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9830 |
25 |
2015-12
176983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405 |
0 |
2014-05
5244405
1 정은준1
|
86573 |
이베이가 아닌 델에서 직접 주문 해보신분? (1) |
쌍cpu |
2016-03 |
3833 |
0 |
2016-03
3833
1 쌍cpu
|
86572 |
전자 부품 관련 질문 하나 해봅니다. (5) |
김제연 |
2013-09 |
13454 |
0 |
2013-09
13454
1 김제연
|
86571 |
개조 바이오스 문의 드립니다 (2) |
kimjaehwan |
2015-01 |
3237 |
0 |
2015-01
3237
1 kimjaehwan
|
86570 |
파워 상태가 정상인가요? (4) |
Wyse |
2016-03 |
4316 |
0 |
2016-03
4316
1 Wyse
|
86569 |
pfSense 질문입니다.. (3) |
햇살한스푼 |
2017-03 |
3567 |
0 |
2017-03
3567
1 햇살한스푼
|
86568 |
보드교체 후 신호없음 (4) |
유남생 |
2018-06 |
4074 |
0 |
2018-06
4074
1 유남생
|
86567 |
용산구 주세 혹은 5주 거주 가능한 거주시설 (7) |
DeepSky |
2023-11 |
1493 |
0 |
2023-11
1493
1 DeepSky
|
86566 |
구형서버 처리/활용 문의 (4) |
민가놈 |
2015-01 |
4041 |
0 |
2015-01
4041
1 민가놈
|
86565 |
[자답]디스크 사용량이 실제 사용량과 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데 원인이 뭘까요? (2) |
거니네 |
2022-04 |
1606 |
0 |
2022-04
1606
1 거니네
|
86564 |
노트북 지금구입하려면 5g LTE wifi (4) |
그린 |
2023-12 |
1447 |
0 |
2023-12
1447
1 그린
|
86563 |
cctv구매 및 셀프설치 조언해주세요 (4) |
라온제나 |
2016-04 |
4981 |
0 |
2016-04
4981
1 라온제나
|
86562 |
핵놀로지에서 DTS코덱 어떻게 해결하시나요?(PLEX 포함) (3) |
일리케 |
2015-02 |
9114 |
0 |
2015-02
9114
1 일리케
|
86561 |
내일(금)에 용산에서 샤오미 보조배터리 방문 구매가 가능할까요?? (8) |
블루영상 |
2023-12 |
1553 |
0 |
2023-12
1553
1 블루영상
|
86560 |
랜선 탈피기는 어떤게 좋나요? (8) |
이매망량2 |
2023-12 |
1349 |
0 |
2023-12
1349
1 이매망량2
|
86559 |
인터넷회사 바꾸고 뭔가 좀 느려진것 같습니다. (9) |
사랑눈물 |
2023-12 |
1607 |
0 |
2023-12
1607
1 사랑눈물
|
86558 |
RAM, CPU는 전파인증 대상이 아니라는 말의 근거를 알고 싶습니다 (12) |
송주환 |
2019-08 |
8157 |
0 |
2019-08
8157
1 송주환
|
86557 |
esxi gpu passthrough 질문 |
2FluF |
2016-04 |
4234 |
0 |
2016-04
4234
1 2FluF
|
86556 |
UTM 장비로 netgear prosafe 50 어떤가요? (8) |
회원K |
2013-10 |
6120 |
0 |
2013-10
6120
1 회원K
|
86555 |
저희 회원분들중 노무사님, 법무사님 계신지요? (3) |
편한세상 |
2017-03 |
3368 |
0 |
2017-03
3368
1 편한세상
|
86554 |
대량의 자료 복사 시 가장 중요한것은 어느 부분일까요? (6) |
김승현1 |
2019-08 |
2881 |
0 |
2019-08
2881
1 김승현1
|
7610이 빠르다고 하셨는데 혹시 그거 싱글cpu아니신지요? 제가 t7610도 수십대 만져봤지만 듀얼 cpu에서 바로 키자마자 로고가 뜬 경우는 없었습니다.
듀얼 웍스는 싱글보다 듀얼 cpu시의 부팅이 훨~씬 오래 걸립니다.
2. 원래 그렇습니다.
보통 로드시 15~20도 차이납니다. 5~10도 차이였다면 기존에 쓰시던 cpu가 열이 적은 모델이거나 vid값이 매우 좋은 양품이었던 거지요.
더해서 7610이 더 상위기종이라 쿨링능력 자체도 더 좋습니다. 7810 = 5610후속입니다. 7610후속은 7910이고요.
t5600/t5610/t7600/t7610/t7810/t7910 전부 동일합니다.
특히나 t5600/t5610/T7810은 상위 모델과 다르게 전면 상단에 흡기팬이 없어서 온도 자체도 높습니다. E5 2696v4같은거 7810에 듀얼로 달면 쓰로틀링 걸립니다. t5610까지야 코어수가 많지 않아서 괜찮았는데 t7810에서는 한계가 보입니다.
** 더해서 cpu의 온도 차이는 cpu의 vid에 따라 그 차이가 더 심해지기도 합니다. cpu는 같은 모델이어도 수율에 따라 다른 전압설정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략 동일모델에서 10단계정도 존재하고 최고 좋은 cpu와 최고 나쁜 cpu의 전압은 0.1v이상 온도 차이는 10~20도 정도 나기도 합니다.
** 만약 E5 2683v3 을 사용하시는 거라면 cpu를 꺼내서 기판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683은 캐패시터가 파손된 애들이 많습니다. 제대로 다시 납땜이 되었다면 괜찮습니다만, 실제로는 MLCC수리가 불가한(기판 납이 뜯겨져 나간 수준) 제품에 붙여만 놓은 하자가 심한 물건이 꽤 유통되었습니다. 이놈들 온도가 참 괴랄합니다.
** 히트싱크 호환 가능합니다. 다만 별 차이 없습니다. 제가 해봤습니다.
1. 그런데 현재 t7610에 2670 듀얼로 2대를 사용하고 있는데 둘 다 전원버튼 누르고 약 3~4초 정도면 dell로고가 표시됩니다.~ 7810처럼 30초 가까이 걸리진 않았는데.. 그리고 싱글이었던 것 같긴하지만 사무실에서 다른 분들이 사용하시던 것들도 이정도는 아니었던 것 같아서요.
2. ㅠㅠ 그렇군요 2670이 발열이 그나마 나은 편인가봅니다.
현재 2680 v3을 두개 달아놨는데... 조금만 사용해도 금새 60도 70도를 넘겨버리니... 조금? 걱정되네요~
7610 히트싱크가 덩치가 좀 더 커서 기대를 했었는데 효과가 없군요 ㅠㅠ 이미 해보셨다니.. ㅠㅠ
조언 감사드립니다.
hp 싱글 웍스도 그리 빠르게 부팅이 되진 않습니다. 3620 3420같은 e3 라인업은 빠르지만요
더해서 60도 70도는 사실 매우 평범한 온도지 높은 온도는 아닙니다.
일반 조립 컴퓨터의 경우도 인텔정품쿨러 달고 게임하면 60~70도는 흔하지요. 오버클럭을 할 때도 실사용 로드시 80도 정도까진 올라가도 무난하게 생각합니다. 델/hp웍스에 저rpm셋팅이 되어있는데 보통 80도 넘어가면 rpm 올라가며팬 소음이 들리실 겁니다.
cpu가 위험한 수치는 90도 정도부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7400/7500/7600/7610 으로 사용해왔지만.. 이렇게 늦게 델 로고가 저를 반기는 경우는 처음이라.. ㅠㅠ
(구형 시리즈들은 델로고를 띄워놓고 한참 걸리긴 했죠..)
그리고 온도는.. 제가 표현을 잘못한 것 같습니다. 시작하자마자 6~70도부터 시작을 해서 힘차게~? 올라가더군요~ ^^
7610의 경우 밤새 렌더링을 걸어둘 때면 웅웅거리는 굉음으로 저와 굿나잇 인사를 하고... 후덥지근한 방공기로 .. 아침에 저를 맞이했답니다. ^^
추가적으로.. 7610의 부팅시간은 os를 raid 컨트롤러를 거치지 않고 sata 직결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구글링해서 얻은 결과로는 ssd의 제속도를 내려면 sata에 직결해야 된다고 해서 그렇게 설치했는데 그게 원인인 듯 싶습니다.
(데이터는 어차피 nas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사용하기 때문에..)
그런데 7810의 경우 보드에 misi sas 포트로 되어있지도 않은데. ..raid 컨트롤러가 내장이고 포트만 sata포트로 나와있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딜레이의 원인이.. 컨트롤러 일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늦은 시간에도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아주 심각한 수준인거죠.
1. 소켓핀 휜것 있나 확인해 보세요.
2. cpu탈거 후 지우개로 표면을 박박 지우고 재장착 해주세요.
3. 바이오스도 업데이트 해보세요.
7810도 레이드 컨트롤러 내장입니다. 굳이 sata로 연결하실거면 odd쪽으로 빠지는 선이 sata입니다.
검은색 플라스틱 파워 커버 열고 보시면 odd라고 따로 쓰여져 있던걸로 기억합니다.
더해서 7910의 경우는 케이스 우측면을 열면 따로 sata선이 한개 빠져나와 있습니다.
시간이 길어집니다.... 모든 장치 Device의 기본 테스트를 하고 들어갑니다.. 정상유무를 확인
2. 듀얼 CPU의 온도차..
그거 아세요... 윈도우는 부팅할 때 0번 CPU의 1개의 코어만 사용한다는 것을..
당연 부팅 하면 온도차가 나죠...
그리고 1번 시피유는 0번 CPU의 따뜻한 바람을 맞기 때문에 더 커야하고 열을 더 받겠지요..
그러므로 1번 Heatsink 뒤에 92mm 팬을 하나 더 달아주면....
T7810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바이오스 들어가면 System Fan RPM 조정 옵션이 있습니다. 조금 올려 주세요.... 그러면 T7810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컴퓨터는 거짓말을 않하니 잘 데리고 건강하게 사세요..
1. 혹시 메모리 진단을 하지 않아 그런건 아닐까요?
구글링 중 메모리 진단을 패스하면 빨라진다는 글이 있던데.. 아직 시도해 보지 못했습니다만..
팬옵션을 조절해서 좀더 사랑하며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