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46 |
0 |
2014-05
513914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42 |
25 |
2015-12
1673642
1 백메가
|
79101 |
RMA 보내야될듯 합니다.. (6) |
황진우 |
2017-05 |
4090 |
0 |
2017-05
4090
1 황진우
|
79100 |
사용해보신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
나우마크 |
2016-04 |
4090 |
1 |
2016-04
4090
1 나우마크
|
79099 |
미크로틱 VPN구축 문의 (5) |
seru |
2018-07 |
4090 |
0 |
2018-07
4090
1 seru
|
79098 |
no-sql(mongodb) 스키마 설계 조언 부탁드립니다. (6) |
김제연 |
2018-07 |
4090 |
0 |
2018-07
4090
1 김제연
|
79097 |
파워쉘 미치겠습니다 ㅠㅠ (2) |
쉘든쿠퍼 |
2017-12 |
4090 |
0 |
2017-12
4090
1 쉘든쿠퍼
|
79096 |
U-NAS용 레이드 카드 고민중이라 의견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2) |
안승현 |
2014-01 |
4090 |
0 |
2014-01
4090
1 안승현
|
79095 |
다시 intel s5000psl 메인보드의 4핀 전원에 관한 질문입니다. (2) |
소년시대 |
2015-02 |
4090 |
0 |
2015-02
4090
1 소년시대
|
79094 |
이놈은 뭔가요? (1) |
방o효o문 |
2015-12 |
4090 |
0 |
2015-12
4090
1 방o효o문
|
79093 |
SAS 디스크 활용 !! (5) |
박문형 |
2018-10 |
4090 |
0 |
2018-10
4090
1 박문형
|
79092 |
인텔보드 핀배열좀 올려주세요 (6) |
anti2cpu |
2017-12 |
4090 |
0 |
2017-12
4090
1 anti2cpu
|
79091 |
fcitx-hangul 쓰시는분들... (2) |
izegtob |
2016-03 |
4091 |
0 |
2016-03
4091
1 izegtob
|
79090 |
듀얼코어 1gb 윈도우 운영체제 선택 (7) |
inquisitive |
2018-02 |
4091 |
0 |
2018-02
4091
1 inquisitive
|
79089 |
E5450에 필요한 개조 바이오스 도움 요청드립니다ㅠ (3) |
틴다음 |
2015-09 |
4091 |
0 |
2015-09
4091
1 틴다음
|
79088 |
fTPM 활성화 상태에서 사양 변경시 CPU가 고장나나요? (3) |
Elsaphaba |
2022-01 |
4091 |
0 |
2022-01
4091
1 Elsaphaba
|
79087 |
node.js(express)가 php 보다 느릴까요? (4) |
김제연 |
2019-02 |
4091 |
0 |
2019-02
4091
1 김제연
|
79086 |
Dell iDRAC 사용시 인증서 문제 |
김상민 |
2014-02 |
4091 |
0 |
2014-02
4091
1 김상민
|
79085 |
[비컴] 부동산 주택 담보 대출 때문에 문제 발생 소지가 있다는데... (9) |
하셀호프 |
2018-08 |
4091 |
0 |
2018-08
4091
1 하셀호프
|
79084 |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12) |
evoker |
2016-02 |
4091 |
0 |
2016-02
4091
1 evoker
|
79083 |
서적 제본과 관련하여..궁금한 것... (5) |
FreeBSD |
2018-08 |
4091 |
0 |
2018-08
4091
1 FreeBSD
|
79082 |
290w 파워에 적합한 그래픽카드좀 추천해주세요. (10) |
나몰라1 |
2016-02 |
4091 |
0 |
2016-02
4091
1 나몰라1
|
관련글을 보면 여기서도 그룹이 3개냐 2개냐 차이를 예로 드는데
그룹이 많을수록 에러날 확률도 많죠.
https://www.thegeekstuff.com/2011/10/raid10-vs-raid01/
링크 글에도 써있지만...
ABC + EFG와 같이 01로 묶으면, 하드A가 나가면 ABC를 새로 묶고 세 개 하드의 데이터를 모두 새로 써야 하는데, 도중에 EFG 하드 중 하나가 날아가면 데이터 전체가 날아갑니다.
반면에 AB + CD + EF와 같이 10으로 하면, A가 나가면 AB만 다시 묶으면 되고 한 개 하드만 새로 쓰면 되죠. 또 도중에 B를 제외한 다른 하드가 날아가도 데이터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RAID1의 목적을 생각하면 무조건 10을 써야 합니다.
대략 방향은 정햇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참조가 되었습니다.
대략 알기로는 0+1을 만드는게 더 어렵다고도 하고 오리지날 IBM 제품 밖에 없다는 소리가 있습니다..
사용상에는 차이가 없기에 있는 메뉴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조사에 따라 1+0 이 디스크 4개 다음에 8개가 되어야만 되는 제품도 있고 디스크 2/4/6/8로 지원되는 제품도 있을수 있습니다..
같은 레이드 레벨이지만 제조사마다 구현 방법이 틀리기에 지원 디스크 갯수나 여러가지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기가 가진 레이드 제품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펙을 꿰고 구성해야 하겠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맞는 SSD를 사용하면 퍼포먼스 저하/이상 혹은 안정도 불안 / 디스크 잘 깨짐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이드 제조사마다 제품마다 지원되는 SSD가 다 다르니 잘 확인해야 합니다..
옛날 레이드 제품 (3G 이하)은 SSD가 아예 안 붙거나 레이드는 묶을수 있어도 속도 저하 등의 문제가 있을수 있습니다..
두개 0으로 묶었을때 속도가 10이였는데 4개 0으로 묶어도 속도가 11밖에 안나오는 그런 문제죠..
레이드 카드 중 LSI 제품은 SSD가속을 위한 소프트웨어 킷이 2가지 있는데 이 두 라이센스가 둘 다 있는 편이 좋습니다..
옛날에는 이 라이센스를 유료로 팔았는데 (지금도 팔지만) 지금은 그냥 디폴트로 탑재되어 팔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한번에 뚝딱 할수 있을거라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레이드카드의 성능과 지원여부를 꼭 체크해보고 하는것이 중요하군요.
모르고 들이받았다가는 삽질이 산으로 갈뻔했습니다.
정말 중요한 팁 감사합니다.
Raid 1+0 용량이 다소 더 작아지지만.. 아주 좋은 솔루션이죠...
DB 서버에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구성할때 보험이 들어가는 것이라 생각하려고 합니다.
SSD에 고장율이 적고해서 성능과 리빌드시 시간을 생각해서요
제가 EMC엔지니어데요 요즘 하이엔드나 미들레인지도 SSD는 기본은 RAID5로 많이 사용합니다
고장률도 적고 SSD도 비싸기도 하고요
물론 쓰는 SSD가 내구성이 좀 좋은 제품을 쓰긴 하조
여유가 있다면 스토리지용으로 나온 SSD에 raid5가 더 좋은 방법입니다. 시중에서 구할수있는 인텔 s4500이나 시게이트등 제품으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