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846 |
25 |
2015-12
179284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830 |
0 |
2014-05
5267830
1 정은준1
|
85429 |
영상 편집에서 SSD vs 랩터 1만 rpm 어느것이 나을까요? (7) |
병맛폰 |
2014-11 |
11933 |
0 |
2014-11
11933
1 병맛폰
|
85428 |
네트워크드라이브에 연결된 원드라이브는 랜섬웨어에 감염되나요 (9) |
그린 |
2019-05 |
3611 |
0 |
2019-05
3611
1 그린
|
85427 |
오늘 공격을 받았는데. (3) |
땡감 |
2010-05 |
7926 |
0 |
2010-05
7926
1 땡감
|
85426 |
시큐어 부트 관련 질문 드립니다.. (3) |
isaiah |
2017-01 |
5357 |
0 |
2017-01
5357
1 isaiah
|
85425 |
제온 E3-1230v2 + GTX660에 500W 파워는 무리일까요? (6) |
VSPress |
2014-11 |
7756 |
0 |
2014-11
7756
1 VSPress
|
85424 |
윈도우 10 업데이트 도중 멈췄습니다... (6) |
올때메로나 |
2018-03 |
4002 |
0 |
2018-03
4002
1 올때메로나
|
85423 |
새롭게 마운트되는 드라이브 문자를 자동으로 교체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3) |
U3164 |
2020-08 |
2079 |
0 |
2020-08
2079
1 U3164
|
85422 |
SATA 전원? (4) |
고양이는애옹 |
2022-01 |
1467 |
0 |
2022-01
1467
1 고양이는애옹
|
85421 |
JPG 손실포맷에 대해 (4) |
김영기 |
2017-01 |
5403 |
0 |
2017-01
5403
1 김영기
|
85420 |
오버클러킹 질문드립니다. (8) |
방o효o문 |
2013-06 |
6043 |
0 |
2013-06
6043
1 방o효o문
|
85419 |
processing option이란게 무슨뜻이죠 (4) |
그린 |
2019-05 |
3502 |
0 |
2019-05
3502
1 그린
|
85418 |
모닝밴에 서버박스가 실릴까요 (7) |
젠시스템즈 |
2020-08 |
3243 |
0 |
2020-08
3243
1 젠시스템즈
|
85417 |
고속 & 고용량 파일서버 문의 (10) |
프링글스 |
2019-05 |
3569 |
0 |
2019-05
3569
1 프링글스
|
85416 |
간단 전력계산 방식 (4) |
이지포토 |
2019-05 |
3065 |
0 |
2019-05
3065
1 이지포토
|
85415 |
아래 스위치 납땜질문글올렸던사람인데 다시올립니다 (14) |
로벨리아 |
2023-09 |
2613 |
0 |
2023-09
2613
1 로벨리아
|
85414 |
노트북이 맛이가서 도라이버가 (2) |
최시영 |
2013-06 |
6297 |
0 |
2013-06
6297
1 최시영
|
85413 |
Z10PE-D16 WS의 bios mod 펌웨어를 업뎃해보고 싶은데요 (5) |
이용훈 |
2020-08 |
4333 |
0 |
2020-08
4333
1 이용훈
|
85412 |
HP DL180 G6 PC3-10600R, PC3L-10600R 혼용되나요? (1) |
크리미 |
2013-07 |
7938 |
0 |
2013-07
7938
1 크리미
|
85411 |
즉시 교환 보증이 되는 서버데이타센터용 하드가 있나요? (9) |
홀릭0o0 |
2020-08 |
3035 |
0 |
2020-08
3035
1 홀릭0o0
|
85410 |
3com 2924 스위치 허브 공유기 연결 질문 (2) |
sprirea |
2014-12 |
5904 |
0 |
2014-12
5904
1 sprirea
|
전산실 차단기라면... 이쪽에서 어떻게 할 수 도 없는 거 아닌가요?
리셉터클이 5선이라 그렇게 표현했습니다
일단 권고를 어떻게 해야할까 해서요
정말 필요하다면 중간에 30A 차단기를 하나 더 설치하면 되겠죠.
장비의 문제로 과전류가 흘러 차단기가 내려가야하는 것이 예정되는(?) 거라면 용량을 맞춰야 겠지만
그런게 장비를 만들진 않을 것이고
그런 상황이 오기전에 장비 자체의 퓨즈 같은 것이 먼저 끊어지지 않을까요?
장비에서 차단합니다
이미 설치는 되어있는데요 상관없을 것은데 하이엔드정비라 권고를 아찌해야서 마춰달라고 할지 아니면 그냥 가는게 맞는지
그리고 장비에 적혀 있는 스팩은 그 전류 값을 max로 사용할 수 있으니 그보다 큰 용량으로 준비해달라는 의미일 겁니다.
가동상태에서는 30A보다 더 적게먹겠지만, 기동전류가 순간적으로 그보다 더 높을 수도 있지요.
특히 사용전류가 30A라고 적혀있는 것과, 매뉴얼에 30A차단기를 이용하라고 적혀있는건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장비에 사용전류 30A라고 적혀있으면, 순간적으로 사용하는 전류량을 알 수 없으므로 두배 이상의 용량을 사용하시는게 안전하고
매뉴얼에 30A이상 차단기 사용 이라고 적혀 있으면 20%정도 여유율을 두고 차단기를 선정하면 됩니다.
더 높게도 돌아갈수 있습니다..
만일 30A 차단기 달면 돌아가다가 장비가 전기 더 먹으면 차단기 떨어질 것으로 개인적으로 판단됩니다..
만일 제품이 30A의 전류 공급이 필요하다고 해도, 차단기는 당연히 그보다 많은 전류를 보낼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가져가서 못쓰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미리 검토하세요
해외는 국내와는 전기 사정이 다릅니다. (전압, 주파수, 정전및 비상발전외)
장비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상을 사용하는 기계는 거의 없습니다. (UPS, PDU, 백본 등은 예외적이긴 하지만......)
(3상을 쓰는 장비라면 전기공사 같이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일반인이 작업할수 없습니다.)
또한 단일 장비가 아니라 여러개의 장비가 220v등을 쓰는 상황이라면 상 균형도 맞춰야 됩니다.
전 HP 수퍼돔 터지는 것도 수차례 봤어요.
차단기는 그냥 쓰시면 될것 같네요.
4선3상은 AC 220V * SQRT(3) = AC 381V 의 전압이 전송되며,
V 와 P 는 비례하고, P = V I 이므로....
4개의 선을 통해서 흐르는 최고전류는 동일하게 SQRT(3) * 220V * (단상 최고 전류) = P, 이런공식이 나오니까...
그냥 단상의 와트에다가 SQRT(3)을 곱하거나, 단상 최고 전류에 똑같이 SQRT(3)을 곱하면 AC3상의 최고 전류가 나오겠습니다.
그리하여 단상 32A 이라는 전류가 동일한 AC 220볼트의 전압으로 브레이커에 걸린다면 약 1.732를 32A에다가 곱해준 전류가 차단점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약 55A가 나오지요.
이것이 그냥 장비에서 땡겨쓰는 전류일때는 32A 브레이커에서 차단하는 전류는 동일 전압에서 32A가 맞겠습니다.
하지만 AC3상 장비가 32A를 땡겨 쓸리가 없습니다. 왜냐면 그러니까 AC1상 (단상) 220V가 32A를 공급해줍니다.
만약 AC3 220V 전선이 단상당 32A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하면 (이것이 더 말이 되는 상황), AC3상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약 36kW 가 되는것이고 이것을 그냥 220볼트로 꺼내쓴다고 하면 AC 166A 이고 동일하게 36kW의 에너지를 가져다 쓰는것인거죠.
** 저는 전기 (강전) 전공자 또는 전문가는 전혀 아닙니다. 얼마전까지 AC3상이 뭔지도 몰랐었는데 한국에 처음에 들어오던 테슬라 모델S들이 유럽식 타입2 충전 커넥터를 달고 나왔었습니다. 많은 테슬라들이 미국식 테슬라 전용 충전포트로 바뀌였지만 저는 아직도 7핀 타입2 완속 커넥터를 쓰고 있습니다. 전기차 운용 초반에 뭐가 이리 복잡하고 여러가지 종류가 많은지 당시 공부를 조금 했었는데 삼성 SM3ze 전기차와 당시 테슬라모델S 그리고 몇몇 중국 전기차들이 유럽형 스텐다드인 7핀 타입2 커텍터를 썼었고 그커넥터를 한국에서는 AC3상이라고 부릅니다 (에이씨삼상). 진정한 AC3상을 쓰게되면 약 36kW의 전력으로 밧데리가 충전이 됩니다. (사실은 아니지만 그렇게 display에 뜸 - 왜냐면 AC3상은 AC기 때문에 DC로 바꾸어준후에 밧데리를 충전하여야 하고 그때 열로 날라가버리는 전기가 적지는 않기때문)
커넥터만 7핀 유럽식 스텐다드를 쓰고 AC 단상을 쓰게되면 주로 한국에서는 7kW의 전력으로 밧데리가 충전되고 있음이 표시됩니다.
어디에선가 읽은 내용에 의하면 AC 단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220볼트 전류는 약 80kW라는데 한국에는 그런 장비나 세팅은 없고 그것을 전기회사에서도 허락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쎈 AC단상인지 AC2상인지는 14kW 전력사용이 가능하더라고요. (220볼트, 64A)
이세팅을 가지고 있는 충전기는 그닥 잘 없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64A 220볼트 선들이 보통 가정집에 들어와있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이제는 헛소리 수준의 얘기가 되어버리는데 미국에서는 오래전 한국에서 쓰던 3선 단상과 비슷한 전기공급선을 쓰기때문에 (죄송합니다 찾아보기는 귀찮음), 100볼트 200볼트 350볼트 인지 뭔지 하는 그런 이상한 전압이 나오는것으로 알고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