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608 |
0 |
2014-05
526760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588 |
25 |
2015-12
1792588
1 백메가
|
84103 |
virtual box - host의 데이터를 바로 부를 방법은 없나요? (3) |
회원K |
2013-08 |
6514 |
0 |
2013-08
6514
1 회원K
|
84102 |
베어트레일 테블릿 사용중이신 분들깨 질문. (4) |
방o효o문 |
2015-01 |
4786 |
0 |
2015-01
4786
1 방o효o문
|
84101 |
알리 익스프레스 e-EMS 발송건 (10) |
수필처럼 |
2016-03 |
7254 |
0 |
2016-03
7254
1 수필처럼
|
84100 |
NVMe key type (5) |
iroo |
2020-09 |
2660 |
0 |
2020-09
2660
1 iroo
|
84099 |
그램 어댑터도 고민.. (5) |
여주농민76 |
2022-03 |
1848 |
0 |
2022-03
1848
1 여주농민76
|
84098 |
LSI RAID 카드 펌웨어 업데이트 중 Gas Gauge 펌웨어에 대해 (2) |
나우마크 |
2017-02 |
4277 |
0 |
2017-02
4277
1 나우마크
|
84097 |
리눅스가 설치되어 있는 SSD 백업 방법 (6) |
이희주 |
2020-09 |
6545 |
0 |
2020-09
6545
1 이희주
|
84096 |
무한 휠 마우스 추천 부탁 드립니다. (10) |
무쏘뿔처럼 |
2023-11 |
2768 |
0 |
2023-11
2768
1 무쏘뿔처럼
|
84095 |
집 내부 1G속도 제대로 쓸려면 cat6케이블을 활용해야하나요? (7) |
김건우 |
2015-01 |
7173 |
0 |
2015-01
7173
1 김건우
|
84094 |
레이턴시가 너무 높습니다. (3) |
성민박 |
2016-03 |
5041 |
0 |
2016-03
5041
1 성민박
|
84093 |
nvme m.2 ssd를 구매하였는데 (6) |
윤재훈 |
2023-11 |
1861 |
0 |
2023-11
1861
1 윤재훈
|
84092 |
LSI 9361-8i 펌업 질문 (2) |
나우마크 |
2016-03 |
4787 |
0 |
2016-03
4787
1 나우마크
|
84091 |
트리플 모니터 거치대를 하나 샀는데요..이거 비정상인거 같은데 한번 봐주시겠어요? (7) |
김건우 |
2019-07 |
5797 |
0 |
2019-07
5797
1 김건우
|
84090 |
전기작업 관련 문의 드립니다. (9) |
새총 |
2022-04 |
2462 |
0 |
2022-04
2462
1 새총
|
84089 |
노트북 배터리에 표기된 55++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요? (3) |
galaxyfamily |
2023-11 |
1504 |
0 |
2023-11
1504
1 galaxyfamily
|
84088 |
작업관리자에서 L3 캐시부분이 잘못 나올수도 있나요? (5) |
설영수 |
2019-07 |
3956 |
0 |
2019-07
3956
1 설영수
|
84087 |
ASUS WS X299 PRO/SE BIOS Update 문의 (4) |
죠슈아 |
2020-10 |
4303 |
0 |
2020-10
4303
1 죠슈아
|
84086 |
asus Z8PE-D12X 잘되던 18TB sas hdd가 기가바이트 z790 ic 14900k 에서 asr-8885 카… (20) |
느린닭 |
2023-11 |
2989 |
0 |
2023-11
2989
1 느린닭
|
84085 |
synology 삽질중... (5) |
황진우 |
2018-05 |
4378 |
0 |
2018-05
4378
1 황진우
|
84084 |
지원이 끝난 OS를 새로 설치할 경우. (2) |
머라카는데 |
2016-03 |
3659 |
0 |
2016-03
3659
1 머라카는데
|
그냥 방에
허브 한대를 놓으시는것이 더 나아 보이네요
대박이군요..
1기가 표준 이더넷 전송방식으로는 랜선 8가닥을 다 사용해야 한다
100매가 까지는 4가닥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단 허브나 공유기가 지원해줘야 한다..
4가닥으로 낼수 있는 최대 속도는 500매가 (반기가) 이다. 단 이때는 양쪽 랜선 끝에 전용 장비가 있어야 한다..
기가랜선을 받아서 다시 기가로 분배하려면 재대로 지원하는 기가빗 허브가 있어야 합니다..
인터넷과 전화선을 집어넣은뒤
다시 분배를 해줄때 사용합니다....
현장에서 딴놈들이 건들여 놓은 선
뒷수습중에 저런거 보면
전 작업자 박통을 쪼개버리고 싶...
2쌍으로 2포트 각각보내봐야 100메가가 한계이고
보내는거 2줄, 받는거 2줄
갸네들이 각각 신호보낼때 생기는 자기장이 놀구있는 꼬인 선1쌍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도전류에 의한 자기장이 처음 생긴 자기장을 상쇄시켜 노이즈를 잡는다고 협진케이블 사장님께 랜 결선 배운지가 20년이 되가는군요
결국 8가닥 다 하는일이 있습니다
당시 협진 사장님께서 저를 쟁이대접 해주시면서 미제 벨던이나 3com 케이블 쓰면 384미터까지 증폭기없이 그냥 나간다 하셔서 많이 놀랐지요 100미터도 중간에 허브 달았는데
컴 30년에 뵌 그리운 분들이 많습니다
1990년대 초 중반쯤에 1미터 급의 FDD케이블과 IDE케이블 찍은 기억이 납니다..
리본케이블과 페라이트 코어까지 넣었었죠...
25쌍 50개를
50번 피복 벗기고
50번 손으로 꼬고
50번 납 바르고
50번 끝 짤라내고
50번 땜질하고
1번더 접지 땜질하고
그리고 반대편 한번 더 반복하고(50쌍 같은 색 띠 찾는 것도 일이었습니다.)
아 인건비도 안나오는 작업이구나 했습니다. 사는 것이 결코 비싼 것이 아니라능!
FDD와 IDE 는 저도 찍어서 사용했습니다. ㅎㅎ
옛날에 랜카드도 없던때 프린터케이블을 컴끼리 연결하면 파일복사도 되고, 스타1 1:1 게임도 하고 그랬는데
맘에 드는 케이블이 없어서 직접 만들었는데
한땜질 한다고 생각했지만 힘들더군요.
두개다 안써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