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화질 영상을 길게 촬영하기 위한 방법

   조회 7479   추천 0    

 고화질 영상을 조금 길게 촬영하려고 합니다. 

3D프린터가 동작하는 영상을 찍으려고 하는데요

FullHD나 HD 화질로 60프레임으로 촬영하력고 하니 모바일에서 찍기에는 용량 혹은 안정성 문제가 확연히 보입니다.

길이도 짧게는 1시간, 길게는 6시간이 넘어갈수도 있어서 역시나 메모리카드나 이런걸 늘린다고해도 해결이 안될듯 합니다

화질(실제 비트레이트)이야 그냥 적당히 인터넷 캠방 수준이면 될듯해서


 웹캠을 구매하여 윈도우 내장이나 반디캠같은거 사다가 찍으려고 하는데

혹시 다른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가장 베스트는 DSLR에 HDMI 캡처 보드같은데 당장 비용이 너무 커져서 거기까진 안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선호 2018-10
DSLR은 영상 촬영용도가 아니며 렌즈와 적당한 바디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면 오히려 100만원 이하의 캠코더보다 훨씬 못한 영상이 나옵니다. 영상촬영용 카메라는 A7s 정도가 좋습니다.
두번째로 DSLR은 발열때문에 장시간 녹화가 불가능하며 외장배터리 연결한다고 해도 오랜시간 촬영은 어렵습니다.

2시간 이상 촬영이 필요하다면 무조건 캠코더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fHD 60fps 정도라면 예전 cx550 또는 pj670 등의 시리즈에 배터리 큰거 구매하시는게 좋습니다. 외부사용이 아니라면 어댑터 연결해서 촬영하시면 되구요.
여기에 캠코더 fHD 60fps면 초당 28Mbps 정도, 6시간이라면 128G 정도의 메모리카드 구매가 필요하실겁니다.
     
MSmikoto 2018-10
카메라를 쓸려고 하면 미러리스를 써야한다는 말씀이시군요.
아니면 캠코더를 써라는 말씀이시군요
캠코더에 HDMI로 출력하여 캡처하는게 좋아보이네요.
감사합니다
          
이선호 2018-10
작동영상이면 센서 크기 큰 미러리스나 dslr 써야할 이유가 없습니다. 아웃포커싱으로 인해 오히려 역효과이고 화질의 쨍함도 떨어질뿐더러 저조도 촬영이 크지 않다면 노이즈 감쇄도 큰 의미가 없습니다.
실시간 송출이 필요하지 않다면 가정용 캠코더가 제일 낫고 실시간 송출을 하실거라면 블루영상님 말씀처럼 HDV 카메라 구매함이 좋습니다.

저번에 쟁여놓은 Avermedia HD Capture Pro 하나 있기는 할건데 한번 찾아봐야겠네요
몇몇분이 ipcam 등을 추천해주시는데 보통 vari focal로 기재되어있는 줌기능 내장 ipcam이 아닌이상 auto focus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초점거리도 길어서 영상촬영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블루영상 2018-10
장시간 촬영을 하시려면...

HDMI 출력단자(1080i 출력) 있는 구형 HDV 카메라 구매 (15만원 정도?)
HDMI 입력 카드 구매 (10만원 정도)
OBS 프로그램 사용(무료) (디인터레이스 가능)
이런 방법도 있습니다 ^^
     
MSmikoto 2018-10
확실히 카드만 있다면 철지난 캠코더도 좋아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이라달 2018-10
실내에서 찍는데 굳이 dslr까지...

비싼 고정조리개 줌렌즈도 아니면 실내에서 광량확보도 힘들어 어둡게 나옵니다

그냥 가격 적당한 단초점 웹캠에 컴퓨터로 저장하게끔 촬영하면 될것같습니다.

작은기기는 오래찍는데 안정성이 문제가 있죠
송진현 2018-10
Ipcam에 xpen붙이는건 어떠신지요 감시카메라처럼요
     
MSmikoto 2018-10
xpen 뭔가요?
          
송진현 2018-10
시놀로지 x86 해킹 버전이랄까..
하하.. NAS게시판 참조하시면 됩니다..
chis 2018-10
스마트폰 앱 찾아보면 rtsp 송출되게 할수있어요..
몇년전에 한 일주일정도 그렇게 쓴적있는데 별 문제는 없더라고요...
     
무아 2018-10
+1
drezip 2018-10
FHD급  IPCAM으로 가시는게 편하실듯 하고요
검색해보시면  네이X에서  2만에 쓸만하거 구하실수 있습니다.
     
MSmikoto 2018-10
IPCAM도 좋아보이네요. 옵션 감사합니다
NiteFlite9 2018-10
전 그냥 소니 RX100M5 샀는데.
결혼식에 이것으로 동영상 한번 찍어주고..
방바닥구석에.....
화질은 좋던데요. 4K로 된다고 해서..
     
MSmikoto 2018-10
가격이 ㅎㄷㄷ하네요. 이 정도까지는 못쓸거 같고 자체 촬영이면 요즈음 잘나오는 액션캠이 좋을듯합니다
조용원 2018-10
3d 프린터리얼타임을 찍으셔서 어떤걸할려고 하시는거죠 ?

따로 정해진게 없으시다면 타임랩스 1초로 찍으시면 1시간이 1분으로 줄어서 녹화됩니다. (60 프레임일때 .... )
     
MSmikoto 2018-10
가끔 문제 생겼을때나 이런거 디버깅할때 쓰려고 합니다. 어느 순간에 문제가 생겼는데 자료가 없으면 찾기가 힘들더군요. 일단 주목적은 이거고
나머지는 그냥 어디다 공유하거나 자랑이나 해볼려고 합니다
조용원 2018-10
0.5초 타임랩스로 찍으시면 초당 2장씩 해당 해상도로 촬영되어 저장됩니다, 이정도면 디버깅용도로도 적당하고 공유하기도 적당할거같네요

대신 삼각대 두고 찍으셔야 합니다.

디버깅시에는 프래임 추출하시면 사진으로 0.5 초 마다 1장씩 사진파일로 출력하실수도 있어요

https://youtu.be/aubLuCFIejc 이런빨리감기느낌의 비디오 ,,,,
     
MSmikoto 2018-10
타임랩스의 경우 모터의 순간 떨림, 탈조등등이 캡처가 안되서 힘들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조현호 2018-10
사용용도가 3D프린팅 중에 에러발생시 특정시간대 확인, 프린팅 영상 유튜브용 편집
요것뿐이라는 전제하에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은
USB캠 하나 달아서 PC에 OBS설치해서 녹화하는게 제일 좋아보입니다.
녹화시간대비 파일용량도 적게 먹힙니다.
(C920 중고로 6만원선, 1080p 30f 파일용량 시간당1기가)

빨리감는 효과는 편집프로그램에서 조절해서 렌더링하면 됩니다. 렌더링속도는 출력물 시간기준이기 때문에 빠릅니다.(예: 6시간영상을 빨리감기 5분영상으로 만들시 렌더링 10분정도 걸림)
그런 효과를 내장한 캠코더를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DSLR필요없고 캡쳐보드도 필요없습니다.
다른 용도로 필요하다면 장비 선택지가 많아지겠죠.

촬영편집 방송쪽에서 일해본적 있는데요. 업무용 캠코더, 가정용 캠코더, DSLR, 액션캠, 캡쳐보드, IP캠, CCTV 두루 다 써봤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원하시는 용도에는 USB캠이 맞구요.
다른 용도로 쓰고싶어지면 추가로 구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MSmikoto 2018-10
조언 감사드립니다. https://obsproject.com/ 라는 것 되게 좋아보이네요
일단 비싼비용보다는 웹캠으로 도전하고 추후에는 이것저것 사보는게 나을것같습니다
조현호 2018-10
소소한 팁인데요.

USB캠을 프린터 방향으로 고정해야되는데...
삼각대는 다이소에 파는 5천원짜리 쓰시면 되고요. 선이 짧다면 USB연장선 사시면 됩니다.
초까지 나오는 디지털 시계를 프린터 옆에 두고 같이 촬영하면 좋습니다. 폰에 시계어플 깔아도 되고요.
(고가의 캠코더는 타임코드 기능이 있지만... 나름 시계가 같이 보이면 빨리 감을때 더 재밌죠.)
녹화된 영상 뒷부분이 쓸데없이 많이 녹화된 경우가 많을텐데요. 반디컷 설치하셔서 잘라내기(고속모드) 사용하시면 됩니다. 렌더링 하지않고 순식간에 저장합니다.
     
MSmikoto 2018-10
디지털시계는 좋은 아이디어인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노는 폰으로 계속 켜놔야겠네요


QnA
제목Page 4402/5708
2015-12   1673620   백메가
2014-05   5139132   정은준1
2010-05   7447   김효수
2004-11   7447   김동현
2018-05   7448   수필처럼
2010-11   7448   과거지사
2011-01   7448   페인프린
2017-09   7448   inoree
2008-06   7448   정상범
2004-06   7448   이성곤
2004-09   7448   김건우
2013-01   7449   윤치열
2011-07   7449   김준유
2004-08   7449   최남영
2004-10   7449   김재헌
2004-12   7449   지윤일
2004-11   7449   김광주
2016-10   7449   별이쨔잔
2013-04   7449   이갑부
2008-01   7449   최원식
2012-06   7449   이승엽
2017-11   7449   은우마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