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실 전원질문? 3상4선 차단기

정영철   
   조회 7279   추천 0    

안녕하세여


이번에 해외에 스토리지를 설치를 해야하는데요

저의 스토리지 규격은 3성4선식 32A(30A되어있는것 같기도 하고요)입니다

설치되어있는 차단기가 50A 짜리입니다

물론 사용은 가능합니다

혹시 이경우 30A차단기로 교체하는걸 권고하는게 좋을까요?

메뉴얼 찾아봐도 분전반차단가에 대한거는 없네요


최대한 권고할수있는 환경을 구성할고요30A로

해야할지 아니면 그대로 50A해야 할지요

감서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무아 2019-01
3상5선은 처음 들어봅니다. 3상 4선 아닌가요?

 전산실 차단기라면... 이쪽에서 어떻게 할 수 도 없는 거 아닌가요?
     
네, 3상4선이라고 표현해야겟네요
리셉터클이 5선이라 그렇게 표현했습니다
일단 권고를 어떻게 해야할까 해서요
          
무아 2019-01
권고를 한다고 전산실쪽 메인(또는 서브)차단기 용량을 낮춰줄리 만무하고
정말 필요하다면 중간에 30A 차단기를 하나 더 설치하면 되겠죠.

장비의 문제로 과전류가 흘러 차단기가 내려가야하는 것이 예정되는(?) 거라면 용량을 맞춰야 겠지만
그런게 장비를 만들진 않을 것이고
그런 상황이 오기전에 장비 자체의 퓨즈 같은 것이 먼저 끊어지지 않을까요?
               
메인 차단기는 아니고 장비에 들어가는게 3상입니다
장비에서 차단합니다
이미 설치는 되어있는데요 상관없을 것은데 하이엔드정비라 권고를 아찌해야서 마춰달라고 할지 아니면 그냥 가는게 맞는지
                    
3상의 경우 SQRT(3) = 약 1.732 라는 팩터를 곱해줘야 3개의 단상이 3상으로 합쳐진 전압, 전류, 전력 을 구할 수 있기때문에 30이 아닌 50A 브레이커를 쓰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장비에 pdu보다 분전반에 차단기 높아도 혹시라도 문제발생시 어떻게 될지 몰라서요
          
무아 2019-01
가장 확실한 건 장비 제조사쪽에 확인해야 겠죠..
그리고 장비에 적혀 있는 스팩은 그 전류 값을 max로 사용할 수 있으니 그보다 큰 용량으로 준비해달라는 의미일 겁니다.
ZSNET5 2019-01
최소 32A이상을 사용하라는 뜻입니다. 50A면 딱 좋네요.
     
그러쿤요 감사합니다
     
만약 30A차단기면 문제 있을까요?
          
ZSNET5 2019-01
밑에 박문형님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장비에 30A 적혀 있다고 딱 30A까지만 먹는건 아닙니다.
가동상태에서는 30A보다 더 적게먹겠지만, 기동전류가 순간적으로 그보다 더 높을 수도 있지요.
특히 사용전류가 30A라고 적혀있는 것과, 매뉴얼에 30A차단기를 이용하라고 적혀있는건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장비에 사용전류 30A라고 적혀있으면, 순간적으로 사용하는 전류량을 알 수 없으므로 두배 이상의 용량을 사용하시는게 안전하고
매뉴얼에 30A이상 차단기 사용 이라고 적혀 있으면 20%정도 여유율을 두고 차단기를 선정하면 됩니다.
박문형 2019-01
장비에 30A 적혀 있다고 딱 30A 까지만 먹지 않습니다..

더 높게도 돌아갈수 있습니다..

만일 30A 차단기 달면 돌아가다가 장비가 전기 더 먹으면 차단기 떨어질 것으로 개인적으로 판단됩니다..
정의석 2019-01
웬만큼 대형 스토리지가 아니고서는 3상 30A를 사용하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일반적인 3.5인치 HDD 100개 들어가는 4U스토리지도 3KW 이하이니, PDU에서 3상을 단상으로 분배해 주는걸 생각하면 대략 3상(380V) 5A 이하 입니다.)  다만 전원 플러그등의 규격이 30A일수는 있을듯 합니다. 그리고 제품의 소비전력은 보통 W로 표기를 합니다.
만일 제품이 30A의 전류 공급이 필요하다고 해도, 차단기는 당연히 그보다 많은 전류를 보낼 수 있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박주연 2019-01
전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분의 도움을 받으셔야 됩니다.
가져가서 못쓰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미리 검토하세요
해외는 국내와는 전기 사정이 다릅니다. (전압, 주파수, 정전및 비상발전외)
장비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상을 사용하는 기계는 거의 없습니다. (UPS, PDU, 백본 등은 예외적이긴 하지만......)
(3상을 쓰는 장비라면 전기공사 같이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일반인이 작업할수 없습니다.)
또한 단일 장비가 아니라 여러개의 장비가 220v등을 쓰는 상황이라면 상 균형도 맞춰야 됩니다.
모두들 감사합니다 많이 도움됬습니다
왕초 2019-01
3상4선 혹은 3상5선식은 결선의 차이입니다.  델타 결선 혹은 Y 결선에 따라 3상4선식 혹은 3상 5선식으로 구분이 됩니다.  해외의 경우 3상 5선 사용하는 국가 혹은rAVR도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래요. 잘못 인입시 뻥 터칩니다.
전  HP 수퍼돔 터지는 것도 수차례 봤어요.
차단기는 그냥 쓰시면 될것 같네요.
3상 전기의 경우 3개의 단상 220볼트가 60Hz의 교류로 4개의 선을 타고 t0 = 0초, t1 = 1/3초, t3 = 2/3초 지점을 싸이클의 시점으로 송전된다고하면,
4선3상은 AC 220V * SQRT(3) = AC 381V 의 전압이 전송되며,
V 와 P 는 비례하고, P = V I 이므로....

4개의 선을 통해서 흐르는 최고전류는 동일하게 SQRT(3) * 220V * (단상 최고 전류) = P, 이런공식이 나오니까...
그냥 단상의 와트에다가 SQRT(3)을 곱하거나, 단상 최고 전류에 똑같이 SQRT(3)을 곱하면 AC3상의 최고 전류가 나오겠습니다.

그리하여 단상 32A 이라는 전류가 동일한 AC 220볼트의 전압으로 브레이커에 걸린다면 약 1.732를 32A에다가 곱해준 전류가 차단점이 되겠습니다. 그러면 약 55A가 나오지요.
     
위에 32A라는 것을 가지고 Sample 계산을 좀 하려고 했는데요...
이것이 그냥 장비에서 땡겨쓰는 전류일때는 32A 브레이커에서 차단하는 전류는 동일 전압에서 32A가 맞겠습니다.

하지만 AC3상 장비가 32A를 땡겨 쓸리가 없습니다. 왜냐면 그러니까 AC1상 (단상) 220V가 32A를 공급해줍니다.
만약 AC3 220V 전선이 단상당 32A를 공급할 수 있다고 하면 (이것이 더 말이 되는 상황), AC3상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약 36kW 가 되는것이고 이것을 그냥 220볼트로 꺼내쓴다고 하면 AC 166A 이고 동일하게 36kW의 에너지를 가져다 쓰는것인거죠.

** 저는 전기 (강전) 전공자 또는 전문가는 전혀 아닙니다. 얼마전까지 AC3상이 뭔지도 몰랐었는데 한국에 처음에 들어오던 테슬라 모델S들이 유럽식 타입2 충전 커넥터를 달고 나왔었습니다. 많은 테슬라들이 미국식 테슬라 전용 충전포트로 바뀌였지만 저는 아직도 7핀 타입2 완속 커넥터를 쓰고 있습니다. 전기차 운용 초반에 뭐가 이리 복잡하고 여러가지 종류가 많은지 당시 공부를 조금 했었는데 삼성 SM3ze 전기차와 당시 테슬라모델S 그리고 몇몇 중국 전기차들이 유럽형 스텐다드인 7핀 타입2 커텍터를 썼었고 그커넥터를 한국에서는 AC3상이라고 부릅니다 (에이씨삼상). 진정한 AC3상을 쓰게되면 약 36kW의 전력으로 밧데리가 충전이 됩니다. (사실은 아니지만 그렇게 display에 뜸 - 왜냐면 AC3상은 AC기 때문에 DC로 바꾸어준후에 밧데리를 충전하여야 하고 그때 열로 날라가버리는 전기가 적지는 않기때문)

커넥터만 7핀 유럽식 스텐다드를 쓰고 AC 단상을 쓰게되면 주로 한국에서는 7kW의 전력으로 밧데리가 충전되고 있음이 표시됩니다.

어디에선가 읽은 내용에 의하면 AC 단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220볼트 전류는 약 80kW라는데 한국에는 그런 장비나 세팅은 없고 그것을 전기회사에서도 허락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쎈 AC단상인지 AC2상인지는 14kW 전력사용이 가능하더라고요. (220볼트, 64A)
이세팅을 가지고 있는 충전기는 그닥 잘 없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64A 220볼트 선들이 보통 가정집에 들어와있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이제는 헛소리 수준의 얘기가 되어버리는데 미국에서는 오래전 한국에서 쓰던 3선 단상과 비슷한 전기공급선을 쓰기때문에 (죄송합니다 찾아보기는 귀찮음), 100볼트 200볼트 350볼트 인지 뭔지 하는 그런 이상한 전압이 나오는것으로 알고있네요....


QnA
제목Page 1460/5731
2015-12   1792846   백메가
2014-05   5267830   정은준1
2014-11   11933   병맛폰
2019-05   3611   그린
2010-05   7926   땡감
2017-01   5357   isaiah
2014-11   7756   VSPress
2018-03   4002   올때메로나
2020-08   2079   U3164
2022-01   1467   고양이는애옹
2017-01   5403   김영기
2013-06   6043   방o효o문
2019-05   3502   그린
2020-08   3243   젠시스템즈
2019-05   3569   프링글스
2019-05   3065   이지포토
2023-09   2613   로벨리아
2013-06   6297   최시영
2020-08   4333   이용훈
2013-07   7938   크리미
2020-08   3035   홀릭0o0
2014-12   5904   spri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