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03247 |
0 |
2014-05
510324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2) |
백메가 |
2015-12 |
1639877 |
25 |
2015-12
1639877
1 백메가
|
80398 |
핸폰 날씨앱중에 현재위치 잘잡고 날씨정보와 한글도 잘지원해주는거 없나요? (2) |
김건우 |
2018-05 |
3974 |
0 |
2018-05
3974
1 김건우
|
80397 |
메인보드 문의좀 드리겠습니다! (8) |
세이시로우 |
2016-03 |
3974 |
0 |
2016-03
3974
1 세이시로우
|
80396 |
동영상 두개를 비교 해서 자동으로 잘라주는 프로그램 없을까요? (5) |
박완경 |
2015-07 |
3974 |
0 |
2015-07
3974
1 박완경
|
80395 |
z800 pc3L 램 질문입니다. (3) |
유남생 |
2018-01 |
3974 |
0 |
2018-01
3974
1 유남생
|
80394 |
esxi 7.0 에서 삼성 nvme SSD 500G 가 337G만 인식되는 문제 (2) |
민사장 |
2020-11 |
3974 |
0 |
2020-11
3974
1 민사장
|
80393 |
레이드 (4) |
미담 |
2015-03 |
3974 |
0 |
2015-03
3974
1 미담
|
80392 |
스토리지 가상화시 대용량 디스크 성능 안까먹는 방법 (4) |
윈도우10 |
2013-12 |
3974 |
0 |
2013-12
3974
1 윈도우10
|
80391 |
홈 네트워크 질문합니다 (8) |
이희주 |
2015-07 |
3974 |
0 |
2015-07
3974
1 이희주
|
80390 |
NVIDIA 9600 GT 요새도 쓰나요 ? 쿨러가 고장인데.... (6) |
삐돌이슬픔이 |
2015-02 |
3974 |
0 |
2015-02
3974
1 삐돌이슬픔이
|
80389 |
VPN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ping 질문이요 (1) |
ttt111 |
2016-11 |
3974 |
0 |
2016-11
3974
1 ttt111
|
80388 |
쓸만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도구를 찾습니다. (3) |
무아 |
2018-04 |
3974 |
0 |
2018-04
3974
1 무아
|
80387 |
포고플러그에 데이타 송수신도 느리고, 백신검사도 너무 느리네요. 해결방법이 있을… (3) |
김건우 |
2016-11 |
3974 |
0 |
2016-11
3974
1 김건우
|
80386 |
T620 + H710p(1GB) 에서 intel DC S3500 시리즈 호환될까요? (4) |
김석환 |
2015-04 |
3974 |
0 |
2015-04
3974
1 김석환
|
80385 |
무료사이트에 있는 이미지를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려고하는데요. (8) |
장동건2014 |
2018-08 |
3974 |
0 |
2018-08
3974
1 장동건2014
|
80384 |
레이드 컨트롤러를 구매하려는데 호환성과 제품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13) |
카프 |
2021-02 |
3974 |
0 |
2021-02
3974
1 카프
|
80383 |
윈도우 10 무료업그레이드 (6) |
KyuJoonA |
2016-09 |
3974 |
0 |
2016-09
3974
1 KyuJoonA
|
80382 |
파워 문제일까요? (4) |
엠씨산 |
2014-10 |
3974 |
0 |
2014-10
3974
1 엠씨산
|
80381 |
Xpnology TX100 무음모드 (1) |
이해찬 |
2014-05 |
3974 |
0 |
2014-05
3974
1 이해찬
|
80380 |
안드로이드 버젼 4.4 (젤리빈)이전에 내부메모리에서 외부메모리로 데이타 바로 복사… (2) |
김건우 |
2016-02 |
3974 |
0 |
2016-02
3974
1 김건우
|
80379 |
델 R510 에 헤놀 또는 나스.. (8) |
맑은여름 |
2017-04 |
3974 |
0 |
2017-04
3974
1 맑은여름
|
아울러, 나이대비 금액 및 시간 투입을 고려해서 생각하시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
엔지니어로 남기를 원하시면 외국 진출 추천 드립니다.
(국내는 오랫동안 엔지니어 생활하기 힘들다 하여 저역시 항시 고민중에 있습니다...)
추천 드립니다.
그러나 보안쪽 실무라면 보통 잠자는 시간도 부족할텐데요...
보안쪽을 희망하고 있지만 현재 종사하는 분야는 보안은 아닙니다.
관련해서 몇가지 이야기 드릴 수 있을거 같은데
괜찮으시다면 쪽지 주시겠어요??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계약직, 프리랜서, 더우기 I 사 밑에서 일하게 되면 거의 노예로 일하고
경력도 경력이지만 돈도 적고 정신적 육체적 고통만 더할뿐이며
석사를 했다하더라도 그에 상응한 대우나 일을 주기는 커녕
일의 질은 무시되고 일의 양과 그에 대한 책임만을 가중시킬뿐입니다.
잘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현재 상황이 누가보더라도 희망적인위치라면 시도하시고
그렇지 않다면 돈과 시간을 아끼는것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 시거나 개인사업자로 일 하신다면 별 도움이 안되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지금 사람이 부족해서 난리라는데요
전문직에 종사한다면 쓸모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가령 통계학 석사를 하면 인공지능 정도는 일반회사에서 만들수 있을테니까요.
하지만 인공지능 한다고 크게 월급 더 받는건 아니더군요.
일반 기술직은 인공지능은 통계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습곡선이 크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국내 보안장비는 무조건 CC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장비 하나당 수억원 깨집니다...
대학원 1차,2차 다 하셔서 박사까지도 해보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더 치열해지기 전에, 집중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