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궁금이 이카루스입니다
사실 이것저것 잡술, 지식과 정보등을 좋아합니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서버,워크,IDC 등을 하고있고, 작년부터는 관심의 초집중이 가상화랑 머신러닝 딥러닝입니다.
자 서론 걷어치우고,
아는사장님 덕에 Intel Xeon Phi 시리즈 삽질을하고 이곳 장터에 팔고, 코프로세서, PCIe 카드형태는 초기버전이라, 안맞았습니다.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사 사장님과 이야기를 했더니, 카드류 Phi 는 개발된 코드와 운영체제간 미들웨어가 필요하고, 소스를 수정해야된다. 이건 공수가 넘 든다. 하드웨어를 포기합시다. 넵!
텐서나 R 등을 구동할것이고... 될라나?
고민에 빠졌습니다.
그 사장님과 이야기하고 PCIe 형태 파이는 빠염 했습니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phi 가 인텔이 작년에 드랍한 라인입니다.
하지만,인텔 스케일러블의 전신이기도하죠
그사장님과 이야기를 하다가, 장난감을 몇일 빌리기로 했습니다.
* 결론,
CPU 형태, Intel Phi 7250 을 곧 접할예정입니다. 68코어 256스레드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실험하고 싶은것
- 렌더링
그사장님 말은, 시네벤치가 구글링한 속도보다 훨씬 안나온다. 1/100 ? 인식이 잘못된듯한데.........
- CPU / 머신러닝 텐서플로
일반 제온대비 어느정도의 퍼포먼스이고 어느급인가?
- 가상화
가상화 안되는걸로 알고있는데, 진짜 안되나? 68코어 256스레드
이건 뭐지?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7965192
- 컴파일 비교
일반 제온대비성능 ? 가성비?
- 우분투,센트 이외에 Windows 는 가망이 없는가? 구글에는 윈도우도 잘된다는데?
인식과 장치관리자는 다 정상인데 뭔가 굼뜨고 이상하다 ( 3번째사진 )
- Windows 10 Pro
- Windows 2016
- Windows 2019
이것저것 궁금한게 있는데 여쭤볼 신령님이 필요합니다.
혹시 지금 사용하고있는 기관이나 회사 연구실분 계시믄 귀찮지는 않게 살짝 물어보겠습니다
카카오톡 : gmyicarus
랩에 놀러갔을때 쌓아둔걸 봤는데
결론은 GPU가 낫다더라 였습니다
기존에 GPU쓰던 사람은 그게 편할거고 뭐 그런거겠죠.
메인프로세서의 50% 정도의 퍼포먼스
쓰레드를 많이 늘려주는 역할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어떤 프로그램 시뮬레이션중... 쓰레드가 많이 필요할 때 )
가장 특이점...
Xeon CPU와 메카니즘이 다릅니다.
기존 5시리즈의 pcie 방식이 아닙니다.
xeon phi 7250 경우 2세대(나이츠랜딩)이며 가상화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최근에 나온 3세대(나이츠 밀)가 가상화 지원되지만 아직 제대로된 사용기가 없네요
저도 재미삼아 Xeon phi 7250를 구해놓았지만 보드 구하기가 힘들어서 다시 방출해야 하나 고민중이네요
테스트 후기 기대하겠습니다. ~
윈7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