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센트는 접지가 되는것인데 집이 접지가 안될경우..

   조회 11583   추천 0    

맥북을 충전시키면서 쓰면 알루미늄 재질이라 자꾸 손목에 전기가 옮아서

며칠전에 접지되는 연장코드를 사서 어제 도착해서 써봤습니다만 달라지는게 없었습니다

판매자 설명을 읽어보니 이걸 써도 안되는경우는 그냥 집이 접지가 안되는거라던데

인터넷 찾아보고 핀 하나에 접지단자 테스터기로 찍어보니 170v가 흐르더라고요

멀티탭도 접지가 되는거고 벽에 있는 콘센트도 접지가 되는것입니다

이사온 집이 아무리 봐도 여러곳에서 좀 날림으로 지은 티가 나서 저는 집에 접지가 안된다고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접지가 안되면 아무래도 전자기기에 좋지 않을테니... 어떻게 접지를 시켜야하나 고민하고있습니다(제 방만 되면 됩니다)

이게 접지가 안되는것때문인지는 모르겠는데, 전에 노트북 한대 랜포트를 해먹어서..

집은 빌라 4층, 제 책상에는 창문이 닿아있고, 창문 밖은 가족들이 자주 들락날락하는 뒷베란다입니다 (세탁기, 분리수거함 등등 있음)

어떻게 하면 뒷베란다를 써먹으면서 사람이 안전하게 접지를 시킬수가 있을까요?

1층이면 뭐 땅에다 봉을 심던 어쩌던 할텐데...

Think!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반성만 2018-10
사용 안하시는 벽면안테나 포트 있으면 그걸 사용하시면 됩니다.
접지규격에 맞는 심 굵은 전선의 한쪽을 동축케이블의 -부분과 접속해주시고
나머지 부분에는 콘센트의 접지 부분과 접속해주세요.
그리고 동축안테나 케이블의 접속부를 벽면 안텐나 케이블에 연결하면 야매적이고 임시적인 접지가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번개칠때는 혹시 모르니 빼주시는거 잊지 마시구요
     
박주연 2018-10
안테나 방법들 많이들 이야기 하시는데
안쓰시는게 좋습니다. 방송관련 기계가 망가집니다. (TV, 공청)
통신에서는 접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신호 맞추는데 연관있음)
접지 타고 흐르는 노이즈가 통신 신호보다 쎈 경우가 많습니다.
본인은 접지된것 같고 편한것 같지만 다른 사람은 곤란해집니다. (대개 건물전체가 연결됨)
          
반성만 2018-10
그렇군요 ㅎㅎ
접지에 관해서 찾다가 안테나로 접지하는 것을 포스팅한 곳이 있길래 알려드렸는데 잘못된 정보였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8-10
접지는 강전이라 함부로 만지면 더 큰일 납니다..

만일 가능하다면 전기기사 나 한전 사람 불러서 확인해보세요

방문시 돈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wshop89&logNo=70188646791&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요런거 구해서 채크 해보세요..

https://pat.im/645

실 사용기군요..
subshot 2018-10
문뜩 3옴이하 수도관접지가능이라는 문구가 떠오르지만 전문가에게 맡기시는게 좋다고생각됩니다.
박주연 2018-10
몇년도에 지어진 건물인지 확인해 보시고
어디까지 접지가 들어왔는지, 이어서 연결할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안테나 수도관 이야기 하시는데 해결책이 아닙니다. (수도관은 PVC, 안테나는 위에 적은 다른기계파손,장애)
또한 무조건 접지로 빼는게 답이 아닙니다.
접지로 빠지는 노이즈가 많으면 기계가 불량이므로 기계를 수리, 교체하셔야 합니다.
비유하자면
수도 배관이 있는데 어딘가 구멍이 났다(노이즈) 이걸 배수로에 연결했다(접지)
전기는 계속 새는겁니다. 당장 위험은 아니지만 다른 영향을 줍니다.
jake 2018-10
상전압과 접지선 혹은 중선선과 접지선의 전압이 170 이면 접지가 제대로 안되어 있는겁니다. 접지가 잘 되어
있다면 10볼트 미만이어야 합니다. 접지는 말 그대로 대지(땅)와 전기적으로 적절하게 연결되어야 합니다. 기술자에게 맡겨서 공사하는게 최선입니다.
차넷컴퓨터 2018-10
벽면 안테나의 경우도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추가적인 문제가 있을수도 있어서 한전에 문의해 보시는게 안전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이건희 2018-10
덧글들 감사합니다. 정말 전기기사를 부르든 해야겠네요...


QnA
제목Page 1524/5731
2015-12   1792567   백메가
2014-05   5267586   정은준1
2013-05   10692   이갑부
2016-02   5311   두리안
2010-04   29379   일반유저
2016-02   3921   DaVinci
2017-01   4206   레나
2017-01   5318   일론머스크
2013-05   22001   오준호5
2017-01   6021   네이쳐
2010-05   8869   블루영상
2017-01   5359   두cpu
2022-01   1935   페선생
2022-01   3094   영산회상
2010-07   7402   오성기
2018-04   4151   김건우
2022-02   2962   안현상
2014-12   13144   미카하이오
2018-04   4835   문현식
2017-02   5721   나비z
2020-08   3505   행복하세
2023-09   1904   미수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