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71 |
0 |
2014-05
513947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22 |
25 |
2015-12
1674022
1 백메가
|
84802 |
[ PlayStation 4 Slim ] 하드 디스크 용도 (3) |
전설속의미… |
2018-01 |
3807 |
0 |
2018-01
3807
1 전설속의미…
|
84801 |
[솔라리스11.4]솔라리스 파티션 디스크 마운트 질문드립니다. (3) |
다나죠 |
2021-03 |
3807 |
0 |
2021-03
3807
1 다나죠
|
84800 |
젠서버로 사용하는 pc가 자꾸 다운이 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6) |
너의남자 |
2015-12 |
3807 |
0 |
2015-12
3807
1 너의남자
|
84799 |
자랑질 하려고 글쓰고 그림 올리려는데 그림이 안보여요.... (3) |
명성호 |
2016-03 |
3807 |
0 |
2016-03
3807
1 명성호
|
84798 |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VM 주소 관리 (6) |
Ansyncic |
2019-07 |
3807 |
0 |
2019-07
3807
1 Ansyncic
|
84797 |
우분투 cifs mount 질문 드립니다. (1) |
Astarot |
2015-04 |
3807 |
0 |
2015-04
3807
1 Astarot
|
84796 |
NAS 추천 부탁 드립니다. (17) |
야매로 |
2017-05 |
3807 |
1 |
2017-05
3807
1 야매로
|
84795 |
마소에서 이제 윈7 못받나요? (3) |
행복하세 |
2018-03 |
3807 |
0 |
2018-03
3807
1 행복하세
|
84794 |
gts250 VS Quadro 4000 비교 부탁드립니다. (10) |
초호기 |
2017-04 |
3807 |
0 |
2017-04
3807
1 초호기
|
84793 |
레이드 카드가 있어야 할까요? (17) |
하양까망 |
2018-10 |
3808 |
0 |
2018-10
3808
1 하양까망
|
84792 |
lynx 에서 버튼누르기 (1) |
나파이강승훈 |
2016-05 |
3808 |
0 |
2016-05
3808
1 나파이강승훈
|
84791 |
일시적으로 시놀로지 서버 접속이 불안정한 경우,,? (1) |
칼도 |
2014-04 |
3808 |
0 |
2014-04
3808
1 칼도
|
84790 |
[ 리눅스 ] format / partition 문의 (5) |
전설속의미… |
2017-04 |
3808 |
1 |
2017-04
3808
1 전설속의미…
|
84789 |
저희집 분전반인데 접지가 제대로 된걸까요? (5) |
강창호 |
2021-11 |
3808 |
0 |
2021-11
3808
1 강창호
|
84788 |
xp용 ie6.1 구합니다. (4) |
김건우 |
2018-01 |
3808 |
0 |
2018-01
3808
1 김건우
|
84787 |
SOFHOS XG Firewall Home 버젼 질문입니다 (2) |
김윤술 |
2016-10 |
3809 |
0 |
2016-10
3809
1 김윤술
|
84786 |
노트북 메모리 관련 질문드려요. 조언바랍니다. (4) |
김대평 |
2015-11 |
3809 |
0 |
2015-11
3809
1 김대평
|
84785 |
Intel NUC으로 헤놀로지 사용 어떨까요? (6) |
달리는붐봄 |
2021-07 |
3809 |
0 |
2021-07
3809
1 달리는붐봄
|
84784 |
토요일과 일요일 삽질을 했습니다. |
테돌아이 |
2015-08 |
3809 |
0 |
2015-08
3809
1 테돌아이
|
84783 |
cpu소캣... (5) |
Won낙연 |
2016-07 |
3809 |
0 |
2016-07
3809
1 Won낙연
|
브로드캐스트가 폭주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웍이 마비됩니다.
접속된 장비의 수가 적고 브로드캐스트(보통 ARP)가 적으면 TTL이 완료될 때 까지 부하가 적어서 스위치(또는 공유기)에서 어느정도 버텨내지만, 임계점을 넘는 순간(뭐 그 이전이라 하더라도 느려지기는 해요..) 마비됩니다.
장비의 수가 많을수록 빨리 나타나며, 사무실에서는 이렇게 해 놓은 상황이 발견되는 순간..... 해당하는 직원 아구창이 돌아가는걸 보게 됩니다.
자세한 전문 내용은 다른 고수님께...;;;
==> 네트워크에 루핑이 돌면 사용불가입니다.
"공유기에 선1개를 1번포트와 2번 포트에 꽂으면 3번도 못쓰는건가요 간혈적으로 않되는건가요?"
되면 이상한거죠. 혹시나 된다면 포트에 특정 기능을 설정했으면 가능하긴하겠네요.
적당히 알기쉽게 풀이해 설명한 것이 맞습니다.
몇번 그런 경우를 발견해 잡히면 죽인다 했습니다
한번은 as예비용으로 선 빼 논걸 학원직원이 허브에 꼽아버린 경우도
라벨링 안되있으면 정말 원인 불명이라 모든선을 제거후 하나하나 꼽으면서 체크해야 하는거라 욕 나옵니다
아마도 아버님이 선이 하나 빠져있다 생각하시고 꼽으신듯
아버님이 보내 주신 사진은 두개만 연결되어있어서, 화가 났는데 기사님 말이 맞으면 보름은 멀쩡하겠지요.
같은 이유로 한달에 한번더 장애나면 (3번째) 원래 요청한데로 거실 HDTV밑에 모뎀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
선의로 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일부러 바닥을 들어내고 그런 일 하는 사람도 있었던... _-;;
나왔는데 원격지에서 되다안되다 계속 그러더라구요.
나중에 알고 보니 그상태로는 원래 본체 일부는 인터넷이 할당 안되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