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를 해야하나 고민입니다.

subshot   
   조회 4019   추천 0    


 해당 220V LED를 사용하는데 작동시 뒤의 방열판 부분에 50V정도로 예상되는 전압이 측정됩니다.

너무 높은 전압이라 깜짝 놀라서 나사를 풀고 위의 사진처럼 캡톤테잎으로 간단히 분리 시켰는데도 방열판 부분에서는 20V중반이 측정되며

LED 하우징에서는 50V정도의 교류전압이 계속 측정됩니다..


테스터기로 체킹(한쪽단자는 손에, 한쪽단자는 방열판에 교류/750에 놓고 측정)해본결과 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부분은 없는것을 보아 교류전원인 만큼 유도전류가 발생한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인데. 나사로 체결시 결국엔 방열판 부분에도 50V가 흐르게 될텐데 접지시 과전류가 흘러서 문제(발열,전기세,등등등)들이 발생하지 않을까 싶어 걱정입니다..


위의 사진에서 전원부분만 밖으로 빼낸 것과 안쪽 중간에 두는것이나 차이가 없이 20V중반이 유기되고 있습니다 ㅠㅠ...

또한 해당 소자에서 에폭시에 잠긴 왼쪽위와 오른쪽아래 작은 금속노출부위가 있는데 둘 다 전혀 별개의 점 이며 LED하우징, 각 전원 단자,상호간 연결 모두 안되어있는 뜬금없는 부분이라 무엇인지 모르겠으며 Ground Wire라고 적혀있는것도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를일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차이하네 2018-12
저도 전알못이긴 한데 혹시나 해서
단상 220V면 플러그 뽑아서 방향 반대로 다시 꼽아 보시죠
다롱이 2018-12
몸에 닿을일이 없으면 접지 안해도 될것 같습니다.
무아 2018-12
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파란선과 방열판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해봅니다.
갈색선과 방열판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해봅니다.
각 저항값이 매우 높게 (수백킬로오옴 이상) 나온다면 방열판을 접지해도 무방합니다.

예전엔 방열판과 절연이 필요할 경우 운모판 같은 걸로 졀연을 시키긴 했습니다만.. 만만치않은 작업이죠.. 운모판 대신 고내열 필름을 쓰기도..
켑톤테이프를 방열판에 미리 코팅하듯이 발라주고 부착하는게 그런 역할이 될 것 같은데요.

AC전압이 약하게라도 측정이 되는 이유는 방열판 -  캡톤테이프 - LED 가 커페시터 같은 구조가 되기 떄문입니다. 그래서 AC 교류가 넘어가는데.. 커페시터 용량이 얼마되지않아서 접지해도 무방할 것 같은데요.

나사도 보면 절연 나사라고 하여 고내열 플라스틱/세라믹 볼트 너트가 있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EC%A0%88%EC%97%B0+%EB%B3%BC%ED%8A%B8&safe=active&client=firefox-b-ab&tbm=isch&tbo=u&source=univ&sa=X&ved=2ahUKEwiwo5Trl7bfAhXFErwKHTP5AdEQsAR6BAgEEAE&biw=1908&bih=937
페선생 2018-12
상바꿔보세요 ...
subshot 2018-12
우선 차이하네님과 페선생님이 말씀하신 상을 바꾸는것은 혹시나?!하고 시도해본 결과(코드 방향도 반대로도 해보고 납땜도 새로 해보았습니다) 전혀 다를것이 없었습니다, 몸에 닿을일이 있을 수가 있어서 접지는 꼭 해야 할듯 하며 무아님께서 말씀하신 저항 측정의 경우는
각 결선들과 해당 소자의 알루미늄판, 외부 방열판 모두에서 측정이 되지가 않아서(제 테스터기의 최대 측정수치인 200M옴에 놓고 했으나 반응이 없는것으로 보아 그 이상이라고 생각됩니다)모르겠으나 전압이 워낙 놉게 측정되어서 혹여나 접지시 과전류가 흘러갈까봐 겁이나서 함부러 건드리기가 두렵네요 ㅠㅠ 해당 절연 나사들은 종종 보긴 하였으나, 앞서 말했듯 해당 소자자체 알루미늄 하우징에도 전압이 인가되어서(50V) 겁나네요...
그리고 방열판으로 쓰는 면이 워낙 넓어서 와전류도 발생되어서 문제가 생길것 같기도 하고 교류는 굉장히 까다롭네요...
     
무아 2018-12
알루미늄의 저항 측정을 할 떄 주의해야할 것이.
원래 알루미늄은 평소에 표면이 산화되어 산화알루미늄 피막이 형성됩니다. (부도체죠)
그런데 이게 나사로 연결하면 표면을 긁으면서 채결되여 피막 없이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알루미늄 표면에서 저항 측정을 할 경우엔 테스트 침을 살짝 힘줘서 측정하든지 나사 같은 것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테스트로..알루며늄 방열판 자체의 저항을 측정해보세요. 평소엔 저항값이 매우 높게 나오지만 모서리나 흠이 있는 곳에서 측정하면 저항값이 매우 낮게 나옵니다.
subshot 2018-12
문뜩 콘센트의 접지핀과 방열판 사이 전류를 테스터기로 측정해 보았는데 0mA가 측정이 됩니다.
이렇게된거 차단기 믿고 접지를 해야겠습니다
     
무아 2018-12
전류가 0mA 라면 전기가 흘러서 저항값이 0 이라는 의미도 될 수 있습니다. (아예 전압이 걸리지 않아도 0mA 나오기도 하지만).
그리고 전류 측정을 AC 모드로 하신 거 맞는지? DC 모드로 두고 전류 측정하면 0 일 수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663/5708
2015-12   1677396   백메가
2014-05   5143198   정은준1
2016-01   4019   장동건2014
2016-12   4019   알파고
2018-11   4019   SXWHVa
2018-05   4019   소나기눈
2016-03   4019   빨간망또
2017-12   4019   킵고잉
2014-01   4019   빠시온
2016-03   4019   무아
2017-05   4019   김주현
2016-02   4019   두리안
2016-02   4019   디비디
2014-10   4019   엠씨산
2016-10   4019   이원재K
2015-01   4019   민가놈
2014-09   4019   천마건빵
2018-06   4019   Win31
2018-08   4020   통통9
2016-09   4020   삐돌이슬픔이
2014-03   4020   comduck
2017-12   4020   Peer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