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463 |
25 |
2015-12
178946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465 |
0 |
2014-05
5264465
1 정은준1
|
83474 |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셋톱박스 문의. (13) |
임시현 |
2022-02 |
2189 |
0 |
2022-02
2189
1 임시현
|
83473 |
FireGL과 FirePro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4) |
보라매 |
2010-07 |
9948 |
0 |
2010-07
9948
1 보라매
|
83472 |
하드디스크삭제 (13) |
slowcity |
2019-06 |
7492 |
0 |
2019-06
7492
1 slowcity
|
83471 |
Windows Server 2008 R2 행 걸림 문제 (16) |
까다 |
2019-06 |
6212 |
0 |
2019-06
6212
1 까다
|
83470 |
windwos 2012 한글언어팩 어디서 구하죠.. (3) |
데이비드 |
2013-07 |
19431 |
0 |
2013-07
19431
1 데이비드
|
83469 |
e3-1230v5로 듀얼구성이 가능한 보드가 있는지요? (11) |
지존컴퓨터 |
2016-03 |
6172 |
0 |
2016-03
6172
1 지존컴퓨터
|
83468 |
DS photo 백업 중 중복파일 정리 (4) |
아까침에 |
2022-02 |
2605 |
0 |
2022-02
2605
1 아까침에
|
83467 |
VMware Esxi 로 AI 분석 혹은 학습 서버 구축이 가능한가요? (13) |
Sgtsteam |
2023-10 |
3219 |
0 |
2023-10
3219
1 Sgtsteam
|
83466 |
보호 회로 인데.. 어디가 +/- 인지 알수있을까요..? (19) |
토리 |
2019-06 |
6490 |
0 |
2019-06
6490
1 토리
|
83465 |
C드라이브 용량이 갑자기 줄어들었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재질문) |
김황중 |
2014-12 |
5356 |
0 |
2014-12
5356
1 김황중
|
83464 |
이 케이스 이름 또는 부품을 구합니다. (10) |
차평석 |
2010-09 |
7930 |
0 |
2010-09
7930
1 차평석
|
83463 |
Hotswap Backplane (6) |
파리대왕 |
2013-08 |
5615 |
0 |
2013-08
5615
1 파리대왕
|
83462 |
Server2008R2 설치시에 DNS에러가 있는거 같은데, 셋팅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습니… (3) |
이재용입니다 |
2013-08 |
7917 |
0 |
2013-08
7917
1 이재용입니다
|
83461 |
메인보드 Tesla장착? (2) |
GPGPU |
2020-09 |
3888 |
0 |
2020-09
3888
1 GPGPU
|
83460 |
슈퍼 컴퓨터팅으로 유명한 대학은.. |
승후니도쿄 |
2010-09 |
8349 |
0 |
2010-09
8349
1 승후니도쿄
|
83459 |
괜히 DSLR을 사서리.. (26) |
2CPU최주희 |
2013-08 |
10758 |
0 |
2013-08
10758
1 2CPU최주희
|
83458 |
TLC ssd는 무조건 비추인가요? (14) |
osthek83 |
2018-05 |
5399 |
0 |
2018-05
5399
1 osthek83
|
83457 |
애플컴퓨터로 캐드프로그램을? (7) |
NiteFlite9 |
2022-03 |
4787 |
0 |
2022-03
4787
1 NiteFlite9
|
83456 |
인터넷전화 음성 딜레이 현상? (3) |
song05 |
2023-10 |
2043 |
0 |
2023-10
2043
1 song05
|
83455 |
이거 정상인가요? |
김준유 |
2015-01 |
6308 |
0 |
2015-01
6308
1 김준유
|
인텔 제품을 선택하심이 나을듯합니다...
삼성 960 pro에서 홍보하는 성능은
flash out-of-box 상황이게에 실제 워크로드에서의
성능은 보장받지 못할 수 있는걸로 압니다...
데이터 센터 모델이 정전시 데이터 보호와 암호화 기능이
낫고 내구도는 둘 다 검증된 회사이기에 표기된 수치를 감안하여 선택하시면 됩니다.
금액은 대량구매를 전제해도 인텔쪽이 더 비쌀겁니다.
인텔은 성능이 고르다.
삼성은 기복이 있다.
인텔 정전시 보호
삼송 없다
이걸까요?
실제로는 960 pro도 writeback 캐시용 캐패시터가 있긴 할건데 자세히는 모르겠네요.
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워크로드에 맞춰서 선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같던데 물론 시리얼로 관리합니다..
해외바젼은 국내 AS 안 될텐데요..
산 데 가서 AS 받아라 하지..
세계 어디서 생긴 불량이라도 메이커의 본국에서는 AS는 해줘야줘.
언제나 삼성이 이것을 깨달을지....
아니면 국내의 소비자 가격을 해외와 동일하게 혹은 더 싸게 운영을 하던지...
아주 옛날 수출 주도 성장 정책에나 있었던, 수출품에 대하여서는 여러 혜택을 주어서 싸게 수출하도록 하고, 내수용은 관세등을 부과 함으로써 자 국민만 괴롭히는 정책도 바뀌어야 할듯하고...
이것으로 pbw, tbw 계산을 해보시면 됩니다.
인텔은 0.9 PBW, 삼성은 300 TBW 입니다.
인텔을 쓰는 것은 수명 안정성 때문이 아닐까요?
저희가 인텔꺼 가지고 오려는데, 의문이 들어서요
흠... 근데, 왜 비싸지? 2배? 이것도 의문에
속도는 더느리고 ... 조각의 읽기,쓰기 효율이 높은가?
요즘은 크게 차이가 안난다고 하더라구요.
성능의 차이는 있지만, 가격의 차이도 있기 때문에
굳이 인텔 SSD를 쓸 이유는 없구요.
긴 수명을 다 쓸만큼 가혹하게 쓰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기업시장에서의 인텔 브랜드 값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능적 장점은 없나요?
860은 GC 기능이 있어서
사용이 없을 때 SSD를 정리해줍니다.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mac/7731307
인텔은 GC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삼성은 적당히 쓰고 교체, 인텔은 아무 생각 없이 오래 사용.
이것은 인텔의 enterprise용 SSD입니다. 당연히 power failue protection 기능이 있습니다.
인텔의 기업용 SSD 중에서 4500 시리즈는 read-intensive용, 4600시리즈는 mixed용, 4700시리즈는 write-intensive용으로서
4700 > 4600 > 4500 순으로 4k write 성능이 좋고 endurance가 길고 가격이 비쌉니다.
(3700, 3600, 3500 시리즈도 마찬가지 차이)
s4500 480GB 모델 spec은 아래에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products/memory-storage/solid-state-drives/data-center-ssds/dc-s4500-series/dc-s4500-480gb-2-5inch-3d1.html
3D TLC를 사용했고 endurance는 0.9PBW(900 테라바이트), 4k write 성능은 20kiops
삼성 860 pro spec은 아래에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global.semi.static/Samsung_SSD_860_PRO_Data_Sheet_Rev1_1.pdf
3D MLC를 사용했고 endurance는 600TBW, 4k 성능은 read 100kiops, write 90kiops
일반용이므로 정전시 보호기능은 없습니다.
* 860 pro는 2bit MLC, DC4500은 3bit MLC(TLC)이긴 하지만 spec상으로 endurance가 좀 더 깁니다. 더 많은 NAND를 사용했을 겁니다.
* 정전시 보호기능 유무
*여기서 착각하기 쉬운 것이 4k random write 성능입니다. 860pro는 90kiops, 인텔 DC4500은 20kiops로 표기되어 마치 860pro가 훨씬 좋은 것처럼 보입니다. ㄱ런데 표기하는 수치가 서로 다른 의미입니다. 기업용 SSD는 steady state 성능을 표시한 것이고 일반용은 burst 성능을 표기한 것입니다. 처음 사용할 때(garbage collection을 하지 않을 때)에는 그럼 성능이 나오지만 계속 사용하면 1/10 이하로 떨어집니다. 860pro나 950 pro나 burst 성능은 10kiops 미만입니다.
그러니까 지속적으로 입출력이 있는 서버 환경에서는 DC4500이 성능이 훨씬 좋은 것이죠. 일반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때는 입출력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고 노는 시간이 많습니다. 노는 시간에 garbage collection을 하기 때문에 다음 사용시에도 성능이 별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서버 환경에서는 계속적으로 입출력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garbage collection을 하면서 입출력을 해야 합니다. 그런 환경에서 테스트한 값이니 믿을 수가 있습니다.
* SATA AHCI에 물린 것이 아니라 SAS 콘트롤러에 물린 경우 혹은 raid 환경에서는 trim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일반용은 성능저하가 많습니다. 기업용은 그걸 감안하여 overprovisioning을 많이 하기 때문에 trim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성능저하가 별로 없습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서버 환경이라면 기업용을 쓰는 것이 좋겠고(거의 필수), 일반 데스크탑 환경이라면 일반용이 약간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데스크탑 환경에서 기업용이 특히 나쁠 것은 없음)
참고 : http://2cpu.co.kr/lec/2723?&page=2
4k random write 성능 이게 궁금 했거든요.........
이거군요.................
Intel SSD DC S4500 480G 는 Data Center용이라 PLP(Power Loss Protection) 등 보호 기능이 있구요.
삼성 860 Pro 500G는 일반 소비자용입니다. 삼성 DC용 모델인 PM883이나 SM883 제품들이 보호 기능들이 있습니다.
PS.헛 윗분이 벌써 자세히 설명해 주셨네요..ㅋ
숫자에 속은듯한...
국내선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죠..
됩니다.. 국내 몇가지 모델을 출시 할지는 모르지만..
너무 비싼 관계로...
그러니까 껍데기는 HGST인데 알맹이는 거의 인텔.
인텔에서 SATA SSD와 NVMe SSD는 만드는데, SAS SSD는 직접 만들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HGST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는 셈. HGST SAS SSD 뜯어보면 PCB에 인텔 마크가 씌여져 있다고 함.
계속 사용하다보면 더티셀이 많아집니다. 그러면 garbage collection을 하여 클린 셀을 만들어주어야 쓰기 작업을 할 수 있죠. garbage collection을 하지 않는 SSD는 없습니다. garbage collection을 하는 동안에는 성능이 확 떨어집니다.(일반용 SSD의 경우 4k random write 성능이 보통 1/10 미만으로 떨어짐)
일반 데스크탑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writing을 하지는 않습니다. writing 하는 중간 중간에 노는 시간이 많죠. SSD에 전원은 들어와 있고 입출력이 없는 노는 시간에 garbage collection을 합니다. 그러면 클린셀이 많아져서 다음번 writing 때도 성능 저하가 없습니다.
그런데 서버환경에서 끊임없이 입출력을 하다보면 더티셀이 쌓이고 garbage collection을 하면서 입출력을 해야 합니다. 당연히 성능이 떨어지죠. 기업용 SSD에서는 이 상태에서 잰 성능을 표기합니다. 일반용은 50미터 달리기 속도를 표시하는 것이고, 기업용은 마라톤 속도를 표기하는 것이므로 의미가 다름.
garbage collection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도와주려면 trim을 하거나 많은 flash를 넣어놓고 overprovisioning을 많이 해 주면 됩니다. overprovisioning을 많이 해 주면 steady state에서의 4k write 성능이 증가하고 endurance가 커집니다. overprovisiong을 많이 해 주면 trim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성능저하가 별로 없습니다.
(예를 들어 HGST 400GB 짜리 같은 경우 보통 576GB의 flash를 넣어 놓고 400GB만 사용합니다.)
기업용과 일반용은 용도가 다르다고 보아야겠죠. 기업용은 지속적으로 입출력하는 경우, trim이 안되는 환경(SAS 콘트롤러에 물리거나 RAID 환경)에서 필요하고, 일반 데스크탑 환경에서는 일반용도 좋음. write는 아주 적고 read만 많은 경우에는 특별히 기업용이 필요하지 않음.
정말 감사합니다. 전 삼성 PRO SSD 가 기업서버 용인줄 알았는데, 일반유저용이였고, 그 윗모델이 있었고, 845 DC Pro 를 처음 알았고, 해외 서버들은 삼성을 안쓰는 이유가 그거였군요. 기업제품은 아직 인정을 못받았군요...
한국에 유통되는걸 못봤는데... 845 pro
감사합니다!!! 정말!!!
https://www.samsung.com/semiconductor/ssd/enterprise-ssd/
저는 SM863을 써 보았는데 아주 좋았습니다. 인텔의 S3600급(S3700보다 못하고 S3500보다 좋음)인데 S3600보다 좀 좋습니다.
:)
다나와 845PRO
http://prod.danawa.com/info/?pcode=4992200&keyword=SM863 ssd&cate=112760
다나와 SM863
리테일에 없는 것이지 서버 라인에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한국에서 리테일 하면 귀챦으니, 안하는 것 같습니다.
알고보니 삼성 기업용 SSD는 따로 견적받아 구입해야한다고 그런거였습니다.
자잘한 시장(한국)에서 인건비도 안나오는 (반도체는 연봉을 많이 줍니다) 판매를 하고 싶지 않은 것 입니다.
기업용은 OEM, 벌크만 해도 충분하다 ...
푼돈 들어오는 소매는 하고 싶지 않다.
국내선 기업용 SSD 1천개 팔려면 몇년 걸릴 수도 있습니다..
제조자(공장)의 입장에서는 공장을 유지할려면 계속 생산해 내야 하니까요..
그러면 삼성 SSD 850 Pro 의 경우 burst 성능이 떨어져서 Steady state 상태로 되었을때, 얼마나(몇 초?) 기다리면 다시 burst 성능을 낼 수 있는 상태로 될까요? 즉 garbage collection을 완료하는 시간이 얼마나 걸릴까요? 혹시 나와 있는 자료가 있을까요?
만일 이 수치를 알면 Program 에서 burst mode 로 작동할 수 있는 만큼만 random 쓰기를 하고, 일정 시간 기다렸다가, 또 쓰기를 시도하도록 하면 기업용 SSD가 아니더라도 최고의 성능을 뽑아 낼 수 있을 듯하여서...
저 질문에 많은게 함축되는것 같아요.
프로그래머 이신듯... 동작 매커니즘에 기반한, 먼가를 만드시려는듯...
860 Pro 기준으로 DC S4500보다 burst 성능 더 우월합니다. 소비자용 제품군 burst 성능벤치는 아난드텍을 보면 대부분 나와있고 141MB/s라고 나오네요
잼나는군요
4k random write 보다 4k random read 성능이 더 중요합니다.
간단한 게시판을 하나 예로 든다면
목록 조회 글 조회가 글 쓰기 동작의 100 배 이상 더 많이 수행됩니다.
가장 많이 수행되는 동작은 read 입니다.
그냥 잡담이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의견은, 어차피 SSD 는 사용하다 죽으면 인텔이든 삼성이든 못살린다는건 똑같습니다.
브랜드가 상관없다 이말입니다. 언제 죽어버릴지 모르는데 10000시간 후에 인텔게 죽든 5000 시간 후에 삼성게 죽든 그게 의미 있을까요.
결국 SSD는 못살리므로, Raid 1 을 반드시 해서 사용하고 하나가 죽을시 조치하는게 최선이 아닐까 합니다.
또 엔지니어들 관점에선 다른의견이 나올것 같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