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젠으로 간단히 서버를 맞췄는데 사람 돌아버리겠습니다..

   조회 4792   추천 0    

 http://www.2cpu.co.kr/QnA/693699


예전 조언을 받고 2700으로 하나 조립했습니다..


2700

MSI(보드문제인가하여교환.) 기가바이트 X470

출력용으로 1030, 램 32.

-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아닌듯합니다.. CPU부터 모두 "교환"받은 상태이고.. 동일증상이 반복됩니다.

받자마자 모든 과부하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하였고.. 램은 별도로 본 워크스테이션에서 다시한번 검증하였습니다.


바이오스세팅은 혹시몰라서 Power Supply Current설정을 Typical로.. C-State를 disable로..

윈도우 내부 전원설정도 고성능, PCIE Link전원설정도 최대전원.... 등등 증상들이 idle상태에서 특히 발생하기에 가능한 한 모든 절전옵션을 

껐습니다.


증상만 말씀드리면...

모니터만 "끄면" 시스템이 정지합니다.... (화면만 켜져있고 마우스, 키보드등등 전부 사용불가. 원격접속 불가..)

(DVI단자단에도 꽂아봤고 HDMI단자단에도 꽂아봤지만 동일합니다... 모니터를 끄는 행위 자체가 VGA로 어떤 Signal을 보내는지요..?)




혹시나몰라서 실험해봤습니다만, 오전 3시쯤 정지해있는 컴퓨터를 켜서 간단히 작업하다가 26분쯤 모니터를 끄고 다시 잠에 들었습니다만..

그 시간+1?분을 기점으로 점심시간에 확인하려고 왔을때 까지 저 똑같은 오류가 계속출력됩니다.


맨 처음 VGA드라이버에 문제가있다는 이벤트로그가 하나 포착되어서 드라이버를 날리고선 버전옛날것으로 2~3개만 남겨두었고.

이제 윈10 자체드라이버로만 돌리고있는데.. 이거도 좀 찝찝한 마음을 감출수가없습니다.



제가 해볼 수 있는 것들은 전부 실험해 본듯합니다만, 혹여나 2cpu 선배님들은 이럴때 어떤 시도를 해볼지 궁금합니다.

-저도 AMD만 쓰면 컴퓨터가 금방 작살나버려서 지금까지 인텔만 열심히 썼습니다만.... 이번 주말까지 해결을 못보면 환불한 후

웃돈주고선 9700k이상 체급으로 바꿀까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빠시온 2019-03
9700이냐 라이젠이냐 문제가 아니고

저는 그냥 벤더 서버 사는걸 추천드립니다...
이슈 대응시 훨씬 낫습니다.

특정 프로그램이 라이젠에서 지원되고 특정 프로그램이 인텔에서 지원되는게 아닌 이상에 말이죠
     
길가던뉴비 2019-03
주말까지만 삽질해보고.. 고민해봐야겠습니다.......
          
빠시온 2019-03
더미로도 해결할 수 있긴 한데 그건 근본적 문제 해결이 아닌거 같긴합니다.
애초에 모니터를 끄는데 시스템이 왜 멈추는지 파악이 필요하긴 할 듯 하네요
               
길가던뉴비 2019-03
예..플러그 뽑는것도아닌데말이죠..

KVM한번 물려서 테스트해보려고 준비중입니다...
마패 2019-03
모니터 off시 인식못하는 모니터도 있는것같아요
hdmi 더미 사용해보시는거 추천드려요
     
길가던뉴비 2019-03
비싸지도않고.. 주말에 여는 용산가게가있다면 한번 가서 꽂아봐야겠네요..
쓰레기단장 2019-03
dwm이면 디스플레이 쪽 커널서브셋일 겁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데스크탑 ui 매니저인데 이녀석이 윈도우에서 비디오 카드 가속을 직접 사용합니다) 보통 비디오 드라이버가 잘못되면 저 크래시가 나는데요, 일단 비디오 카드를 아예 다른 기종 (1030)이 아닌 것으로 바꿔 보시구요, 비디오 드라이버를 더 업데이트 하시거나 아니면 더 이전으로 롤백해 보세요. 사실 서버라면 1030같은 고오급 카드도 필요 없지말입니다...

라이젠이라 설마 nvidia를 뱉는 건 아니겠죠? -_-;
     
길가던뉴비 2019-03
팬리스가 이거밖에없어서....
전부 SSD만 달아놨습니다.... 가능한 한 소음을 줄이려고요....

온도부터해서 교환받아온점, 타 피씨에서 멀쩡히 작동하는것을보면 VGA문제는 아닐듯한데...

라이젠이라고 엔비디아 뱉는다는점도.. 설마 요즘 그럴일이있을까요 허허;
          
쓰레기단장 2019-03
당연히 마지막 말은 농담이구요 ㅎㅎ
이미 말씀드렸지만 디바이스 드라이버일 가능성이 큽니다. 더 쉽게 말씀드리면 드라이버 오염이나 충돌일 것 같구요, 그걸 해결하기 위해 방법을 몇 개 예시로 든 겁니다.
물론 어디까지나 가능성의 이슈라 해결 안 될 수는 있습니다;;; 만 display window manager오류는 거진 디스플레이 문제더라구요. 확실하게 알아 보시려몀 부팅옵선에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만 vga로 바꿔서 부팅하는 옵션이 있는데, 그걸로 부팅해서 모니터 꺼 보시면 될 거 같아요.
다시 정리하자면 제 가정이 맞았다고 가정하고, 비디오카드를 교품받아 봤자 마찬가지일 겁니다. 드라이버는 소프트웨어단이니까요... 다른 기종으로 바꾼다고 해도 같은 지포스라면 드라이버를 공유하니 문제가 계속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아예 라데온으로 바꾸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어요.
보다 근본적인 부분을 지적한다면, 16스레드가 필요한 서버가 굳이 아나라면  저라면 내장그래픽 있는 cpu를 쓸 거 같습니다. a8 7600을 4년동안 두 번 재부팅 하면서 쓰고 있는데 전혀 문제 없어요.
               
길가던뉴비 2019-03
16스레드가 필요해서말이죠...

골치아파집니다 ㅎㅎㅎㅎ
1.다른 모니터에서 테스트해도 같은 결과인가요?
2. 그래픽카드를 다른것으로 교체해서 테스트는 해보셨는지요? cpu와 메인보드만 인텔로 바꾼다고 저런 문제가 발생 안할 거란 보장이 없잖아요.
3.  windows 10의 디스플레이 설정-> 전원및 절전에서 화면 자동 끄기를 해서 저절로 꺼진 상태에서도 모니터 물리 전원 끄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지도요.
     
길가던뉴비 2019-03
위 조언들 바탕으로 하나씩 헤딩중입니다..

지금 케이블들 막 바꿔가면서보니 모니터쪽에 약간 문제가있는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왜 핀 수 적은 DVI-D싱글만 인식이되는지...
다른 케이블로 들어가니까 윈도우상에서 그래픽자체가 죽어버리네요.... 왜 화면이 안뜨지? 하고선 팀뷰어로 들어가보니 엔비디아 제어판 자체가 안올라오네요...
예컨데 모니터가 꺼지면서 그래픽카드단에 2D가속기능이 꺼지고 DWM이 이것때문에 문제가 생기는것은 아닌지...

당장 더미플러그가 없어서 KVM으로 있는 것 처럼 물려가지고 테스트중이긴합니다만, 실패하면 모니터를 지금 세컨드로 쓰고있는 것으로 바꿔보고..
복잡해지기는 해도 본체에 있는 1080ti를 잠깐 옮겨껴보고...

아무튼해봐야지요...

3.번은 간단한데도 실험을 못해봤네요 왔다갔다하면서 계속 건드는바람에 ㅎㅎ; 간단히 해볼만한 실험같습니다. 순서대로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길가던뉴비 2019-03
+cpu와 메인보드를 인텔로 바꾼다는 이야기는 복잡하게 외장그래픽 설정을 해줄바에는 내장으로 돌리는게 더 안정적이고 이런문제도없지않겠냐..

이런의견에서 드린겁니다. 에휴.... 힘이드네요
길가던뉴비 2019-03
====
모든분들 조언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1. 그래픽드라이버를 지우고선 윈10 자동으로 잡아주는것으로 변경
2. DVI-D (Single) to DVI-D (Single) 케이블을 DVI-D (Single) VGA단 to HDMI 모니터단 케이블로 변경하였습니다.
3. KVM은 계속껴둘려하였는데 젠더로 연결한것도 불안하고, 이렇게까지 써야하나 싶어서 잠시 뗐습니다..

결론은, 30분째 일단 이상없이 돌아갑니다........

하루정도 지켜보고 다시오도록하겠습니다......

모니터의 문제 혹은 DVI쪽에서 on/off signal이 왔다갔다할텐데.. 이것때문에 1030이 자동으로 절전으로 들어가면서 2D가속기능이꺼지고..
바탕화면관리자가 이 2D가속기능꺼짐과 연관이되어서 충돌이나고, 프리징으로 이어진것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또 문제생기면 우주제일미남님의 조언대로 순서대로 한번 체크해보고...

이래도안되면 뭐....... 내장그래픽달린 모델로 교환받아야겠네요..............


QnA
제목Page 2404/5708
2015-12   1677316   백메가
2014-05   5143133   정은준1
2016-01   4821   jack33
2017-10   4821   컴박
2019-12   4821   김후동
2014-09   4821   윈도우10
2006-12   4821   김주영
2006-08   4821   권디아나
2016-09   4821   눈팅돌이
2014-08   4821   정상억
2007-01   4821   박성도
2012-09   4822   앵앵앵
2016-07   4822   컴박
2017-07   4822   한효석
2007-02   4822   이문흠
2007-01   4822   이병학
2021-09   4822   유남생
2015-11   4822   앙드레준
2015-04   4822   조병철
2020-07   4822   전현규
2007-09   4822   김대성
2017-11   4822   LINKIN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