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처음 사보는 사람입니다.

leesh2143   
   조회 3601   추천 0    

안녕하세요... 눈팅만 하던 유령 회원입니다..

개발 업무 때문에 서버 구매를 해야하는 상황인데...

하드웨어 스펙보다 어려운게 AS문제네요... 

개발 예산이 적다 보니... 서버 구매 금액에 제한이 있어서..

해외에서 구매해 보려고 합니다.

서버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HP, 델, 레노버 선에서 찾고 있습니다..

HP기준으로 자료를 찾다 보니..

일단 하드디스크, 램 이런 파트들이 HP딱지 붙은거 아니면 그냥 그 자리서 AS는 날라가는거다.. 라는 얘기가 좀 보이네요..

파트 가격이 만만치가 않은거 같던데..

이 부분은 Dell하고 Lenovo도 동일한가요..?

델이랑 레노버는 해외 직구한 서버는 국내에서 무상보증이 안되는건가요??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eesh2143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서완호 2018-10
대부분 회사가 그런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자신들이 제공하는 파츠 이외의 파츠사용으로 고장이라고 나오면 워런티는 다 날아가는걸로.....

간단한거면 이곳 장터에서 저렴하게 구매해서 쓰시고 처분하시는게...
     
leesh2143 2018-10
다른 업체들 알아봐도 내내 비슷한 구조인것 같습니다...
사용중에 문제 생기면 혼자 골치 썩느니 차라리 AS라도 들고 있는게 나을테니..
일단.. 파츠도 정품으로 할까 생각 중 입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8-10
해외 수입하면 우선 운송료부터 대략 알아보세요..
     
leesh2143 2018-10
운송비가 대략 30만원 정도 나오는거 같네요...
운송비 포함해도 국내보다 저렴한것 같습니다..^^
ZSNET5 2018-10
1. 정품 사시는거라면 해외보다 국내에서 구매하시는게 유리합니다.
  해외의 정식딜러나 국내의 정식딜러나 금액은 별반 차이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내가 더 저렴할 수도 있습니다.
2. 중고 구매하사는 거라면 여기 장터에서 구매하시는게 가장 유리합니다.
  물론 마음에 드는 물건이 있다는 보장은 없지만, 최소한 가격은 정말 싼 것들이 많습니다.
  개발업무에 최신장비가 필요한게 아니라면, 1~2세대 이전 장비로 구성하면 가성비는 최강입니다.
  업으로 하시는 분들이 다수 있으므로, 어지간하면 계산서 발행이 가능할껍니다.
3. 해외의 인터넷 사이트(이베이 같은..)에 파는 셀러를 믿으실 수 있나요? 회사돈을 쓰는데???
    왜 개인이 위험부담을 감수하면서 그렇게 까지 해야 될까요?
     
leesh2143 2018-10
스타트업이라.. 아무래도 비용절감을 하려다 보니 의견이 그렇게 모아지는 분위기입니다..
속편하게 국내 업체에서 구매하면 좋긴한데...
저희쪽에서 국내 견적을 비싸게 받은걸수도 있긴한데..
아마존에 올라온 가격에 배송료 포함해도 가격차이가 좀 있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국내 견적도 한번 다시 받아봐야겠습니다..^^
안규민 2018-10
웹/모바일API 서비스 정도면 굳이 서버 들이지 마시고 aws 도 괜찮습니다  (머신러닝등 하드웨어 리소스가 과도하게 필요하지 않는 가정 )

아니면 장터에 저렴한 10-20만원대 서버도 메모리/디스크만 추가하면 개발용 서버로는 넘치는 성능입니다
제가 개발용도로 구성한다면 ml110 g7 에 메모리/ssd 추가하고 실제 용도에 써본 후 다시 결정해도 될 것 같습니다

3년전에 개발용으로 ml110 g7, e3 1245에 ecc 32g 풀뱅하고 인텔 ssd 물려서 xen 서버로 유용하게 쓰고 보관하다가 얼마전에 장터에 팔았는데 지금 가격보면 다시 사고 싶네요 ㅎㅎ
공알이 2018-10
Lenovo 서버는 기본적인 Base warranty는 Global support가 가능합니다.
즉 월-금요일 업무시간에는 서비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7*24 업그레이드 서비스는 해당 국가에서 구매한것만 인정해줍니다.

즉 미국에서 장비구매시 Upgrade warranty 서비스팩을 구매했고 한국으로 서버가 와서 서비스를 받을려고하면 기본 warranty만되지 upgrade warranty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한국에서 야간 및 주말 지원이 필요하다면 한국에서 서비스팩을 구매하셔야 됩니다.

참고하세요..
sk26 2018-11
윗분 말씀처럼 개발업무용으로 쓰시는 거면  서버 구매하시는 것보다
서버호스팅 이용하시는 것도 방법이에요..

AWS도 많이들 사용하시더라고요..

제가 쓰고 있는 통x아이도 많이들 쓰고있는 호스팅업체인데요..

만약에 호스팅도 알아보게 되신다면
제공 사양도 만족스럽고
우선 가격이 저렴해서 비교해보고 선택하셔도 좋을듯 하네요.

통o아이의 통o서버는
원하는 메모리, 하드용량 등을 선택해서 구축할 수가 있어요..

라이젠 서버가 32G RAM으로 제공되고
커피레이크 서버는 64G RAM으로 제공되네요..
이외에도 카피레이크, 하스웰 서버 등 다양하게 선택이 가능해요..

가격은 SSD/HDD 용량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RAM 32G 이상으로 선택하신다면
구매형으로 최저가가 월 48,000원이고 무약정 임대로 하시면 54,000원이네요.

RAM 64G로 하시려면
구매형은 월48,000원으로 동일하고 무약정 임대로 하면 99,000원입니다.

진짜 제공 서비스에 비해 가격이 정말 좋아요..

가격 이외에도 KT-IDC에 입주해 있어서 안정적이고 보안관리도 괜찮더라고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서버와 조건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홈페이지 방문해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을거예요..

클라우드나 서버로 쓰시더라도
다음에 옮기실 때라도 꼭 한번 비교해보세요..


QnA
제목Page 4527/5725
2015-12   1767711   백메가
2014-05   5242430   정은준1
2015-07   3600   김황중
2020-02   3600   검은콩
2014-05   3600   장동건2014
2020-01   3600   장동건2014
2021-12   3600   미친감자
2018-05   3600   페르세우스
2020-12   3599   두cpu
2014-05   3599   방o효o문
2020-10   3599   GPGPU
2018-11   3599   가상화공부중
2014-03   3599   Won낙연
2021-05   3599   AMD빌런
2017-09   3599   펜잘두통약
2020-09   3599   룰루and랄라
2018-09   3599   ghost
2017-04   3599   머라카는데
2017-07   3599   Won낙연
2017-05   3599   주황별
2018-04   3599   차평석
2014-04   3599   회원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