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755 |
25 |
2015-12
179075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785 |
0 |
2014-05
5265785
1 정은준1
|
84503 |
손에땀이너무나네요 땀안차는 마우스 없을까요 (9) |
눈팅돌이 |
2018-01 |
8476 |
0 |
2018-01
8476
1 눈팅돌이
|
84502 |
MS IIS 웹서버 메모리 부족 에러 (1) |
tantan11 |
2023-05 |
2438 |
0 |
2023-05
2438
1 tantan11
|
84501 |
윈도우7 을 IDE 와 AHCI 동시 인식하는 방법.... (1) |
성투불패 |
2013-01 |
13133 |
0 |
2013-01
13133
1 성투불패
|
84500 |
하드 소음 문제입니다.. (1) |
니포 |
2015-12 |
3999 |
0 |
2015-12
3999
1 니포
|
84499 |
[질문]장착 가능한 최대 메모리 (8) |
세벌쉭 |
2018-01 |
3964 |
0 |
2018-01
3964
1 세벌쉭
|
84498 |
autocad에서 도면을 열면 메로리가 부족하다고 합니다? (2) |
민규 |
2009-12 |
6543 |
0 |
2009-12
6543
1 민규
|
84497 |
전동 드릴 사보려는데 이런건 어떨까요? (7) |
일론머스크 |
2019-03 |
3971 |
0 |
2019-03
3971
1 일론머스크
|
84496 |
centos named 설정에 관한 질문입니다. (3) |
딸기대장 |
2013-01 |
6275 |
0 |
2013-01
6275
1 딸기대장
|
84495 |
가정집 WiFi 구축 질문 입니다... (5) |
성투불패 |
2013-01 |
6776 |
0 |
2013-01
6776
1 성투불패
|
84494 |
내장 sas 사용법 (1) |
머라카는데 |
2018-01 |
3818 |
0 |
2018-01
3818
1 머라카는데
|
84493 |
중국제 짭X79 보드 지원에 관한 문의드립니다. (6) |
흑곰99 |
2020-06 |
3506 |
0 |
2020-06
3506
1 흑곰99
|
84492 |
Dell T5500에 사용되는 램 종류를 알고 싶습니다. (5) |
그사람 |
2014-09 |
7236 |
0 |
2014-09
7236
1 그사람
|
84491 |
델 노트북 도킹스테이션 문제...입니다. (2) |
남회귀선 |
2021-10 |
2494 |
0 |
2021-10
2494
1 남회귀선
|
84490 |
lsi 9211 카드를 그래픽 카드 꽂는 곳과 똑같은 사이즈의 다른 슬롯에 꽂아도 되나요? (13) |
아리강강 |
2023-06 |
2330 |
0 |
2023-06
2330
1 아리강강
|
84489 |
개발용 컴퓨터 메인보드 어느정도가 괜찮을까요? (14) |
iddqd |
2019-03 |
4310 |
0 |
2019-03
4310
1 iddqd
|
84488 |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는 네트워크 설정(고정ip, 공유기 2대) (9) |
수퍼맨1 |
2016-01 |
7427 |
0 |
2016-01
7427
1 수퍼맨1
|
84487 |
이게무슨 포트일까욧? (17) |
행복하세 |
2020-06 |
4331 |
0 |
2020-06
4331
1 행복하세
|
84486 |
sata 전원선 슬리빙 위험해 보이시나요? (22) |
타운타운 |
2023-06 |
2621 |
0 |
2023-06
2621
1 타운타운
|
84485 |
다시 질문 들려요 로컬영역연결상태에서 보냄과 받음에서 받음이 높아도 너무 높네요 (4) |
최시영 |
2013-02 |
22598 |
0 |
2013-02
22598
1 최시영
|
84484 |
ddr2 fb가 워낙 저렴하게 풀려서 해당램 지원하는 보드셋 구해보고 싶습니다. (3) |
겨울나무 |
2014-09 |
5280 |
0 |
2014-09
5280
1 겨울나무
|
https://spectrum.ieee.org/at-work/innovation/the-2018-top-programming-languages
분야에따라 사용하는 언어가 워낙 다르니 뭐가 낫다고하기 어렵습니다.
취미라고는 하지만 어셈블리는 좀 아니지싶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쓰는 언어가 이래저래 좋습니다.
어셈블리는 제가 생각하는 목적과 방향성이 맞지 않는건가요?
아니면 배움의 난이도 때문에 추천하지 않으시는건가요?
저는 취미로 어셈블리를 시작해서 C를 공부하고 지금은 OS 제작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경력이 전무하다시피하고....FreeBSD를 윈도우보다 편하게 쓸수 있었던게 컴퓨터에 대해서 아는 것의 전부였죠....
진정 관심이 있고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버텨낼수 있습니다....
씨피유 레지스터 제어나 임베디드 조금만 파다보면 어셈 -많이는 말고 조금이라도- 알아야해요.
로레벨 한개, 하이레벨 언어 한개... 이래 배워두면 좋긴한데... 직업적으로 안쓰면 까먹어요^^
참고로, C언어는 이해과목이 아니라 암기과목입니다 ㅋ
컴퓨터 아키텍쳐를 공부하고 나면 C는 암기과목이 아니라 이해과목이라 생각합니다
TCPL이랑 C Programming A Modern Approach 두 권만 제대로 읽어도 충분합니다
보통 리눅스/유닉스의 전반적인 셋팅은 C를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기초적으로 해야 할 것은 영어입니다..
주 사용 언어를 고르기 위해서 pascal, ada, modula-2 등 여러가지를 배워봤는데 제게는 C가 제일 편했습니다.
개발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포인터와 메모리 관리인데 최신 C++에서는 자동 메모리 해제도 있습니다.
업종이 임베디드 시스템이라 C만 하게 되다보니, C가 익숙하고 편합니다.
파이썬을 좀 해보려고 노력중입니다만, 실전에서 쓰는 일이 많지 않다보니 자꾸 까먹고 적응이 잘 안됩니다. ㅎㅎ
한구님부터 형호님까지 소중한 경험과 의견들 많이 생각해보고 수렴하겠습니다.
정말 많은것 얻어갑니다.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이라는 의미는 OS를 만드는일 부터 응용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서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다 C로 만들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어차피 컴퓨터의 운영체제(유닉스, 리눅스, Windows, BSD, RTOS, 기타 펌웨어에 이르기까지..)가 전부 C로 프로그래밍 되어 있기 때문이죠.
(일부 코드는 어셈코드 포함) 어쩌면 당연한 얘기를 하고 있는 건지도..
언어는 고급언어부터 출발하셔서 실용있게 쓰신 후, 더 필요하신 경우 저급 언어로 가시면 효율적이지 않을까 하네요.
라이브러리 및 운영체제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관련이 있다면 C,
하드웨어를 직접 건드리는 초기 부팅코드 같은 거라면 어셈블리..
각각의 용도는 다릅니다. 필요에 따라 적당한 언어를 골라서 배우면 됩니다.
사용하기는 어려운 언어중 하나입니다.
성능이 중요한가?
다양한 os에서 돌린건가?
서버,클라이언트인가? 웹?앱? pc환경?모바일환경?
아니면 단독 실행인가?
db가 필요한가?
이런 요구사항이 있어야되지 않을까하네요
이런 고민을 해보시고 선택해보세요
그런데, c가 지금의 언어의 조상정도 되니, c를 조금이라도 알면 다른언어로 전향하기 편하긴하나, 꼭 그렇지는 않아요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나쁜 습관을 들이는 언어일 수 있습니다.
저도 C 30년, JAVA 20년인데 아직까지 JAVA를 C처럼 사용합니다.
최근에 Python에 재미가 붇어서 몇몇 utility를 만들오 보았는데 나중에 보니까 Python 문법을 사용한 C 였습니다.
저희 대부분 직원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프로그래밍언어도 언어 입니다.
용도에 맞는 언어도 있겠지만 특정 언어를 특정 언어처럼 사용하는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야 JAVA/Python을 C 처럼 사용하는, 다른말로 언어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우름 범할 수 있습니다.
횡설수설했네요.
그냥 아무 언어나 상관없고, 그 언어를 그 언어처럼 배우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드웨어에서 출발하는 프로그래밍이랑 소프트웨어에서 출발하는 하드웨어 접근 프로그래밍은 많이 다를 거라 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도 마찬가지로 많이 배우고 알면 도움은 정말 됩니다. 활용은 별개로 친다고 하더라도.
시작은 취미라고 하셨으니 그 취미에 맞게 언어를 선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추천은 윗분들이 많이 하셔서.
리눅스는 꼭 아니더라도 쉘 스크립트 하나만으로 시스템으로 전체적으로 통제 운영도 가능하니 요것도 추천드려봅니다.
이 부분을 좀더 구체적으로 세분화 시켜야 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을 배워서 로보트를 만들어보겠다든지,
OS 관련으로 유닉스, 리눅스 관련 또는 제2의 MS windows 를 만들겠다든지,
자동화 기기를 조작하는 임베이디드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든지,
스마트폰을 띄어넘는 혁신적인 새로은 폰을 만들어보겠다든지,
그런 구체적으로 세분화된 목표가 정해져야 그에 맞는 공부가 달라진다라고 알고 있습니다.
(취미로 시작했다가 대개발자가 되실수도 있으니 , 조심스러워지내요)
20년전에 리눅스가 좋아서 IT에 들어왔다는 미닉스 김현성작가님 글도 읽어 보시면 재밌을 것 같습니다
불만점이 없는 건 아닙니다만 교육용으로는 이만한 언어가 없다는 생각은 듭니다. 생산성도 높고...
C++나 어셈블리로 출발하는 것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계열을 노리신다면 좋은 선택...이라고 하고 싶기는 합니다만 도중에 학습 의지가 꺾여버릴 가능성이 제법 높아서 입문용으로는 썩 권장하고 싶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