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231 |
25 |
2015-12
179223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277 |
0 |
2014-05
5267277
1 정은준1
|
86499 |
MF2 UTM - 인터페이스 설정 / 서브넷 마스크 (8) |
회원K |
2015-07 |
6688 |
0 |
2015-07
6688
1 회원K
|
86498 |
Windows Boot Manager 관련 질문드려요. (2) |
fprrmsl |
2021-04 |
5538 |
0 |
2021-04
5538
1 fprrmsl
|
86497 |
노트북액정 보호필름 붙여주고 저렴하게 해주는데 어디인가요? (2) |
김건우 |
2012-02 |
9261 |
0 |
2012-02
9261
1 김건우
|
86496 |
델 베뉴 11 프로 7140 코어 m 5y10 OS 설치 (14) |
나라사랑 |
2017-08 |
8622 |
0 |
2017-08
8622
1 나라사랑
|
86495 |
윈도우10 Hyper-V 장치 드라이버 (8) |
전진 |
2018-11 |
4243 |
0 |
2018-11
4243
1 전진
|
86494 |
Hyper-V 환경 안에서 VMware (12) |
DeepSky |
2022-12 |
2346 |
0 |
2022-12
2346
1 DeepSky
|
86493 |
서버용인데 ... (4) |
주니어스 |
2020-01 |
2571 |
0 |
2020-01
2571
1 주니어스
|
86492 |
사내 IP 관리 방법 문의 |
이원재K |
2015-08 |
5144 |
0 |
2015-08
5144
1 이원재K
|
86491 |
드라이버 비트 고르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 (9) |
캔위드 |
2017-08 |
4551 |
0 |
2017-08
4551
1 캔위드
|
86490 |
기가랜 환경에서 속도가 제대로 안 나옵니다. (11) |
검은콩 |
2017-09 |
5700 |
0 |
2017-09
5700
1 검은콩
|
86489 |
ECC램 2400이랑 2133클럭에 의한 성능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9) |
항공모함 |
2024-09 |
1634 |
0 |
2024-09
1634
1 항공모함
|
86488 |
아수스 막시보드 바이오스 진입불가.. |
패션 |
2018-12 |
5329 |
0 |
2018-12
5329
1 패션
|
86487 |
써멀구리스 어떤것들 쓰시는지요? (2) |
PiPPuuP |
2015-08 |
3966 |
0 |
2015-08
3966
1 PiPPuuP
|
86486 |
os선택 (5) |
AKMU |
2017-09 |
4298 |
0 |
2017-09
4298
1 AKMU
|
86485 |
알어드민 쓰시는분 계신가요 ? (3) |
두리안 |
2012-04 |
7762 |
0 |
2012-04
7762
1 두리안
|
86484 |
iODD에 대한 질문... (10) |
안형곤 |
2012-04 |
7226 |
0 |
2012-04
7226
1 안형곤
|
86483 |
용량지원관련 (3) |
EYESSHOT |
2014-04 |
3823 |
0 |
2014-04
3823
1 EYESSHOT
|
86482 |
요즘 들어 네트워크 공유관련하여 문제가 많이 발생하여 머리가 아픕니다. ㅠㅠ (6) |
1CPU지창훈 |
2015-08 |
5760 |
0 |
2015-08
5760
1 1CPU지창훈
|
86481 |
우분투 서비스 스크립트 질문드립니다. (4) |
Midabo |
2023-01 |
1590 |
0 |
2023-01
1590
1 Midabo
|
86480 |
왜 트랜스포머 한개만 험이 뜨는지 모르겠네요 (6) |
쌍cpu |
2018-12 |
3306 |
0 |
2018-12
3306
1 쌍cpu
|
그리고 2대이상의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때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그건 해결을 못해서..
어쩔수없이 그냥 공유폴더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일 LUN에 동시 접근이 안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걸 피해가는 방법은 R/W는 하나만 가능하게 하고 다른건 READ ONLY로 하면 된다는걸 본거 같습니다.
하지만 저는 시끄러운녀석을 저~~~~ 멀리 보내는 것만이 목적이기에 그쪽은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그냥 안되는 겁니다.
안된다니 다행입니다.
제 개인자료가 있는 공간이라서요. ㅎㅎ
고민인 부분은 iSCSI 를 실제로 E 드라이브 저장소로 오랜기간 문제없이 사용 가능한가 하는 부분입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설정법 활용방법들만 나오지 오래된 사용기에 대한 부분이 잘 없어서 혹시나 하고 질문글 올려봤습니다^^
검색이 안된다는건 특별한 이슈가 없다는 것으로 보고... 일단은 ㄱㄱ 해보겠습니다
1번도 문제 없었습니다.
iSCSI와 FC-SAN은 하지 말라는 짓만 안하면 오래 당연히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 말라는 짓 중에 하나는 TARGET 장비에 CACHE 메모리로 사용하라고 RAM 많이 넣는겁니다.
8년! 제일 긴 기간이 나왔네요.
계속 들리는 소식이 오래 잘쓴다 밖에 없군요.
다행입니다^^
저는 모 시청의 특정 업무시스템의 메인스토리지를 iSCSI로 연결해 놓았고, 지금 4년째 돌리고 있는데 무탈합니다.
4년이라니.. 정말 안심이 됩니다.
그냥 편한 마음으로 구성하면 되겠네요. ㅎㅎ
16베이 한박스에 1500만원 짜리 인포트랜드 장비였다는게 함정... ^>^;;
궁금한 부분은 iSCSI 프로토클 자체에 대한 이슈가 있는지가 궁금했던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하이엔드 스토리지에도 iSCSI 기능이 탑재되있는걸 보면 프로토콜 자체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iSCSI 타겟을 호스팅하는놈이 누구냐가 관건인데
컨트롤러 없이 OS기반으로 돌아가는놈은 iSCSI LUN 할당 방법에 따라서 심각한 장애시 부품 교체를 한다해도 영원히 Data 를 잃어 버릴 수 있습니다.
디스크풀에서 파일 단위로 iSCSI 볼륨을 만들어 던저주는 놈이 있었고, 디스크풀 > VDISK > LUN > iSCSI 로 변환하여 던저주는 놈도 있습니다.
iSCSI 프로토콜은 공통이지만, 위처럼 스토리지 벤더마다 스토리지위에 LUN 생성? 변환? 하는 방식이 각각이라서 잘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개인적으로 시놀로지던 큐냅이던 싱글+SW컨트롤러 조합은 거들떠도 안봅니다. 차라리 외장하드 두개를 사다 붙혔지..
문제는 iSCSI프로토클이 아니라 그것을 호스팅하는넘을 걱정하셔야 된다는 이야기 같은데요.
일단 스웨인님은 리눅스에서 구현하여 잘 쓰고 계시다 하시고
그렇다면 헤놀 6.x도 괜찮지 않을까요 ?
사실 헤놀에 다소 놀라고 있는 부분이
SHR 패리티 모드가 의외로 성능이 잘 나옵니다. ㅠ
윈도우 저장소 기능을 몇년 잘 써왔기에 SHR에도 도전(?)할 수 있었는데
의외로 성능이 고가의 레이드카드 보다는 못하지만 결코 아쉽지 않게 속도가 나와줍니다.
그래서 iSCSI 도 비슷하게 버텨주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갑니다.
그리고 데이터는 걱정없습니다. 이미 전체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본 2중백업.
그중에서도 중요한 데이터는 3중 백업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로컬에 있는 hdd들을 그저 저~~~~~ 멀리 보내서 iSCSI로 연결할 뿐입니다.
어쨌든 하드웨어 레이드 쓰다가 처음 SHR 쓸때 불안했던 느낌으로 iSCSI를 봐야 한다는 말씀이군요.
전 절대 SW Raid는 안씁니다.
CPU,보드등에 대해서만 머리아프게 고민중입니다.
이번에 운좋게 확보한 슈마4U X9Dai E5 2620 dual을 써볼지, 중국산 x79 + 1650v2를 써볼지... 기가바이트 c612, 2620v4 를 써볼지..
단순 nas로만 쓰기엔 오버같기도 해서 그냥 가볍게 갈까 싶다가도 고장나면 귀찮으니깐 오바라도 튼튼하게 가볼까 싶기도 하고
고민되네요....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