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테더링과 SSH 서버 차이점 질문

amplifier   
   조회 6837   추천 0    

 안녕하세요?

웃긴 이야기지만 궁금한게 있어, 이 게시판에 질문을 남깁니다.


일반적으로 배틀넷(블리자드)에 접속하고, 방을 개설(서버 오픈) 하려면 6112 포트가 열려야 합니다.

공인 IP를 받는 PC라면 문제가 없지만, 사설 IP라면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LTE망은 공유기처럼 NAT 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때, 스마트폰 테더링으로 PC에 인터넷 공유하고, 배틀넷에 접속하게 되면 포트포워딩 없이도 동작을 잘하게 됩니다.

PC <--> 스마트폰 < -- > 배틀넷


그런데 이러한 테더링 없이, 스마트폰에 SSH 서버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스마트폰으로 접속을 하려고 하면

전혀 스마트폰 서버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스마트폰 < - - > LTE망 < -- > PC

여기서 스마트폰의 사설 IP에 포트포워딩이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테더링으로 인터넷을 접속한 PC는 이러한 포트포워딩 없이 외부에서 내부로 어떻게 접속을 한건지 궁금합니다.

이러한 접속 방법을 통해서 스마트폰 SSH 서버를 구성하고, 외부에서 SSH터널링 접속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시도니 2019-01
휴대폰에 IP는 공인망 아이피 일겁니다.

pc에 태더링된 IP를 보면 가상 공유아이피를 사용하지만 PC는 휴대폰의 dmz 기능 처럼 모든 포트가 바인딩 될겁니다.

pc를 두대를 붙이면 아마 둘중에 한대는 저런 상황이라면 안될겁니다.

외부에서 치고 들어오는 문제는 좀 복잡합니다.

원래는 되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어쨋든 공인망이니까요.

아마도 ssh나 telnet 기능을 FW나 L7에서 걸러낼겁니다.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휴대폰으로 태더링 시킨 노트북에 원격을 열면 외부에서 붙을 수가 있거든요.

그것이 원격데스크탑이든 팀뷰어든 말이지요.

아마도 그런것이 아닌가 짐작됩니다.
송주환 2019-01
연결을 시작하는 주체가 누구인지 생각해보시면 간단합니다.
테더링을 통해 배틀넷 서버로 접속할 때는 핸드폰->배틀넷 서버로 연결이 이루어지겠죠.
하지만 외부 PC -> 테더링된 PC로 접속하려면?

설명이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dragoune 2019-01
NAT 통과하는 것 같은데 NAT 안쪽에서는 포트가 열려있어도
외부에서 들어올수 없는게 보통이니 그런게 아닐까요?
Dreaday 2019-01
개인적으로  모바일에서 ddns갱신해주는  앱이용해서 ddns갱신하면  말씀하시는게 가능할듯 합니다.


QnA
제목Page 1446/5729
2015-12   1789252   백메가
2014-05   5264309   정은준1
2010-06   7348   가빠로구나
2022-02   1729   jack33
2010-07   8310   예관신규식
2022-02   2226   이기육
2014-12   5959   제스퍼즈
2016-03   6149   초짜입니다
2017-02   6110   정경수
2013-07   6659   황진우
2014-12   4780   멍길이
2010-08   7972   승후니도쿄
2017-02   5448   전설속의미…
2013-07   5941   김건우
2020-09   4527   행복하세
2022-02   3068   jake
2014-12   20444   한가람돌이
2018-05   5316   뭐라카노
2022-03   4209   파피푸페
2013-08   11910   이치로운
2022-03   2011   현정사랑
2015-01   5512   푸른하늘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