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567 |
25 |
2015-12
179256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586 |
0 |
2014-05
5267586
1 정은준1
|
84142 |
2CPU 검색 관련 질문입니다. (2) |
이갑부 |
2013-05 |
10692 |
0 |
2013-05
10692
1 이갑부
|
84141 |
옥외 UTP길이 연장. (9) |
두리안 |
2016-02 |
5311 |
0 |
2016-02
5311
1 두리안
|
84140 |
[추요] Mame용 조이스틱 추천해주세요 (7) |
일반유저 |
2010-04 |
29379 |
0 |
2010-04
29379
1 일반유저
|
84139 |
용접을 배우려고 하는데요. (9) |
DaVinci |
2016-02 |
3921 |
0 |
2016-02
3921
1 DaVinci
|
84138 |
용산에서 원하는 물품이 없을수도 있나요? (4) |
레나 |
2017-01 |
4206 |
0 |
2017-01
4206
1 레나
|
84137 |
win8.1 설치중인데 (12) |
일론머스크 |
2017-01 |
5318 |
0 |
2017-01
5318
1 일론머스크
|
84136 |
(네트워크) 프린터 출력지연 + 페이지 병합 인쇄 문제 (4) |
오준호5 |
2013-05 |
22001 |
0 |
2013-05
22001
1 오준호5
|
84135 |
파이썬 파일 읽기 질문 (9) |
네이쳐 |
2017-01 |
6021 |
0 |
2017-01
6021
1 네이쳐
|
84134 |
sata 3 (6Gbps) 방식 외장하드 케이스가 나왔는지요? (1) |
블루영상 |
2010-05 |
8869 |
0 |
2010-05
8869
1 블루영상
|
84133 |
DDR3 8500R 과 10600R메모리 속도 차이가 큰가요? (4) |
두cpu |
2017-01 |
5359 |
0 |
2017-01
5359
1 두cpu
|
84132 |
내구성 무한잉크 추천부탁드립니다. (7) |
페선생 |
2022-01 |
1935 |
0 |
2022-01
1935
1 페선생
|
84131 |
iptime 펌웨어 업데이트 없는 무선랜 모델 써도 괜찮은 걸까요? (4) |
영산회상 |
2022-01 |
3094 |
0 |
2022-01
3094
1 영산회상
|
84130 |
파워 부족 문제일까요-? (6) |
오성기 |
2010-07 |
7402 |
0 |
2010-07
7402
1 오성기
|
84129 |
알리에서 위시리스트에 추가안되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김건우 |
2018-04 |
4151 |
0 |
2018-04
4151
1 김건우
|
84128 |
XP 설치된 장비.........(도움 주신분들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12) |
안현상 |
2022-02 |
2962 |
0 |
2022-02
2962
1 안현상
|
84127 |
서버 월 전력양을 어떻게 계산해야 될까요? (4) |
미카하이오 |
2014-12 |
13144 |
0 |
2014-12
13144
1 미카하이오
|
84126 |
태블릿 데이터 요금제 문의드립니다. (11) |
문현식 |
2018-04 |
4835 |
0 |
2018-04
4835
1 문현식
|
84125 |
소니 노트북 SSD 교체시 출고 복구영역 같은건 살릴 수 없나요? (11) |
나비z |
2017-02 |
5721 |
0 |
2017-02
5721
1 나비z
|
84124 |
노트북에서 ssd하나바꾸면 윈도우인증안되나요? (6) |
행복하세 |
2020-08 |
3505 |
0 |
2020-08
3505
1 행복하세
|
84123 |
9361-8i MSM 과 펌웨어 문의드립니다 (2) |
미수맨 |
2023-09 |
1904 |
0 |
2023-09
1904
1 미수맨
|
접지규격에 맞는 심 굵은 전선의 한쪽을 동축케이블의 -부분과 접속해주시고
나머지 부분에는 콘센트의 접지 부분과 접속해주세요.
그리고 동축안테나 케이블의 접속부를 벽면 안텐나 케이블에 연결하면 야매적이고 임시적인 접지가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번개칠때는 혹시 모르니 빼주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안쓰시는게 좋습니다. 방송관련 기계가 망가집니다. (TV, 공청)
통신에서는 접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신호 맞추는데 연관있음)
접지 타고 흐르는 노이즈가 통신 신호보다 쎈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은 접지된것 같고 편한것 같지만 다른 사람은 곤란해집니다. (대개 건물전체가 연결됨)
접지에 관해서 찾다가 안테나로 접지하는 것을 포스팅한 곳이 있길래 알려드렸는데 잘못된 정보였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만일 가능하다면 전기기사 나 한전 사람 불러서 확인해보세요
방문시 돈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shop89&logNo=7018864679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요런거 구해서 채크 해보세요..
https://pat.im/645
실 사용기군요..
어디까지 접지가 들어왔는지, 이어서 연결할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안테나 수도관 이야기 하시는데 해결책이 아닙니다. (수도관은 PVC, 안테나는 위에 적은 다른기계파손,장애)
또한 무조건 접지로 빼는게 답이 아닙니다.
접지로 빠지는 노이즈가 많으면 기계가 불량이므로 기계를 수리, 교체하셔야 합니다.
비유하자면
수도 배관이 있는데 어딘가 구멍이 났다(노이즈) 이걸 배수로에 연결했다(접지)
전기는 계속 새는겁니다. 당장 위험은 아니지만 다른 영향을 줍니다.
있다면 10볼트 미만이어야 합니다. 접지는 말 그대로 대지(땅)와 전기적으로 적절하게 연결되어야 합니다. 기술자에게 맡겨서 공사하는게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