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GPU와 4 GPU의 차이

   조회 5059   추천 0    

수치해석용 시뮬레이션 워크스테이션을 구상중인 공대 대학원생입니다.

전반적으로 CPU보다 GPU에 투자하는 것이 이롭겠다는 판단하에

GPU에 시스템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습니다.

http://ranker.sisoftware.net/top_device.php?q=c2ffc9f0d6bbd6ebcdbf82b294fdc0f7d1b984b681a7dfe2d3f590f5c8f8dead90a0&l=en



단순 행렬 연산을 위주로 진행이 되는 소프트웨어이다 보니 GFLOPS 값이 중요할 것으로 어림짐작만 하고 있습니다.

1위 및 2위를 보면 다만 고민이 되는것이 4개의 비교적 저렴한 GPU로 구성할 수도, 2개의 비교적 비싼 GPU로 구성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본격 질문입니다.


1) GPU에서 GeForce, TITAN등의 차이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구글링해봤을때는 Geforce 시리즈는 게임용이고, TITAN은 게임용이 아니다라는 것 까지만 알았습니다.


2) Average Capacity에서 CU가 많으면 병렬적 계산에 유리한지도 질문드립니다.

제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병렬적 행렬 연산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2위와 22위를 보면 2GPU 시스템에서 초당 부동소숫점 연산속도가 1.7배 향상한다고 나와있고

1위와 46위를 보면 4GPU 시스템에서 초당 부동소숫점 연산속도가 2.6배 향상하였다고 나와있습니다.

이런 결과가 일반적인 것이고 신빙성이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박준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2
엔비디아 제품만 보면



https://namu.wiki/w/NVIDIA%20GPU%20일람

TITAN도 본래 일반용입니다만 GPU용 프로그램에서 퍼포먼스가 너무 좋아서 그쪽으로 많이 쓰입니다..
게임도 잘 돌아가고요..

타이탄 최신형 새 것이 3백몇십만원쯤 할 겁니다..



https://namu.wiki/w/NVIDIA%20Workstation%20GPU%20일람

워크스테이션 중에서 캐드쪽에 특화된 것이 Quadro

GPU쪽에서 연산쪽으로 특화된 것이 Tesla 입니다..

그 외 가상화에서 비디오 가속을 위한 GRID 라는 제품도 있습니다..
박문형 2019-02
CU는 사용된 GPU 코어 갯수 같아 보입니다..

Average Score 가 실재 계산 성능입니다..

Average Speed는 비디오카드 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충 이런저런 사양을 가진 시스템들이 SiSoftware 라는 전문 밴치마크 프로그램에서 이런저런 성능을 나타낸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 결과는 숫자가 절대적이지 않지만 시스탬을 비교시에는 꽤 신빙성이 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로 1등과 2등은 GPU가 2개 4개인데 퍼포먼스는 비슷합니다..

2등시스템에 들어가는 2080Ti GPU가  1등시스템의 1080Ti GPU보다 약 2배의 성능이란 소리죠..

이럴때 돈은 누가 더 많이 들까요??

4등시스템과 7등시스템은 CU 갯수는 같고 클럭이나 성능은 4등시스템이 조금 우세합니다..

거의 같은 GPU를 사용했지만 TITAN X가 아마 메모리가 더 클 것이며 이에 따라 성능 차이가 좀 난 듯합니다..


이렇게 비교하려면 하드웨어의 특징들을 잘 알고 있어야겠죠..
     
김제연 2019-02
스펙 쉬트 보니 SM count core 갯수와 일치 하네요  SM count core 가 뭔지는 잘 ...
박문형 2019-02
GPU 시스템은 우선 GPU 자체가 전기를 많이 먹기에 파워를 큰 것을 써야 하는데 비싸고 일반적인 시장에서는 구하기 힘듭니다..

그리고 열이 많이 나기에 쿨링에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4개 정도 되고 하면 쿨링 재대로 안되면 보드랑 GPU카드 오래 돌리면 탑니다.. (보드도 4개 재대로 되는 건 일만적인 시장에서는 구하기 힘듭니다..)

서버/웍 전문제조사에서 나오는 검증된 GPU 시스템이 재대로 돌리기에는 재일 좋습니다..

문제는 돈이죠..
제온프로 2019-02
Titan RTX 24GB 과
RTX 2080 ti 11GB

의 가장 큰 차이는 Memory 입니다.
이로 인한 연산 능력치의 한계가 Titan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저 예산이라고 하면..
RTX 2080 2개로 구성하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GPU 3개와 4개 연결은 일반 싱글보드는 힘듭니다..
CPU Dual 보드로 가야합니다...

ECC 메모리 지원 되야 하구요..
연속 full load로 6개월이상은 여러번 돌릴 수 있어야 하는 장거리선수가 요구됩니다.
안정적인 메인보드, 파워가 요구됩니다.. 1300W 이상 Platinum급 이상

델        T7910, T7920
레노보  P910,  P920
슈퍼마이크로 SYS-7048GR-TR, SYS-7049GP-TRT
하셀호프 2019-02
gtx 660  같은 싸구려 카드에서 작동되는지 먼저 확인해 보시지요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2080 아무 소용없습니다
최적화시키는 작업이 쉽지 않습니다
사용하시는 소프트웨어가 상용인가요 아니면 연구실에서 만든 것인가요?
상용이라면 판매처에 문의하시구요


QnA
제목Page 2695/5708
2014-05   5143164   정은준1
2015-12   1677348   백메가
2022-07   5069   홀릭0o0
2008-07   5069   방효문
2016-09   5069   고즈넉
2012-05   5069   조운
2015-10   5069   김건우
2009-04   5069   허대웅
2017-01   5069   나파이강승훈
2017-12   5069   dreamer74
2008-07   5069   오경석
2007-01   5069   오강석
2021-12   5070   makesound
2008-02   5070   이재덕
2014-09   5070   아름다운노을
2013-07   5070   BMMen
2016-03   5070   회원K
2021-09   5070   강민준1
2007-02   5070   김희진
2015-11   5070   웃자웃자
2012-12   5070   하루카
2017-10   5070   초코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