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티관련 고수분들께 문의드립니다.(edge router + AP)

waney   
   조회 6607   추천 0    

평소 2cpu 고수분들께 많은 도움을 얻고 있는 초보회원입니다. 

(가입연수는 채워가지만 .. 내공을 생각하면 계속 초보일듯 하네요)


다름이 아니라 유비쿼티제품들을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구매하기 버튼을 막 누르려는 중.. 몇가지 궁금점이 있어 이렇게 고수분들께 문의 드리오니 제 부족한 물음에 너그러운 조언 부탁드립니다.


사용 조건 : 2층 구조의 주택 (1층 50여평, 2층 20여평)

현재 사용장비 : asus rt-88u + netgear 108t 2EA

구매 희망장비 : 

a. router (edgerouter 또는 USG)

b. AP (Unifi uap-nanoHD 또는 uap-ac-lite 복수)

c. cloudkey ( 시놀로지918+ docker 이식을 고려중)


asus rt88u를 정말 야심차게 구매했지만, 생각보다 넓지않은 커버리지에(콘크리트 벽이 문제인지 생각보다 낮습니다) 생각보다 높지않은 전송속도에 변경을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몇 가지 궁금점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1. 보호기능 

-> 라우터의 보호기능이 일반 상식으로는 당연 전문적 브랜드인 유비쿼티가 좋을 것이다라고 막연하게 생각하지만.. 뭐가 어떻게 장점이 있을까요?


2. USG vs Edge router lite 

-> 구글링, 유투브 등을 참고하면 다들 무조건 엣지라우터로 가라고 합니다. 확장성이나 설정의 폭이 현저하게 많다라는 것인데요.. 

 저도 소소하게 이런거 탐구해보는 것이 취미인만큼 엣지라우터로 갈까 하는데, 다음에서 물어볼 컨트롤 OS나 ap의 조작관련하여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지않을까 걱정이 되어서 선뜻 구매를 못하고 있습니다.


3. Controller OS (EdgeOS / UNMS / Unifi controller)

-> 일단 AP는 unifi controller 를 이용해야하는 것으로 알고있고 별도의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던지 크라우드 키를 이용해야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UGS 를 이용할 경우 ugs 컨트롤 화면에서 어느정도 확인, 및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유투브에서 확인 했습니다만. edge라우터일 경우가 아직 파악이 되지 않았습니다.

엣지라우터의 경우 기존에 edgeos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정식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니 UNMS라고 기재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헷갈리는게 UNMS와 unifi controller와는 상이한 것인지... 상이한 것이라면 연동은 되는 것인지... 아니면 별도 각각OS별로 설정을 해줘야하는 것인지... ㅠㅠ 조언 부탁드립니다. 일단 마음은 엣지라우터쪽으로 기울었는데 이런 부분때문에 좀 주저되고 있습니다.


4. UAP-nanohd vs uap ac-lite

->당연히 가격이나 스펙 모두 nanoHD가 높습니다 . 처음엔 uap-ac-LR을 이용하려 하다가 약간의 스펙차이에?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보고 가성비로는 차라리 lite 두대를 놓는 것이 낫겠다 싶었는데, 또 이놈의 신상병이 있어.. wave 2 규격을 지원하는 NanoHD에 관심이 가더군요... 

이 고질적인 스펙병에 ... 최고 점수를 찍어보겠다고 wave2 지원되는 HD를 구입후 추후 하나씩 늘려갈까 싶은데... 이부분에 대한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급하게 적느라 주저리 주저리 궁금한 점만 나열했네요...

요점은.. 

1. 기성 공유기에 대비해서 전문 라우팅장비들이 안정성, 보호력이 월등하냐? 와

2. ap를 운용하기에 엣지라우터와 USG의 차이점.. 입니다.


많은 고수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선호 2018-12
무선에 대한 불만이신것 같은데, 여느 공유기/AP든 간에 5Ghz 신호는 콘크리트를 통과하지 못합니다.
더군다나 유비쿼티 AP 장비와 ASUS ac88u의 무선 속도를 비교한다면 ac88u의 속도가 월등히 높습니다. 그나마 nano 정도 와야 붙어볼만 하지요.
Wave1 2T 2R 클라이언트 기준 실제속도 500Mbps 정도는 보여주고 있는데 이 이상을 원하시면 wave2 지원 제품이나 유선으로 선택하셔야합니다.

5Ghz를 정상적으로 사용하시려면 공유기든 AP든 1층에 하나 2층에 하나는 설치해주셔야합니다.
     
waney 2018-12
말씀 감사합니다. 실제로 커버리지가 부족한 곳에는 아이피타임 공유기를 ap모드로 뿌려 두고 있기는 한데요.. 이러다보니 속도도 전환도 다 별로라 메쉬로 묶어볼까 고민중입니다 ㅠㅜ
          
이선호 2018-12
iptime a3003ns,3004ns 도 많이 쓰고있지만 속도면에서 불편함을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iptime 성능이 낮은것보다는 국내 전파법때문에 출력을 높히지 못하는 원인이 크지요. 전파법 위반이긴 하지만 지역을 미국으로 설정하면 커버리지가 넓어지기는 합니다.
 
aruba나 cisco를 쓰셔도 생각만큼 좋은 속도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이런 AP들은 속도보단 다중 접속시 안정성을 우선시 해서 만들어진 것이구요. 궁금한것이 어느정도의 속도를 원하고 계신건가요?

Unifi 모델도 몇 사용하고 있지만 천지개벽수준의 커버리지를 자랑하는것이 아닐뿐더러 무선 속도도 KT 번들(미디어텍 듀얼코어) 보다 못합니다. 속도나 커버리지는 생각보다 많이 아쉬워도 천장에 달아놓으면 일단 예쁘긴 합니다.
               
waney 2018-12
'천장에 달아놓으면' 이 무척 큰 요소중 하나이긴 합니다^^
일단 asus 공유기의 경우 그 덩치도 무척... 큽니다. 거실장 위에 올려놓으니 우주선 같은 괴기한 모습에.. (혹자는 멋지다고 합니다만, 제취향은 아닙니다)
속도 부분에서는 딱히 최고의 속도를 원한다라기보다 각 방에서 끊기지 않고 원활히 작업을 할 수 있을만한 속도를 바라고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가정으로 들어오는 인터넷이 sk 기가라이트(500mbps)인데 앞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sk 번들 wi-fi 장비에 철저하게 발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kt와 동일 스펙인 m사의 제품입니다)
그래서 asus, iptime, 번들공유기 이런식으로 곳곳에 비치해두고 사용을해보니 airplay 인식불가 등 사소한? 편의문제가 툭툭 튀어나오더군요(인터넷 자체는 잘됩니다만, 대역대가 같음에도 dlna 장비를 못찾는 다던지, airplay가 인식이 안된다던지 하는)
상황이 이렇다 보니 메쉬네트워크를 생각하게 되었고, asus의 ai mesh를 해볼까 했었지만 평이 너무 좋지 않아 중고처분 후 넘어갈까 했었습니다. (더욱이 asus의 경우 2.4ghz 대역, 아답터, 발열 등 고질적인 문제들이 제법있습니다.)

말씀주신 부분대로라면.. 안정성은 보장되더라도 속도에는 큰 기대를 하면 안되는 부분이겠네요 ㅠㅠ 깊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선호 2018-12
5Ghz를 원하시는듯 하여 기재하면.. 저도 ac88u, ac87u를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5Ghz 커버리지가 넓지 않습니다.
53평대 아파트 거실에 설치해놓았는데 구석방에서는 5Ghz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힘듭니다.
이는 ASUS 제품의 문제라기 보다 5Ghz 자체의 특성이 그렇습니다. 5Ghz 고속전송을 원하시면 지금처럼 1층에 2개, 2층에 1개정도는 사용하셔야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줄겁니다.
                         
waney 2019-01
혹시 asus 두 대 이상 사용하시면서 upnp라던지 애플제품 사용하시면서 airplay 인식에 문제 없으신가요?
저의 경우는 메인 라우터-스위치-ap 로 확장 되어 뿌려진 무선신호로 접속시 타 스위치 또는 메인 라우터에 물려있는 애플 장비가 보이질 않은문제가 있습니다.... 아이피 대역은 같고 옵션설정을 이리저리 다 해봐도 ... 안되더군요. 그래서 동일 브랜드의 제품으로 묶어볼까 해서 유비쿼티를 알아보게 된 경우입니다. 혹시 비슷한 사례를 해결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박문형 2018-12
넓은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AP는 다나와에서 매쉬라우터라고 나오는 것들이 있는게 그 쪽 제품군을 알아 보는게 좋아 보입니다..

국내 전파법 때문에 AP 1개당 17DBm 이상 사용하지 못합니다..

그 이상으로 출력을 높이면 나중에 걸려서 벌금 물게 됩니다..
     
waney 2018-12
말씀 감사합니다 메쉬군은 넷기어 오르비를 포함 여러개 비교해봤는데 해외사용자들의 평을 보니 가격대비? 만족스럽지 못한가 보더군요 ㅠㅜ 그래서 유비쿼티를 써보고싶기도 한 김에~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출력보다는 안정적인 커버리지가 우선이라 ap 두세개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박문형 2018-12
셋팅이 가능하시면 미크로틱도 있긴 합니다..
               
waney 2018-12
미크로틱은 좌절하는 분들의 경함담을 많이봐서 감히 ㅜㅠ 도전을 못하겠네요 ㅠㅜ
송주환 2018-12
1. 보호기능?은 라우터에서 제공되는 것이 아닙니다. USG는 IPS를 갖추고 있으나, 신기능이라 검증되지 않았죠
2. USG는 EdgeRouter와는 방향성이 다른 물건입니다. 대신 세팅이 더 편하구요..
3. Unifi Controller, UNMS는 별개입니다. Unifi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Unifi Controller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나, UNMS는 필수가 아닙니다. 아직 상호 연동도 불가능
4. 비싼 것을 구입하는 것 보다는 싼 걸 여러대 구매해서 로밍으로 묶는 편이 나을 겁니다.
     
waney 2018-12
지당한 말씀이십니다. 저도 그래서 엣지라우터에 라이트버전 ap 몇개를 묶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wave2의 성능이 궁금해서... 질러볼까? 한 정도로..^^
     
waney 2018-12
그럼 usg나 엣지라우터나 ap들의 설정 os와 라우터의 관리os가 분리되어있다고 봐야겠군요? 일단 홈페이지의 데모모드로 체험은 했는데 경험이 있으시면 말씀좀 부탁드립니다
          
송주환 2018-12
UNMS는 AP를 제외한 다수의 Ubiquiti 장비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만들고 있는 물건입니다.
EdgeRouter는 UNMS와는 별개의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구요. 어차피 모든 기능을 사용하려면 CLI로 세팅해야 합니다.
UniFi Controller는 UniFi AP를 설정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물건입니다. UniFi AP 자체가 별도의 설정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기에, UniFi Controller로 설정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단 세팅이 완료되면, 설정을 변경할 일이 없다면 UniFi Controller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waney 2018-12
답변 감사합니다. 전 솔직히 공유기 +ap 정도? 성능을 기대하는지라 ㅜㅠ 제게 좀 과분한 감도 없지 않네요
1. 제대로 쓰려면 USG, US-8-60W + nanoHD 2개정도면 될껍니다.
2. 커버리지는 세팅하기 나름입니다. 물론 벽은 한개정도만 뚤립니다.
3. edgerouter를 쓰시는건 개인취향이지만 ( 저도 그렇게 씁니다. )
관리기능을 위해서는  USG로 가야합니다.
자세한것은 buff@buf4.com  으로 문의주세요.
제가 집에서 세팅을 한다면 ac-lite를 방갯수별 혹은 방 갯수 - 2정도 해서 뿌리겠습니다.
실제로 400~500mbps 정도 나오기때문에 사용은 문제가 없습니다.
USG 대신에 ER을 쓰게되면 UniFi Controller의 dashboard 화면에서 크나큰 공허함(?)을 느끼게 됩니다. 라우터, 스위치, AP 모두 UniFi 제품으로 쓰시는 게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그리고 Wave2 그다지 효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AP AC Lite를 2층에 2개 3층에 하나 두면 좋을 것 같네요. Lite는 passive PoE 밖에 지원하지 않으니 USW도 잘 골라야 합니다. 이 정도로 사용하다가 차세대(10GbE + 802.11ax or later)로 넘어가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UAP도 mesh 설정이 가능한 것 같긴 하던데.. 절대 그렇게 쓰지 마시고요. 꼭 USW에 유선(w/ PoE) 연결해서 천장에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Mesh 같은 wireless bridge 구성은 유선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아주 많이 드는 point-to-point 연결을 위한 것입니다. 그걸 집안에서 음영 없애겠다고 쓴다면..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습니다. 차라리 자금에 여유가 있고, 집안 모든 공간을 WiFi 신호로 가득 채우고 싶으시면 (가정집인데 건강 생각도 좀 하시는게..) 방 or 공간마다 콘센트형(UniFi AC In-Wall AP 같은) AP를 두면 될 것 같습니다. 2포트 hub까지 겸하는군요. 이 쪽이 천장 설치보다 배선도 쉬울지 모르겠네요.
Cloud Key도 있는게 좋을 것 같아요. 처음에 UniFi Controller를 Raspberry Pi 1/2에 설치해서 썼는데.. 1은 말할 필요도 없고 2도 느립니다. 그러고 보니 3는 안해봤네요. 이젠 FreeBSD로 운용되는 서버에서 돌려서 괜찮긴 한데.. 서버 쪽을 한번 엎을 때.. 몹시 귀찮은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loud Key도 신버전이 나온 것 같더군요.


QnA
제목Page 4007/5708
2014-05   5141001   정은준1
2015-12   1675660   백메가
2006-04   6572   박기두
2005-01   6572   김인태
2017-11   6573   신은왜
2005-01   6573   최원식
2014-11   6573   천외천oo노…
2005-02   6573   윤호용
2012-12   6573   2CPU최주희
2016-01   6573   김훈1
2009-10   6573   이영규
2005-03   6573   한동훈
2011-08   6573   별해는아해
2005-02   6573   이원기
2016-02   6573   최민수B
2007-07   6574   윤기각
2011-04   6574   장동건2014
2005-03   6574   신재상
2016-01   6574   캔위드
2004-12   6574   강경모
2011-09   6574   정상백
2014-07   6574   보슬비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