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에 m.2 슬롯이 1개뿐이라 PCI to M.2카드를 살려고합니다

   조회 5501   추천 0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8-11
이규섭 2018-11
2개를 꽂으려면 별도의 PCIe 분배칩이 필요합니다.
$2~30 밑에서 칩이 붙어있는걸 찾기는 힘들죠.

알리같은데 말고 아마존 등지에서 가격대를 높이면 찾을 수 있습니다.
보통 M.2 NVMe가 4배속 지원이니
2개를 꽂는 제품이 정상적인 놈이라면 8배속이 필요하고
4개 꽂는 제품이 정상적인 놈이라면 16배속이 필요하죠.

그리고 그런 고급 제품은 대부분 M타입입니다.
B타입까지 지원하는건 SATA 컨트롤러칩 또는 SATA 케이블 꽂는 단자가 나와있습니다.
BLUENOISE 2018-11
이 제품이 B타입(SATA)와 M타입/B+M타입(M.2 NVMe)를 모두 지원하기는 합니다. 다만, B타입(SATA)는 카드에 SATA 케이블을 연결해주어야 합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5615315

M타입 여러개를 연결하시고 싶으시다면 ASUS Hyper M.2 x16 카드가 구매하기 쉽고 가격도 무난합니다. 다만, 메인보드 지원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https://www.amazon.com/Asus-Hyper-M-2-x16-Card/dp/B0753JTJTG
     
이규섭 2018-11
에이수스 제품 좋은 가격에 잘나왔네요. 나중에 저도 하나 사야겠습니다.
     
와우 감사합니다 .. 좋은제품이네요.

보드는 asrock b150m hyper보드라 지원할듯해보입니다..
          
BLUENOISE 2018-11
ASRock 메인보드들이 최신 버전의 BIOS 기준으로 Sunrise Point 칩셋 탑재 메인보드에서도 PCIe Bifurcation을 지원해주기는 합니다만..... B150M Hyper에서 동작할지에 대해 확답은 어려울 듯 합니다.
그런데 B150M 메인보드라면 x16 슬롯 2개가 각각 x16과 x4로 분배되어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댓글의 확장 카드를 사용하시려면 그래픽카드를 x4 슬롯에 장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호환이 된다고 하더라도 권장하고 싶은 구성은 아닙니다.
               
하스웰보드에서도 꽂아서 사용하는분 봤으니 아마 지원해주지 않을까요 ㅎㅎㅎㅎ
                    
BLUENOISE 2018-11
아... 위에 제가 댓글로 설명한 것은 두 번째 제품인 ASUS Hyper M.2 x16입니다.
첫 번째 제품인 LS-PCIE-M2SATA는 B150M Hyper에도 문제 없이 동작합니다.
     
간장게장 2018-11
제가 지금 M.2 NVMe 두개를 8배속 슬롯에 꽂으려다가 고생을 좀 하고 있는데요. 이게 가능하려면 둘 중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카드가 PLX PCIe 스위치 칩을 가지고 있어서 두 M.2 NVMe를 마치 각각 다른 슬롯에 꽂혀있는 것 처럼 동작시키거나, 메인보드가 PCIe bifurcation 수동 설정을 지원해서 8배속 슬롯 1개를 4배속 2개로 분할시켜주는 것이 가능해야 합니다.
제가 찾아보기로는 PLX 칩이 들어가는 것은 하나 밖에 못 찾았습니다:
http://a.co/d/3vuvEJv
8배속 슬롯이기 때문에 아마 peek performance는 조금 깎아먹게 될 것 같습니다. 어쨌든 스위치 칩 때문에 가격이 엄청납니다.
PCIe bifurcation이 필요한 카드는 HP의 Z Turbo Quad Pro나 유사한 DELL의 제품도 있고요. 위에 BLUENOISE님이 알려주신 ASUS 제품, ASROCK 것도 있습니다. 이것들은 모두 16배속 슬롯에 M.2 NVMe 4개를 장착하는 형태인데, 저는 TX1310 M1의 8배속 슬롯에 꽂을 생각이었기 때문에 SUPERMICRO의 아래 제품을 구입했습니다:
http://a.co/d/80aLTqb
한 슬롯에 2개 이상을 꽂을 생각이시면 메인보드에서 PCIe bifurcation을 설정하는 항목이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 그게 안되면 1개 밖에 동작이 안됩니다.
     
BLUENOISE 2018-11
PLX 칩셋이 들어간 확장 카드로는 Supermicro AOC-SHG3-4M2P도 있습니다.
Aplicata Quad M.2와 마찬가지로 PCIe 3.0 x8 슬롯용이며 훨씬 저렴한 120불 정도에 구매가 가능합니다.
          
오 AOC-SHG3-4M2P.. 이런게 있었군요.
간장게장 2018-11
ASUS Hyper M.2 x16

요거는 Intel scalable Xeon이나 Intel X299 칩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모양입니다. 그런 보드라고 다 되는 것은 아니고 지원 여부는 메인보드마다 살펴보아야 합니다. Asus 메인보드라면 문제가 없겠지요.

여기(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24550/memory-and-storage.html )에 Intel® VROC에 대한 설명이 있습니다.

기타 다른 분배칩들을 사용한 카드들도 되는 보드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보드에서는 4 port가 있어도 하나만 된다든지 합니다.

가장 범용성이 높은 것은 PLX 칩(PCIe switch)을 쓴 것들입니다. 이런 카드들은 꽤 비쌉니다.
PCIe 3.0 x8 슬롯에 꼽아 PCIe 3.0 x4 NVMe를 4개 혹은 8개 쓸 수 있도록 해 주는 것들이 있습니다.
이건 x16을 x4 4개로 분배해 주는 스타일이 아니라 스위치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NVMe 각각은 x4로 작동하지만 NVMe 8개를 꼽아 보아야 PCIe 3.0 x8 대역폭을 초과하지는 못합니다.
그럼 NVMe 3개만 달아도 병목현상이 있을 것 아니냐? 그렇기는 합니다.
보통 이런 저런 오버헤드 제외하고 6.3GB/sec 정도가 나오는데, sequential 속도는 NVMe 3개만 달아도 대역폭을 채웁니다.
그러나 저런 것 쓰는 목적이 보통 random read/write IOPS를 높이기 위함인데, 4K random write로 PCIe 3.0 x8 대역폭을 채우려면 optane SSD P4800X 같은 것 4개가 동시에 작동해야 합니다. optane 아닌 일반 NVMe SSD인 P3700 같은 것으로는 20개 쯤 되어야 대역폭을 채웁니다.
그러니까 저런 스위치 보드들이 쓸모가 있는 것이지요.

RocketRaid, SuperMicro, Intel, Oracle 등에서 PLX 칩을 채용한 모드들이 나와 있습니다. 이중에서 써 보니 잘 된다는 사용기들이 올라와 있는 것은 RocketRaid와 SuperMicro의 것 정도.(SuperMicro의 카드 중에는 PLX 칩을 쓴 것과 쓰지 않은 것이 다 있으니 확인 필요)

커넥터는 SAS에서 사용하는 SFF-8643을 채용한 것도 있고, OCuLink를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U.2나 M.2로 변환 가능합니다. 케이블 값도 비쌈.

인텔은 SSD 인터페이스를 SAS에서 NVMe로 바꾸려는 생각인 것 같지만 아직 12G SAS도 만만치는 않은 것 같습니다. optane SSD는 별도로 치고, optane 아닌 SSD들은 SSD 자체 속도(random write)가 그리 높지 않으니 SAS나 NVMe나 그게 그것인 정도(12G SAS SSD 좋은 것의 경우). SAS는 기존의 backplane이나 RAID 카드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이용훈 2019-03
이글을 조금 더 빨리 보았더라면 좋았겟네요 ㅜ.ㅜ
 PCIe bifurcation 이것을 BIOS MOD 로 수동을 조절이 가능 할까요?

https://www.reddit.com/r/intel/comments/7vo43p/will_intel_add_vroc_support_for_older_cpus/
위 링크에보면 C612 보드에서 시도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제 짧은 영어로는 이해 할수 없어 구글번역의 도움을 받았지만
결론이 어떻게 난 것인지 알수가 없는데요.
혹시 전문가들의 의견은 어떠 하신지요?

오래된 글이지만 혹시나 싶어 글 남겨봅니다.


QnA
제목Page 1489/5727
2015-12   1776386   백메가
2014-05   5251343   정은준1
2018-12   3047   메모리님
2018-12   4818   chotws
2018-12   2890   삐돌이슬픔이
2018-12   7617   catstyle
2018-12   6204   늘파란
2018-12   9202   네이쳐
2018-12   3239   윤치열
2018-12   4111   화란
2018-12   3210   Sikieiki
2018-12   2680   호박고구마
2018-12   5297   umeo
2018-12   3449   데네브
2018-12   3108   전진
2018-12   3126   인디고
2018-12   6217   적이
2018-12   2975   션한맥주
2018-12   3871   민사장
2018-12   2482   winner712
2018-12   3453   신은왜
2018-12   9742   제주김재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