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248 |
25 |
2015-12
178924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305 |
0 |
2014-05
5264305
1 정은준1
|
83572 |
물건 구매에 적당한 쇼핑몰 추천을 받아봅니다. (2) |
Dosh |
2018-09 |
3394 |
0 |
2018-09
3394
1 Dosh
|
83571 |
키스톤잭 CAT5e 와 CAT6 차이가 있나요? (8) |
개백수28호 |
2018-09 |
8604 |
0 |
2018-09
8604
1 개백수28호
|
83570 |
물쿨러썼는데도 시퓨온도상태가 좀 이상하네요.. (7) |
김건우 |
2018-09 |
4341 |
0 |
2018-09
4341
1 김건우
|
83569 |
서버장비 유효전력? (2) |
metaljw |
2018-09 |
4202 |
0 |
2018-09
4202
1 metaljw
|
83568 |
AMD 그래픽카드 - 드라이버 설치 후,재시작 직전 꼭 나오는 상황 (5) |
김건우 |
2018-09 |
6092 |
0 |
2018-09
6092
1 김건우
|
83567 |
PC가 CMOS 진입도 안됩니다. ㅠ.ㅜ (17) |
KiMACOMM |
2018-09 |
9201 |
0 |
2018-09
9201
1 KiMACOMM
|
83566 |
시놀로지로 서버 돌리던 중 유동아이피 변경됨 ㅠㅠ (15) |
미우지시언 |
2018-09 |
7091 |
0 |
2018-09
7091
1 미우지시언
|
83565 |
리눅스에서 AMD CPU 온도 확인 질문 (1) |
네이쳐 |
2018-09 |
6558 |
0 |
2018-09
6558
1 네이쳐
|
83564 |
안녕하세요 회사에 NAS 도입하려고 하는데 제가 너무 초보입니다 (21) |
evoker |
2018-09 |
4164 |
0 |
2018-09
4164
1 evoker
|
83563 |
RAID5 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문제 (25) |
online9 |
2018-09 |
8248 |
0 |
2018-09
8248
1 online9
|
83562 |
무선랜 내부망 설정 (4) |
sffbig |
2018-09 |
5149 |
0 |
2018-09
5149
1 sffbig
|
83561 |
램이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한계 온도는 몇 도인가요? (11) |
성호 |
2018-09 |
11113 |
0 |
2018-09
11113
1 성호
|
83560 |
RX580 그래픽카드를 MAC 용으로 롬 플래싱 가능할까요?? (16) |
블루영상 |
2018-09 |
12077 |
0 |
2018-09
12077
1 블루영상
|
83559 |
아래쪽 카드들에 대한 정체가 뭘까요 (4) |
2CPU최주희 |
2018-09 |
3645 |
0 |
2018-09
3645
1 2CPU최주희
|
83558 |
서버에 쓸 저장장치 추천 부탁 드립니다. (9) |
Dosh |
2018-09 |
3781 |
0 |
2018-09
3781
1 Dosh
|
83557 |
홈서버 파워 문의 (13) |
norann |
2018-09 |
3991 |
0 |
2018-09
3991
1 norann
|
83556 |
질문이 있습니다. (3) |
네이쳐 |
2018-09 |
3228 |
0 |
2018-09
3228
1 네이쳐
|
83555 |
숨겨진파일을 찾는법 (1) |
그린 |
2018-09 |
3999 |
0 |
2018-09
3999
1 그린
|
83554 |
케이블방송 내부 동축케이블 문의 드립니다. (7) |
미나리나물 |
2018-09 |
4154 |
0 |
2018-09
4154
1 미나리나물
|
83553 |
영화 감상용으로 TV 혹은 모니터? (7) |
김효수 |
2018-09 |
4611 |
0 |
2018-09
4611
1 김효수
|
단 이것은 인터넷 사정에 따라 지원될 때도 있고 지원이 안될 때도 있습니다..
보통은 듀얼 WAN이 지원되는 공유기의 기능은 하나의 WAN이 죽었을 경우 다른 하나의 WAN으로 서비스가 죽지 않고 계속 돌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물론 공유기 가격이 좀 비쌉니다...
ASUS 공유기의 대부분
IPTIME 의 백업공유기 를 찾아 보세요...
http://iptime.com/iptime/?page_id=11&pf=11&page=&pt=254&pd=1
원하는 기능이 재대로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습니다..
메뉴얼부터 찾아 보세요..
서버 PC에 2개의 인터넷을 연결하고 몇몇 PC에 분할해서 접속하게 한다면 제일 저렴하게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1Gbps에서 100GB는 순식간에 사용하지요. 풀로땡길때 14분이면 다 사용합니다. 1TB도 아니고 적은게 맞습니다.
이럴거면 왜 1.5배~두배가까운 요금을 내고 사용하는지.. 허허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하루 120기가가 엄청 크겠지만, 저처럼 구글 무제한 계정 + filezila 사용하면 하루 업다운 합쳐서 1테라는 기본으로 넘어가는데...
가정용에서 그런 설정을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들은 적 없습니다...
일부 고가의 가정용 공유기에서 그런 기능이 있다고 들었는데....
그게 제가 알기로는 한 회선이 죽으면 다른 회선이 백업하는 형태를 공유기에서 지원하는 것이지
글쓴 분이 원하는 1+1=2 형태는 아니었던 듯 합니다.....
저도 2개의 인터넷을 1개로 합쳐서 속도올려주는것으로 알고 그 용도로 구입했는데
실제로는 이러한 기능이 되지 않고
1. 1개 인터넷이 중지될 경우 자동으로 다른 한개만으로 가동
2. 전체 pc의 밸런스를 조절 할 수가 있었습니다. 4대의 pc가 공유기에 접속되어 있으면 이를
Wan1 Wan2의 사용비율을 50:50 또는 20:80등으로 셋팅은 가능했습니다.
속도가 2배가 되지는 않지만 서로의 사용량을 배분하는 기능은 확실히 있었습니다.
소호용은 너무 비쌈
SKB 소호용이 저렴한데 제가 사는 곳에서는 서비스 안 됨...
그렇습니다 ㅠ
회선을 두개를 끌어 쓴다고 해도 앞단의 Access SW가 집선으로 하나로 모을 겁니다.
테스트를 해보세요.
앞단에 스위치를 하나두고 nic 를 2개 주고 같은 대역대의 아이피를 줍니다. 인터넷을 해보세요. 속도가 증가되는지요.
회선을 2개응 받을 때 지역 게이트웨이가 다른 완전한 2회선을 받으면 모를까...
차라리 지금 인터넷 회선 업체에 500짜리로 업그레이드 해달라고 하세요. 공짜로 해줍니다. 결합 좀 되어 있고 의무사용기간이 풀렸다면요.
심지어 앞에 티밍을 해도 속도는 똑같이 나옵니다.
이건 아이피 매스커레이딩 수준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이 아닙니다.
실제로 ISP 두개를 통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밑단의 네트웍에서 받아서 상단으로 올릴때 라우터가 패킷의 목적지를 알고 있을때나 가능 합니다.
즉 양단이 VPN 을 통한 가상 사설망을 통해서 채널을 구성할때나 유효 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Active / Standby 로 Active 가 죽는 경우라면 다른회선으로 우회시키는 것은 가능할텐데 이도 같은 ISP를 사용한다면 의미가 없습니다.
이런 기능을 인터넷에 산정하고 망구성해야 한다면 최소한 자기가 ISP업자면서 다른 ISP측에 eBGP로 최종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 정도라면 모를까...
전혀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그냥 기가 회선을 쓰세요. 그게 저렴하고 덜 골치 아픕니다.
기사님한테 속도제한을 걸지 말아달라고 이야기 하는 게 더 현실적인 겁니다.
간단하게는 PFsense 박스하나 구해서 원하시는 구성으로 세팅 가능합니다.
저도 기가 인터넷 QoS 안 걸리는 게 제일 낫다 싶지만, 저희 지역에서는 불가하더라구요. 기사님한테 부탁해 봐도 안 된다 하고, 여기는 직영 지역이라...
100짜리 회선 2개 넣어서 2배 속도로 쓰는 건 어렵겠네요.
원하는 방법이 안 되니 다른 방법을 생각하거나 불편해도 그냥 써야 하겠습니다.
KT전송실에서도 협조하고 해서 테스트까지만 해보자고 해서 했는데
안되더라구요.
단일 ISP에서 허용해주면 되는걸로 알고 있었지만 클라이언트 < - > 중간스위치 <-> KT전화국 전송실 포트트렁킹 해도 안됐었습니다.
오히려 100Mbps 이용시 KT LG SK 를 각각 물려서 했을때 250Mbps 가 나왔던적은 있었는데 지금은 안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KT의 경우 FTTH 냐 ADSL이냐 엔토피아냐 따라 여부도 달라지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냥 안된다고 생각하시는게 속 편하실것입니다.
저도 그거 해보려고 거의 1년을 씨름한적이 있네요.
근데 100Mbps 상품이면 Qos 가 없을텐데요? 1Gbps 상품이 1일 500G 트래픽 이상 사용시 100Mbps 로 속도하향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가인터넷으로 가면 속도야 오르지만 QoS 때문에 저한테는 무쓸모라...
기가 인터넷에 QoS 안 걸게 쓰거나
아니면 기업용 회선을 쓰거나
아니면 2PC로 각각 알아서 쓰거나... 이런 방법 밖에 없고 합치는 건 어려운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