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4450 |
25 |
2015-12
176445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052 |
0 |
2014-05
5239052
1 정은준1
|
40394 |
일본에 계신 회원님들께 문의드립니다. (1) |
굴다리교 |
2013-02 |
6134 |
0 |
2013-02
6134
1 굴다리교
|
40393 |
NVR로써 iptime NAS는 어떤가요? (19) |
TLaJ3KtYGr |
2020-03 |
6134 |
0 |
2020-03
6134
1 TLaJ3KtYGr
|
40392 |
Hp MicroServer (N36L or N40L) 에 Windows XP 설치 하신분? (2) |
별이되어 |
2012-11 |
6134 |
0 |
2012-11
6134
1 별이되어
|
40391 |
98SE 문제 때문에 몇가지 드리는 의문. (6) |
방o효o문 |
2011-07 |
6134 |
0 |
2011-07
6134
1 방o효o문
|
40390 |
자바스크립트 wait 문 질문 드려 봅니다 (5) |
가빠로구나 |
2014-04 |
6134 |
0 |
2014-04
6134
1 가빠로구나
|
40389 |
iptime 공유기가 접속이 됐다 안됐다 합니다 (8) |
타이호 |
2017-08 |
6134 |
3 |
2017-08
6134
1 타이호
|
40388 |
윈도우 2000 이 설치되는 sas컨트롤러가 있을까요? (2) |
날개승호 |
2011-06 |
6134 |
0 |
2011-06
6134
1 날개승호
|
40387 |
사용중인 모니터 이상증세에 대한 문의입니다. (2) |
최용석 |
2005-09 |
6135 |
52 |
2005-09
6135
1 최용석
|
40386 |
dpi 533 sata 보드 구할 수 있는 대리점 아시는 분 계신가요? (1) |
정재훈 |
2005-10 |
6135 |
90 |
2005-10
6135
1 정재훈
|
40385 |
SSD를 트림 없이 오랜기간 계속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13) |
VSPress |
2022-02 |
6135 |
0 |
2022-02
6135
1 VSPress
|
40384 |
[re] 2885사용하시는분에게 요청드립니다. (2) |
오강석 |
2005-08 |
6135 |
11 |
2005-08
6135
1 오강석
|
40383 |
LG는 추가단말 서비스 하라고 안 뜨나요? (11) |
미수맨 |
2016-11 |
6135 |
0 |
2016-11
6135
1 미수맨
|
40382 |
z620 윈도우 설치및 바이오스 업데이트 문제... (4) |
달인 |
2016-08 |
6135 |
0 |
2016-08
6135
1 달인
|
40381 |
SSD 고민중..(SLC 32G중) (6) |
최솔민 |
2009-02 |
6135 |
0 |
2009-02
6135
1 최솔민
|
40380 |
AM3 시피유 핀이 하나 부러져서요.. (8) |
2CPU최주희 |
2013-07 |
6135 |
0 |
2013-07
6135
1 2CPU최주희
|
40379 |
조립서버 구매할 곳 추천?? (10) |
하정구 |
2012-03 |
6135 |
0 |
2012-03
6135
1 하정구
|
40378 |
이런 현상은 무엇을 뜻하나요? (5) |
이상현 |
2005-11 |
6135 |
3 |
2005-11
6135
1 이상현
|
40377 |
PCI-Ex 슬롯을 꽉 채울 경우에 성능 저하가 있을까요? (5) |
GoodWolf |
2009-07 |
6135 |
0 |
2009-07
6135
1 GoodWolf
|
40376 |
파워서플라이 부품 갈면 품질은 보증할수 있나요? (40) |
장동건2014 |
2018-06 |
6135 |
0 |
2018-06
6135
1 장동건2014
|
40375 |
또다시 vmware 질문입니다. (2) |
장동건2014 |
2011-06 |
6135 |
0 |
2011-06
6135
1 장동건2014
|
보통 서버에서만 달려 나오는 옵션입니다..
https://ami.com/en/products/remote-management/
원 소스는 여기라고 보시면 되는데 이것을 쓸려면 하드웨어 개발시 같이 개발해줘야 하는 것인지라 개인이 모 해보기에는 무리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Q 모델 칩이 들어간 보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런게 있었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7년동안 기술/생산 지원합니다..
서버보다 더 길죠..
그리고 ATM 지원 랜칩셋도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Q 칩셋 보드라도 랜칩셋쪽에서 지원되지 않으면 ATM은 못 씁니다..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이라는 것이 있어요 iDRAC 용도로 만든 것이 아니지만 ILO4나 iDRAC 와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가격이 많이 낮아졌네요.
개략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카드에 있는 랜 포트로 접속 합니다.
보드에 있는 스위치 점퍼로 시스템 전원 On을 할 수 있어요.
PC의 비디오 (DP 출력을) 이 카드로 입력 받아서 압축해서 랜으로 전송 합니다.
랜포트로 접속은 PC용 S/W 가 있고 Zero Client 단말기 선택해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와 리눅스 두가지 플랫폼에서 지원 됩니다.
https://www.ebay.com/itm/TERADICI-by-Dell-PCoIP-Remote-Workstation-Host-Card-TERA2220-512MB-Dual-Display-/113342910764?hash=item1a63c3912c
이 컨트롤러로 iDRAC처럼 동일하게 원격 컨트롤이 가능한 것인거죠 ?
iDRAC은 시스템 리소스에 접근하는데 보드 내부에서 장착된 VGA chip과 이더넷을 연결하면서 특수한 제어 기능 들이 있는데요.
예를 들면 ISO File을 마운트해서 CDROM 드라이버와 같이 사용해서 원격 시동과 OS 설치등이 가능 하지만
TERADICI 은 이런 기능을 전햐 제공할 수가 없어요.
비디오 출력을 인터페이스 하기에 부팅 시점부터 BIOS 입출ㄹ혁 화면과 제어가 가능 한것은 동일합니다.
아래 링크에서 보이는 케이블이 DELL W/S 보드에 연결하면 리모트 On을 (LAN으로 접속하지만 Wake-ON-LAN 은 아님 ) 할 수 있고
일반 피시에서는 이 케이블을 On/Off 점퍼 (케이스에 연결하는 두줄짜리 DIP 에 케이스에서 오는 선과 병렬로 연결해서 ) 에 연결함으로서
전원 버튼을 누르것과 동일 하게 켜고 끄는 기능 ( 끄는 것은 OS 에서 처리 할 수 있음... 이것으로 끄는것은 해보지 않음 .. )
https://www.ebay.com/itm/Dell-Teradici-Tera-2220-Pcoip-PCI-E-3-0-X1-Remote-Access-Host-Card/323212589232?epid=1045228793&hash=item4b40f8b8b0:g:wfgAAOSwDPNa1dG8:sc:USPSPriority!94523!US!-1:rk:10:pf:0
파워케이블은 어디에 붙나 싶었더니 저기에 연결되는 것이었군요.
혹시 원격 제어용 모바일 앱은 없는 것일까요?
그리고 바이오스단의 원격제어는 제공하지 못합니다. 에이전트가 실행되어야 화면이 나와서요..
바이오스단의 원격제어가 않될 수도 있을 것 같군요.
에이전트가 실행 이후에 리부팅에서도 BIOS 진입시 접근이 않되는지요?
테스트 해보 겠습니다.
그런데 않된다면 좀 너절해지긴 하겠지만 TERADICI을 설치하는 PC와 리모트 접근 하려는 PC를 분리 하는 방법도 ..
껐다 켰다까지만 제어되는 것을 IPMI 1.5라고 불릴 껍니다.. (제온 소켓 771 때쯤 유행)
http://www.supermicro.com/solutions/SMS_IPMI.cfm
슈퍼마이크로는 IPMI 기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유틸들을 제공하는데 어떤 것은 무료, 어떤 것은 유료 입니다..
그리고 전원 컨트롤로 해야 한다면, 원격제어 멀티탭 같은걸 사용해도 될듯 하고요.. (OS가 살아 있어서 정상종료 해야 할 상황이라면 말 그대로 원격에서 정상종료 하면 되는거고, Hang이 걸린 상황이라면 어짜피 전원을 꺼야 하니 마찬가지 일거 같습니다. 전원을 켜는건 WOL종류 말고는 방법이....)
요점은 이제 윈도우 진입 후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방식 보다는 하드웨어 방식의 원격 툴을 찾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