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제온 중고 CPU 선택 조언 부탁드려요

prixnine   
   조회 5718   추천 0    

 안녕하세요

컴에 대해 그리 해박하지 못하지만 제온을 한번 써보고 싶은데, 선택의 폭(?)이 너무 넓어서 선택장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용도는 VMWare 를 구동하기 위함이며 버추얼 머신 내에서는 오래된 클래식 게임을 구동하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성능은 거의 필요가 없는 시스템이면 됩니다)

기존에 쓰던 시스템은 i7 6700k를 쓰다가 점유율이 90%를 육박해서 9900k도 잠깐 써봤는데 전력소비와 온도가 너무 높아서 불안하기에 방출하고

지인의 추천으로 라이젠2700X를 쓰고 있습니다만, 

이 또한 6700k에 대비 1.5배 가량 가상머신 수를 늘리니 CPU점유가 80~90%가 나옵니다.

(논오버, CPUID 하드웨어모니터상 온드 50도, CPUID 하드웨어모니터상 Powers의 패키지는 평균 70W)

이에 2700X를 한대 더 늘릴까 어쩔까 하던중 당 사이트를 알게되어 문의 드려요

제온 2CPU 구성을 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2700X 추가를 하는게 나을지..,

(시스템 가격이 큰폭으로 차이나지 않는다면 구성 가성비보다는 유지 전성비가 훨씬 중요합니다)

나름 여기저기 찾아보고 읽어보고 하니 제 짧은 생각으로 가성비 좋은 제품은(2CPU구성시 벤치마크 점수)  

E5-2697 V2 12코어/24쓰레드, 130W CPU벤치 23334점

E5-2680 V3 12코어/24쓰레드, 120W CPU벤치 24608점

E5-2683 V3 14코어/28쓰레드, 120W CPU벤치 21159점

정도더라구요

벤치마크 점수만 보고 2680 V2 로 맞추는게 나은건지 아니면 14코어를 보고 2683 V3를 맞추는게 나은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중고가는 2697 V2 가장 비싸게 형성이 되어 있더라구요)


어느 시스템으로 맞추는게 좋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위 cpu 말고 이 가격대(100만원이내) 다른 추천할만한 제품이 있다면 추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밤 되시길 바래요


prixnin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3
제온 CPU말고 시스템은 다 가지고 계신가요??

V1/V2 시스템이건 V3/V4 시스템이건 가상화 하시려면 램이 꽤 필요할텐데 이거저거 다 해서 한셋트 맞추면

꽤 돈이 들어갈 듯합니다..
     
prixnine 2019-03
답변 감사합니다. 제온은 처음이라 특별히 준비 한건 없으며 메모리128기가와 시피유 메인보드 등은 중고로 구매하려고 해요
케이스는 일반 조립 케이스에 하는게 나으련지 아님 HP나 델의 케이스를 중고로 구매후 쓰는게 나을지 고민입니다
(서버들은 팬소리가 장난이 아니던데...,)
          
박문형 2019-03
V1/V2 : DDR3 reg ECC 사용 현재 중고만 있음 따라서 불량률이 좀 됨..

V3/V4 :DDR4 reg EC 사용 현재 중고/새것 시장이 혼돈 가격은 DDR3보다는 비쌈

시장에 조립용 서버용 케이스와 서버용 파워는 거의 없습니다..

새것 조립을 원하시면 슈퍼마이크로 모든 것을 깔맞춤 하는게 편합니다..

장터에 가금 슈퍼마이크로 서버용 시스템/보드 /부품들이 올라오는데 순삭입니다..


벤더 베어본 중고를 구하시는게 어느 정도 편할수 있습니다만 가끔 부품이 전용이라 어려워질 때가 있습니다..
               
prixnine 2019-03
조언 감사드려요 V3/V4는 DDR4 메모리를 쓰는거였군요(제온은 처음이라;;)
중고 장터 열심히 살펴야겠네요
혹시 전성비는 어떨지 대략적으로라도 아실지 문의 드려요
2700x 두대 VS E5-2680 V3 2CPU 구성, (둘다 시피유 80%정도로 사용시)
                    
박문형 2019-03
저는 우선은 AMD는 걸르고 봅니다만

2700X 말고 2950X나 1950X 같은 것들도 있습니다..

가격은 새제품이라 꽤 올라갑니다만 클럭과 코어 갯수는 확실하죠..

단 실제 사용은 어떨런지 모르겠네요..
                         
가상화에서 AMD는 거르는게 마음이 편합니다.
                         
이규섭 2019-03
가상화용으로 AMD를 거르라는 선입견이 참 이상하군요.
스레드리퍼 주 고객층이 가상화 게이머들인데요.

AMD의 가상화 능력은 MS 애져 클러스터링에서 이미 검증되었습니다.
                         
prixnine 2019-03
감사합니다. 그 모델들도 잠깐 고려해보긴 했는데 사용하는 분들이 많지 않은거 같아 꺼려지더라구요
호호 2019-03
2680 v3 추천이요
     
prixnine 2019-03
답변 감사합니다. 점수 높은게 역시 좋은건가봐요
검은콩 2019-03
벤치마크 대비 가성비가 제일 좋은 건 v2(램도 저렴..)이긴 하지만 출시된 지 좀 오래돼서 막굴리는 용도 아니면 쓰기 별롭니다.
저도 동영상 인코딩용으로 v2시스템을 2대나 갖고 있지만(2680v2 dual, 2690v2 dual)
전기 겁나 먹어서 가끔은 좀 짜증납니다 ㅡ.ㅡ;;
     
prixnine 2019-03
담변 감사합니다 역시 전기를 많이 먹나봐요ㅜㅜ
알파고 2019-03
예전 Intel Xeon E5 2683 v3 사용할때  밴치마크네요..

점유율 90%면  제온으로  가야할거  같습니다.
https://valid.x86.fr/vef2p0

     
prixnine 2019-03
답변 감사합니다.
이규섭 2019-03
유지 전성비를 위해선 전부 정리하고 스레드리퍼 가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2700x나 스레드리퍼 수준의 전성비가 나오는 제품은 현시점 인텔에 없습니다.
16코어 2950x 스레드리퍼가 8코어 9900K보다 전력소모가 낮고, 8코어 2700x와 4코어 6700K의 전력소모는 비슷합니다.

참고로 v2는 현 시점에서 돈들여 구성하는건 아닙니다.
     
prixnine 2019-03
조언 감사합니다
2950x 가 9900k 보다 전력소모가 낮군요 TDP가 180W 라 제법먹을거 같던데..,
(9900k는 직접 써보니 TDP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발열과 전력소모가 엄청나더라구요 1주일만에 되판 ㅜㅜ)
그리고 실사용 해보니 정말 6700k와 2700x는 전력소모가 비슷하더라구요
2680 v3 듀얼 128기가로 구성
2700x 64기가 두대로 구성
2950x 128기가 1대로 구성
성능과 전력소모가 어느정도나 차이가 날까요

여름 두달만 아니면 정말 아무 생각없이 성능만 체크하고 싶네요 (누진세 정말 ㅜㅜ)
          
이규섭 2019-03
인텔의 TDP는 터보부스트를 아예 제외한 스톡 클럭시 평균 전력 소모량으로 계산하는 사기 스펙입니다.
(TDP 95W의 9900K의 실측전력소모는 풀로드시 200W에 육박합니다.)
보통 i7급 기준으로 TDP의 2배~2.5배를 실전력소모라고 판단하면 됩니다.

성능판별은 테스트를 해봐야 알겠으나 전력소모는 1번만 압도적으로 높을겁니다.
               
prixnine 2019-03
답변 감사합니다. 9900k 일주일 조금 넘게 썼을때(논오버 CPU점유율 80%) CPUID의 하드웨어 모니터상에서 소비전력(140~150W)이 엄청나게 나오고 녹투아 쿨러 사용시 온도가 70도가량 나오더라구요 온도야 그렇다쳐도 전력은 이해하기 힘들었는데 그런 내막(?)이 있었군요.  2950x을 적극 검토해봐야겠어요


QnA
제목Page 3331/5708
2014-05   5141107   정은준1
2015-12   1675759   백메가
2005-10   5676   김평원
2005-11   5676   박영록
2007-11   5676   한기동
2018-06   5676   Moraine
2016-12   5676   걸인신홍철
2008-04   5676   신성민
2006-05   5676   이창준
2006-03   5676   박진국
2008-05   5677   정성훈
2005-11   5677   구명서
2007-07   5677   민봉기
2007-12   5677   오석구
2006-06   5677   이충희
2008-03   5677   정주환
2016-10   5677   패킷스트림
2006-02   5677   임현규
2015-10   5677   김건우
2007-01   5677   장현모
2017-06   5677   chobo
2009-09   5677   이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