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보프레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요?

그냥중   
   조회 42816   추천 0    

 점보프레임이라는 말은 듣은 적 있는데,,,

뭔지 모르고 있다가...

얼마전에 알았습니다. 

그거 설정하면 인터넷이 조금 더 빨라진다고...


그래서 찾아보니...

제 공유기 설정에 점보프레임 사용 여부를 체크하는 메뉴가 있고

사용하는 허브에도 점보프레임 9KB까지 지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럼 설정하면 되겠네..

했는데 


다른 글에는 점보프레임 사용 못하는 환경에서 점보프레임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인터넷이 심각하게 느려진다고...


다른 글에서는 점보프레임 설정이 안 맞으면 MTU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동작하기에 상관없다고 그냥 점보프레임 사용하라고..

다만....점보프레임이라는 것을 설정해서 사용해도 네트워크 속도의 향상은 미미하다고 기대하지 말라고..


어느쪽 의견이 맞는 걸까요?

점보프레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딸기대장 2018-08
한번 해보세요. ^^
저도 해봤는데...전혀 차이가 없든데요. iptime 24포트허브 + asus공유기 입니다.
     
그냥중 2018-08
전혀 차이가 없든데요
->그 정도로 차이가 없나요?
그렇다면 굳이.....할 필요가..ㅠㅠ
이선호 2018-08
예전이라면 몰라도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 더 낫습니다 :)
     
그냥중 2018-08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drachen 2018-08
요즈음에는 점보프레임 설정 할 필요 없습니다. 예전에는 공유기 CPU성능도 떨어지고 해서 잘 설정하면 약간 나아지기도 했는데, 요즈음에 와서는 의미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오히려 각 업체별로 점프프레임 사이즈가 미묘하게 다른데 공유기-허브-NIC가 각각 다른 제조사에 칩셋도 다른 경우가 대부분인 가정용 PC 환경에서 건드려야 봐야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냥중 2018-08
아..그리고 보니...대부분이 9KB지원이라고 되어 있지만. 어떤 제품은 점보프레임이 8KB지원이라고 적혀있던 것이 기억납니다...
괜히 건드려서 고생하느니....나둬야 겠네요...감사합니다.
무아 2018-08
점보프레임이 효과를 보려면 CPU 속도가 떨어지고 랜카드와 공유기가 모두 점보프래임을 지원하고 큰파일을 지속적으로 주고 받을 때 쓰면 됩니다.
요즘은 그런 경우 별로 없죠.
회원K 2018-08
점보프레임을 적용하니 더 나쁜거 같아서 풀었습니다.
쓰지 않는게 정신건강에 아주 좋습니다.
이규섭 2018-08
10Mbps 랜카드 쓸때나 활성화하던 옵션이죠.
디아고수 2018-08
괜시리 MTU 손댔다가 네트웍이... 엉망이 되는 사례를 경험한 뒤로, Jumbo frame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고 안하고 차이도 잘 모르겠고요..
시도니 2018-08
일반적인 인터넷 네트워크에 점보프레임은 사용해 봤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상대방에서 받아주는 점보프레임을 해석하기 위해 CPU를 더 많이 잡아 먹는 아이러니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점보프레임이 만들어진 이유가 큰 데이터를 전송시에 잦은 Fragmentation 시 발생할 수 있는 부하를 줄이고자 함입니다.(오버헤드라고 하지요.)

Default 인 1500Byte 가 택시라면, 그보다 큰 프레임은 버스나 기차에 비유할 수 있고, 그 이상을 지정하는 것을 Jumbo Frame 이라고 하지요.

근데, 이 Jumbo Frame 을 활성화 하고 인터넷을 해보면... 실상 별로 느껴지지 않거나, 오히려 느려질 수도 있습니다.

당연합니다. TCP/IP 의 데이터로직은 데이터를 분해하여 전송하고 수신지에서 재조립 하는 방식입니다. (정확하게는 이때는 패킷상태이지요.)

소위 우리가 혼동하거나 혼용하여 모든 데이터 그램을 패킷으로 통칭하여 부릅니다만, 이는 엄연히 잘못된 것입니다.

3계층 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그램의 이름이 패킷이고, 지금 이야기 하는 2계층 즉, MAC 계층 의 데이터 그램이 바로 프레임이죠.

다시말해서 프레임을 아무리 빨리 전송한들, 라우팅 하는 장비가 상대 장비로 내 주소와 목적지 주소를 적고 패킷을 만들 때,

프레임 데이터를 잘게 쪼개서 상대방에게 전달을 합니다. 그러니 프레임의 단위를 엄청 늘려도 실제로 인터넷 생활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점보프레임이 필요한 구간이 있는 데 바로 iSCSI 입니다.

iSCSI 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다시피, IP를 기반으로한 스토리지 연결기술 중 하나입니다.

보통 iSCSI 와 FC 와 비교를 많이 합니다만, 최근 iSCSI 도 10g 같은 고속 이터넷이 상용화가 끝났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가의 관련 장비를 구매하지 않고 단순한 IP 네트워크 장비로도 빠른 스토리지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한데, iSCSI와 FC 의 효율성을 비교한다면, iSCSI 가 FC 보다 떨어지게 됩니다.

왜냐면, IP를 사용하는 iSCSI 기술의 숙명상 모든 데이터 프레임은 1500byte 로 잘라서 보내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지게 되지요.

FC의 경우에는 외부 스토리지와 서버를 연결하기 위한 전용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데이터그램 사이즈가 iSCSI 보다는 엄청 큽니다.

즉, 작은 데이터를 보낼때는 iSCSI 나 FC 나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이동하고 소산 하는 환경에서는

iSCSI 가 FC에 비해 전송효율이 극도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따라서, 이때 필요로 하는 것이 jumbo frame 입니다.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큰 것을 크게 잘라서 전송하고자 함이지요.

(프레임의 수가 많아지면,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과 비례해서 헤더정보가 붙어야 하므로 전송 오버헤드가 생김)

그래서 iSCSI 를 지원하는 거의 대부분의 스토리지는 당연히 jumbo frame 을 지원합니다.

어느정도의 중급 이상의 스위치들도 이를 지원하는 이유가 이 때문입니다.

다시 정리해 말씀드리면, Jumbo Frame 은 Inter-Network 를 위한 기술이지, 3계층 밖의 TCP/IP 으로 밖으로 전송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QnA
제목Page 1571/5730
2015-12   1791971   백메가
2014-05   5267051   정은준1
2013-07   8011   김영랑
2017-02   3950   이상훈RHB
2014-12   7180   lovemiai
2020-09   2443   YunSeong
2014-12   15172   나파이강승훈
2022-03   1923   류류류
2020-09   4284   전설속의미…
2017-02   5369   삐돌이슬픔이
2020-09   3716   IDC센터
2015-01   7287   택유
2022-03   2490   무아
2019-07   4225   겨울나무
2020-09   4570   신은왜
2023-11   1802   무쏘뿔처럼
2018-05   4023   이선규
2022-03   4115   찌록
2023-11   3822   파피푸페
2010-11   7563   그래피아
2022-03   1838   L2스위치
2016-03   6524   투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