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공인IP 문제

dogbull   
   조회 3435   추천 0    

모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에서 VM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Private IP 가 하나 할당됩니다.
여기에 추가적인 비용으로 Public IP를 VM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해당 VM의 NIC에 직접적인 할당은 아니고 방화벽을 통한 할당입니다. 이런 것의 용어가 무언인지 궁금하네요??)

해당VM에 Public IP를 이용하여 SSH 접속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해당VM에서 Public IP를 이용하여 SSH 접속이 안된다는 것입니다.(ping 도 안되고 이것저것 안됨)
Private IP를 이용한 SSH 접속은 가능합니다.

A,N등의 클라우드에서는 가능함을 확인했는습니다.
모 클라우드의 상담팀에 설명은 안된다고만 하네요.

기술적인 한계일까요? 설정의 문제일까요?
왜 안되게 해놓았는지 궁금하네요.
이것을 이해하려면 어떤것을 공부해야 할지 도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김종화z 2019-02
Hairpin NAT 관련된 문제 아닐까요?
     
dogbull 2019-02
말씀하신 키워드로 구글링하고 왔습니다. 감사합니다.
씨형 2019-02
유동ip건 고정ip건 vm의 네트워크 설정에가서 security group 에서 inbound (ssh port) 화이트 리스트 해주셔야합니다.
(gcp는 vpc network details 에서 firewall rules겠네요)
질문 내용만 봐서는 이거지 않을까 싶네요
     
dogbull 2019-02
말씀해 주신 설정 제대로 한 것 같은데 이상하네요. 캡쳐하여 제시하면 좋겠는데, 그럴 수 없는게 아쉽습니다. 이것 관련해서 재차 확인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138/5708
2015-12   1676593   백메가
2014-05   5142385   정은준1
2019-10   3414   Curix김경수
2018-06   3414   아름드리소…
2017-09   3414   김대평
2017-08   3414   서울I김동수
2019-11   3414   캡틴아메리카노
2015-12   3414   윈도우10
2023-07   3414   pumkin
2017-07   3414   컴맹주니
2019-08   3414   이세규
2017-06   3414   정의석
2019-05   3415   Whitesun
2021-09   3415   xMir
2022-08   3415   허어
2019-10   3415   QS왕통키손…
2021-06   3415   lico98
2017-06   3415   몬스
2017-03   3415   하셀호프
2019-03   3415   센치
2015-10   3415   윈도우10
2021-01   3415   머리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