |
2018-08 |
7339 |
0 |
2018-08
7339
1 annm
|
83165 |
GCC설치 질문드립니다. (2) |
네이쳐 |
2018-08 |
3581 |
0 |
2018-08
3581
1 네이쳐
|
83164 |
Z800-부팅시 메모리 체크 뜨면서 F1키 (2) |
kking |
2018-08 |
3973 |
0 |
2018-08
3973
1 kking
|
83163 |
하드 복원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9) |
욕심쟁e |
2018-08 |
4048 |
0 |
2018-08
4048
1 욕심쟁e
|
83162 |
환불 관련 건... (9) |
강민준1 |
2018-08 |
3726 |
0 |
2018-08
3726
1 강민준1
|
83161 |
해놀 6.2 리얼택 랜 드라이버 이슈...? |
Sikieiki |
2018-08 |
3470 |
0 |
2018-08
3470
1 Sikieiki
|
83160 |
z620 보드에 붙은 스티커 내용인데, v2지원보드일까요? (5) |
e5472 |
2018-08 |
4038 |
0 |
2018-08
4038
1 e5472
|
83159 |
HP PDU 회원님께 잘 구매했는데 케이블이 비싸네요. |
천상천하 |
2018-08 |
4072 |
0 |
2018-08
4072
1 천상천하
|
83158 |
z620 (v1까지지원)에 RX570 VGA카드 장착해서 사용하시는 분 계시나요? (8) |
e5472 |
2018-08 |
4863 |
0 |
2018-08
4863
1 e5472
|
2. 일단 걸렸다하면 인터넷, 네트워크로 부터 분리해야 하고, 다른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게 해야 함
3. 암호화된 파일이 존재하는 지 모든 PC 전수조사 해야하고, 감염된 PC는 무조건 포맷해야 한다라고 생각합니다.
랜섬웨어 감염(?) 구동 방식은 걸린 PC가 애초에 이메일이나 웹서핑 등을 통해서 본인이 직접 걸리고
그 본인이 쓰기권한이 있는 미디어에 모조리 암호화를 하는 것이죠.
그래서 본인의 로컬드라이브와 쓰기권한이 있는 공유드라이브의 화일을 암호화 하는 것이구요.
1. 치료방법 > 복호화 툴을 돌린다.
2. 다른사람이 클릭으로 감염? 암호화 된 파일이라서 클릭해봐야 아무동작도 안하죠.
만약 랜섬웨어가 전파를 목적으로 씨드를 실행파일로 만들어서 이미지나 문서파일명으로(링크파일 장난질) 위장해서 공유폴더에 올려뒀다면 클릭하면 감염되겠죠.
3. 걸린사람 색출 > 해당 공용폴더에 쓰기권한이 있는 사람의 PC를 전수조사.
2. 사람들 하나하나 물어봐서 PC에 이상한일 생긴사람 찾고 그 PC의 모든 DISK 포맷한다.
입니다.
그리고 랜섬웨어도 감염이 됩니다. 근데 원리가 조금 다릅니다.
OFFICE Macro기반의 랜섬워어들은 파일서버/NAS등에 있는 파일을연 PC에 있는 다른 OFFICE 파일을 감염시키고 거기서 부터 다시 감염을 시작하기도 합니다.
감염이라하기는 좀 그렇지만 감염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