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843 |
0 |
2014-05
513984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437 |
25 |
2015-12
1674437
1 백메가
|
48642 |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질문입니다. (2) |
장태주 |
2005-06 |
5619 |
38 |
2005-06
5619
1 장태주
|
48641 |
레이드 컨트롤러에서는 하드 디스크 펌웨어 업글이 안되는 것인가요? (4) |
이문흠 |
2006-03 |
5619 |
7 |
2006-03
5619
1 이문흠
|
48640 |
디지털도어락 중 비밀번호를 원격으로, WIFI를 이용해서 변경할수 있는 제품이 있는… (6) |
머리감자 |
2021-06 |
5619 |
0 |
2021-06
5619
1 머리감자
|
48639 |
NAS의 PCIe 4x 슬롯에 Raid 카드 사용할 수 있을까요? (6) |
통통9 |
2019-01 |
5619 |
0 |
2019-01
5619
1 통통9
|
48638 |
회원님들의 도움으로 일부 문제는 해결했습니다.. (2) |
최영철 |
2005-09 |
5619 |
43 |
2005-09
5619
1 최영철
|
48637 |
스미필드코어 써보신분 계십니까? (1) |
고윤철 |
2005-06 |
5619 |
11 |
2005-06
5619
1 고윤철
|
48636 |
랜 케이블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4) |
김용수_ |
2007-02 |
5619 |
4 |
2007-02
5619
1 김용수_
|
48635 |
HP 마이크로서버 Gen8 Array에 관련하여 (11) |
테돌아이 |
2015-05 |
5619 |
0 |
2015-05
5619
1 테돌아이
|
48634 |
삼성프린터 ML-5010ND 프린터 메모리 ML-MEM170 종류 알수없어요. (12) |
안현상 |
2016-10 |
5619 |
0 |
2016-10
5619
1 안현상
|
48633 |
IDE raid 카드 하나만 추천해주십시오. (8) |
박영희 |
2006-03 |
5619 |
21 |
2006-03
5619
1 박영희
|
48632 |
컴에서 나오는 소리 녹음에 관하여 (6) |
김효수 |
2008-11 |
5619 |
16 |
2008-11
5619
1 김효수
|
48631 |
팬티엄디 805+아서스 p5ld2 보드 (3) |
김대성 |
2006-02 |
5619 |
4 |
2006-02
5619
1 김대성
|
48630 |
FIBER 로 네트워크 구성시.. (2) |
김병우 |
2008-06 |
5619 |
23 |
2008-06
5619
1 김병우
|
48629 |
nForce4(ultra) MoBo에 SATA HDD 사용시 부팅지렁이 딜레이 (2) |
양성수 |
2005-11 |
5619 |
18 |
2005-11
5619
1 양성수
|
48628 |
tyan s2895(k8we) 쓰시는 분 중에 파워 voltage 모니터링 관련 질문입니다. (3) |
오강석 |
2005-10 |
5619 |
5 |
2005-10
5619
1 오강석
|
48627 |
삼성830 노트북용은 사이즈가 1.8인치인가요? (11) |
미수맨 |
2012-06 |
5619 |
0 |
2012-06
5619
1 미수맨
|
48626 |
[질문] 각종 커넥터나 메인보드 사이즈? (2) |
김대원 |
2008-03 |
5619 |
7 |
2008-03
5619
1 김대원
|
48625 |
일반SD메모리를 도킹해서 USB메모리로 사용하고 싶습니다. (3) |
곽순현 |
2008-02 |
5619 |
8 |
2008-02
5619
1 곽순현
|
48624 |
PCI-X 슬롯 서버보드에 PCI 2.2 호환 카드 사용 (1) |
서원택 |
2005-12 |
5619 |
3 |
2005-12
5619
1 서원택
|
48623 |
bios 업데이트중 입니다만.. (1) |
임철혁 |
2006-03 |
5619 |
40 |
2006-03
5619
1 임철혁
|
http://netfrontlife.blogspot.com/2011/02/dlna-1-dlna.html
방향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보통 영상물과 관계가 있을 듯합니다..
백업 저장소는 디스크 베이스의 저장소가 될수도 있고 테이프 베이스의 저장소가 될수도 있습니다.
백업에서 I/O를 늘린다는 의미는 결국은 백업 데이터를 분산해서 저장해서 백업시간을 단축하겠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실듯 합니다.
백업 용량이 큰 경우에는 백업컨트롤러서버와 백업미디어 서버여러대의 형태로 구성하기도 합니다.
백업마스터서버->백업대상서버서버 <-> SAN S/W <-> 테이프장치(PTL - Physical Tape Library)
같은 형태를 띄고있으나
백업마스터서버->백업대상서버서버 <-> SAN S/W <-> 미디어서버 <-> 테이프장치(PTL)
또는
스토리지 <-> SAN S/W <-> VTL장치(Virtual Tape Library) <-> 테이프장치(PTL)
같은 구조로도 구성되기도 합니다. 스토리지 복제 같은 백업도 있지만 이거는 다른 부분이니 패스하고요..
다 이렇다는건 아닙니다..
Tpae에 직접 기록하거나 읽어서 복구하는 방식은 로딩-삽입-순차일기/기록 방식이기때문에 아무리 SAN백업이라해도
시간 소요가 걸리는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요..
이러한 부분을 조금 더 개선하는 방식이 중간에 미디어서버나 VTL전용장비를 두어 디스크(인터널, 외장등)를 Tape처럼 기록하여
빠른 읽기/쓰기를 통해 백업/복구를 구현하게 해줍니다.
VTL전용 어플라이언스 장비를 준비하기도하지만. 일반 서버에 외장디스크를 붙여 미디어서버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결국 Tape에 넣지 않고 디스크에 저장하거나 하는 백업의 형태는 미디어 백업(VTL)으로 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