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버구성
안녕하세요! 맑은여름 이라고 합니다.
오늘까지 보고서를 작성해야 되는것이 있다보니, 다른분들께 감사의 인사도 못올렸습니다. 죄송합니다.
2년동안 해오던 서울시 특화산업이 끝나면서, 본격적으로 서버실의 구성을 바꾸어 보고자 합니다.
총 5대의 DL380 Gen9 을 사용하고 있으며, 효율적으로 사용을 해보고자 하는데, 너무 몰라서 이렇게 또 여쭈어 봅니다.
각 서버의 사양과 용처는 하기와 같습니다.
01. ESXi 1 : E5-2620V4 * 2, 128G, WD 4T Red Pro *12 (10=RAID6, 2=H.S)
구성: vSphere ESXi 6.0 또는 6.7 을 이용한 4~8대의 VM 서버
용처: NS, WEB, WAS
02. ESXi 2 : E5-2620V4 * 2, 128G, WD 4T Red Pro *12 (10=RAID6, 2=H.S)
구성: vSphere ESXi 6.0 또는 6.7 을 이용한 4~8대의 VM 서버
용처: NS, WEB, WAS
03. ML 1 : E5-2630V3 * 2, 128G, SSD 512Pro * 8 (6=RAID6, 2=H.S)
구성: CentOS7 with 1070 8G
용처: 머신러닝 with TensorFlow
04. ML 2 : E5-2620V4 * 2, 128G, WD 4T Red Pro * 12 (10=RAID6, 2=H.S)
구성: Ubuntu 18.04.1 또는 MS Server2012R2 with 1070 8G
용처: 머신러닝 with TensorFlow
05. BK : E5-2620V4 * 2, 128G, HGST 8T *12 (10=RAID6, 2=H.S)
구성: CentOS7 또는 MS Server2016 DataCenter
용처: iSCSI 또는 SAN 구성으로 백업 및 파일서버
상기 구성중 가상머신으로 구성될 ESXi 1 과 ESXi 2는 실시간 동기화를 구성하고자 합니다.
Active & Slave 로 구성하고자 하는데, 어떠한 것을 이용하는것이 정신건강에 이로울까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ESXi 는 무료버전을 2카피 사용중입니다.
또한 백업 또는 파일서버로 사용할 BK 서버의 경우, 어떠한 OS 를 선택하는게 좋을지요.
CentOS7 과 한번도 사용해보지는 못하였지만 MS Server2016 DataCenter 를 사용해볼까 합니다.
게시판의 글을 읽다보면, iSCSI 로 구성하는게 좋다고 하는데, 워낙 몰라서 걱정 입니다.
2. 스위칭과 서버의 티밍? LACP?
일전에도 한번 질문 올렸습니다만..
지난 2년간 HP Z820 에 ESXi를 설치하여 테스트용 가성서버를 4대에서 6대 가량 운용했었습니다.
2포트중 1포트는 wan, 1포트는 lan 으로 구성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각 VM이 동시에 업데이트를 한다거나, FTP를 이용한 업다운을 하고 있을 경우..
부하가 걸려 느려지거나 간헐적인 멈춤등의 현상이 발생 하더군요.
이것을 좀 완화해 볼 요량으로 이번에는 상기와 같이 티밍? 본딩? 또는 LACP 로 구상해 보면 어떨까 싶은데..
조금이라도 위 방법이 효과가 있을까요? 또한 어떠한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1G 망에서 그 이상의 속도를 누리고자 하는것이 아니라, 내부 VM 들이 조금이라도 여유? 롭게 사용하고자 함 입니다.
(참고로 상기 ESXi 1 과 ESXi 2는 실시간 동기화 또한 필요 합니다)
(LACP 가 ALB 와 SLA 를 합친것 맞지요? 대역폭 확장과 오류감지가 가능한?)
항상 질문만 올려서 죄송합니다. 행복한 저녁, 불타는 금요일 되십시요.
저는 이만 또 학교로 공부하러.. 흑흑 ㅠ,.ㅠ
서버 OS는 관리자가 잘 알고, 트러블슈팅에 용이한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특정 OS의 특정 기능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이상은 하나의 OS를 고집할 이유가 없습니다.
2. 병목의 원인을 먼저 확인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실시간동기화= ESXi 1 내의 여러 VM 서버를 실시간으로 ESXi 2 로 복제를 이야기 하고 싶었습니다.
엑티브/스탠바이 면 좋겠지만, 문제 발생시 가장 빠른 복구? 를 위함입니다.
그러게요 병목의 원인을 찾는게 먼저겠지요. 광통신을 바로 스위칭으로 꼽을수 있으면 가장 좋을텐데..
꼭 KT 모뎀을 거치는 방법밖에는 없다고 하여, 궁여지책으로 티밍을 생각중 이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FT가 가용성이 더 높은 기술이고, 둘 다 Shared Storage가 필요합니다.
또한, VMware에서는 vMotion을 위해 10G 네트웍 이상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을 반영하려면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할 것입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시면 쪽지 주세요.
1Gx4개를 티밍 하는 것보다 10G Active-Standby 구조가 더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티밍은 네트웍과 서버에 대해서 심도있는 이해가 없는 경우 문제구간 분리가 쉽지 않아서 장애시 대처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멜라녹스 10G 카드 2개가 있어서 연결할까도 생각은 해봤는데, 이노무 10G는 열이 많이 나던뎁쇼..
사무실 환경이 안좋은지라, 지금도 여름이 다가오면 대형 선풍기를 서버렉 앞에서 틀고 있는지라..
10G 사용은 아예 생각도 안하고 있었습니다. (여름에는 온도가 후덜덜 하답니다. ㅠ,.ㅠ)
티밍은 .. 궁여지책으로 나온건데 .. 와서 알바 한번 하시죠 시도니님 ㅎㅎ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행복한 주말 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