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 Client 운영중인 회사 있으신가요?

goodsense   
   조회 4048   추천 0    

안녕하세요.


베트남에 지사 설립 후 인테리어 중입니다. 20명 인원은 뽑아놨고 3D 설계인력입니다.


사용중인 설계프로그램이 Server+Client 구성이어서,


서버는 한국 있고 가상화(Xenserver+Xendesktop) 구성해서 베트남엔 Thin Client  설치하려고 합니다.


괜히 인터넷 속도 안나와서 설계업무에 지장을 주면 안되기 때문에 고민이 많습니다.


생각보다 Thin Client 사용하는 회사가 없는듯 보입니다. 나름의 이유가 있을꺼 같은데요...


혹시 도입하시고 실패하셨던 경험이 있으시면 공유부탁드립니다. 조언도 좋구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제연 2019-04
허.. 베트남 인터넷 속도가 어떤지 모르지만 무리지 않을까요 ? 서버를 로컬에 놓고 하셔야 맞는거 같은데요 .
     
goodsense 2019-04
본사는 로컬환경이긴한데요.. ㅠ.ㅠ
박문형 2019-04
씬클라이언트는 보통 2D만 되고 프로그래밍이나 하는데 쓰이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3D 설계면 쿼드로 낮은 것이라도 박아준 3.0Ghz 이상의 컴퓨터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goodsense 2019-04
3D 설계지만 렌더링 하거나 그러지 않구요.... 서버에 nvidia grid 두개 박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엠브리오 2019-04
국내는 가정집에까지 10G 인터넷을 시범서비스 하는 시절입니다만..

베트남이라면 인터넷 속도 + 전력수급 불안정..
기타 여러가지 변수를 고려해야 할겁니다.
     
goodsense 2019-04
헙.. 전력수급도 불안하나요....
          
엠브리오 2019-04
대한민국처럼 안정적으로 전력 공급되는 국가 별로 없습니다.
               
박문형 2019-04
+100

미국 /일본이 우리나라 전력 상태를 매우 부러워 합니다..
화란 2019-04
씬클로 설계를 쿨럭 --;

인터넷 속도 잘 나오는 곳에서도 씬클로 설계업무는 버벅거릴텐데요^^
     
goodsense 2019-04
https://youtu.be/ScdsdPJNssI?t=29

이정도면 훌륭해 보이는데요...
무리입니다. 서버도 베트남에 가야 됩니다.
     
goodsense 2019-04
아... ㅠ.ㅠ
나이쑤guy 2019-04
간단한 설계라도 절대 무리인걸로 판단이 됩니다....
gmltj 2019-04
3d 설계는 ug 나 카티아 같은거만 봐와서... 렌더링 없이 3d 설계하는 건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인지 모르겠네요....
     
나이쑤guy 2019-04
렌더링 없어도 ug나 카티아 솔리드웍스 프로이가 대부분 사용이 되어 집니다....
     
goodsense 2019-04
https://youtu.be/d05sTaq3Tik?t=73
발전소 설계프로그램입니다.
          
나이쑤guy 2019-04
회전시키고 형상 만들고 하는데 뚝뚝 끊김이 발생이 될거에요...설계자들은 일을 하는데 엄청 답답한 상황에서 일을 해야 되는거구요....
               
goodsense 2019-04
그럼 안됩니다. 최대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게 회사의 도리라.
김제연 2019-04
일단 로컬 환경이시면 grid 로  충분 할것 같은데 안되신다는분들은 어떤것때문에 불가능하시다는건가요?
근데 큰 작업 안하시면.. 그냥 라이젠 2400G 데스크탑 30~40 에 사용하시면 되지 않나요?
복잡한거 하시는데는 쿼드로나 rx 시리즈도 엄청 싼데 .. 한대당 5~60이면 될것 같은데..
     
goodsense 2019-04
현재까지 조언은 인터넷 환경 및 전력수급의 문제를 얘기해주시는 거 같습니다.

씬클라이언트 도입하려는 이유는 가상화도입의 본질에 맞게 구성해보고 싶어서 입니다.

직원들에게 한국처럼 일반PC 제공시 유지보수 문제도 부담스럽구요. 심플하게 가고 싶습니다.
     
나이쑤guy 2019-04
지금 질문하시는 분의 글을 보면 로컬환경이 아닌게 전제인데 로컬 환경이시면...이라고 시작하시면 서로 다른 얘기를 하는거 같은데요.....
박문형 2019-04
키모드와 모니터는 베트남에

실제 데이터 들고 계산하는 서버는 한국에 있기에

여러가지로 많이 힘들다는 이야기 입니다..

아마도 보안 때문에 그러겠지만

심한 이야기로 베트남에서 한국까지 광케이블 깐다면 모를까 일반적인 인터넷 인프라로는 힘들다라는 것이죠..
밥알 2019-04
일단 시범운영을 해보심이 어떠신지요...
해보신 분이 없으니 도전부터...
     
goodsense 2019-04
씬클라이언트 한대 들고 가서 한번 테스트 해보야겠습니다.
인터넷환경의 문제라면 가상화 문제는 아니니. 테스트 후 서버도 현지에 가져다 놔야할지도 모르겠네요...
베트남에서 노트북 들고가서 azure에 gpu 서버로 테스해 해봤을때는 큰 문제없었거든요.
정의석 2019-04
일단 국내에서 베트남 인터넷 속도를 고려한 네트웍 환경을 구성해서 테스트 해 봐야하지 않을까요?
예를들어, 베트남의 인터넷 속도가 50Mbps정도가 나온다면, 국내에서 네트웍장비에 속도제한을 40Mbps정도로 걸어놓고 테스트 해 보면 될듯 합니다.
또는, 개인 PC의 유지보수 문제라면, 가상화를 하더라도 가상화 서버를 현지에 놓고, 개인에게 Thin을 제공해도 되지 않을까요? 서버 유지보수를 원격에서 해야 하는 문제는 있지만, 개인 PC를 원격에서 유지보수 하는것 보다는 나을거 같습니다.
     
goodsense 2019-04
네, 조언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김동혁1 2019-04
회선비도 장난이 아닐꺼구요. 특히 전기도 장난이  아닙니다. 그냥 논에다가 끌어서 쓴다고 가정하셔서 구상해보시는게 제일 적당합니다.
찬이 2019-04
속도도 속도지만 레이턴시가 괜찮을까요...?
전 LTE에그로 원격데스크톱 연결해서 작업하는것도 뭐 감수할만 하긴 하지만 불편함을 느끼는데 베트남이면...
참고로 제가 아는 프로토콜 중에 원격데스크톱이 가장 원활(?)합니다.
땅부자 2019-04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3년전만해도 한달에 10회이상 단전이 있었고, 인터넷 속도는 로컬 pc방도 100mb도 잘 없었습니다.
조그마한 카페도 야마하 발전기를 갖추고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리고 통신 시설은 단전이 되어도 장비만 전원들어오면 사용 가능했습니다.아마 인입 이전까지의 장비에는 단전 없는 전기가 따로
공급되는걸로 예상되네요.
KimKunwoo 2019-04
저희 회사가 Xenserver 기술로 Win7 VM 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해외 출장 가신 분들은 일반 사무작업도 힘들다고 불만을 가지고 계십니다...
참고 하셔야할 것 같은데요..
epowergate 2019-04
지난주부터 이번주 화요일까지 베트남 다녀왔고 비슷한 시스템 만들어 주고 왔습니다.
1. 베트남 전력 상황 크게 나쁘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요 시스템이라면 PC라고 UPS 해주셔야 합니다.  이건 한국하고 큰 차이 없습니다.
2. 한국-베트남간에 네트워크 나쁘지 않습니다.  모 회사는 2500명 사용하는 VDI를 한국에서 운영합니다.  어딘지는 대략 아실 듯
3. 문제는 한국-베트남이 문제가 아니고 오히려 베트남 안에서 ISP와 사무실간의 네트워크가 문제가 될겁니다.
    그냥 좋은 건물에 들어가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4. GRID 2개 밖으면 20명 사용하는데 큰 문제 없을겁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베트남에 서버를 두지 않으시겠지만 여전히 베트남에 서버 두시고 한국에서 관리 하시는것 추천 드립니다.
프로시아 2019-04
베트남에서 회의할때 써봤는데 보는데는 문제없는데
실제사용에서는 레이턴시가 못따라가서 손으로 작업하는것을 못따라 갑니다. 천천히하면 할만합니다
술이 2019-04
끝판왕 고성능 서버를 두었다고 한들 실제 작업은 누크보다도 못하는 현실입니다. 성능을 집중화 가용성을 사용하겠다고 하면 과감하게 포기하고 데이터가 아주 중요한 보안데이터라고 하면 과감하게 추진하세요. 데이터 하나가 회사하나 엎어지는 아주 중요한 데이터라면 당연히 VDI를 사용하게 맞는겁니다.
그게 아니고 아주 좋은 서버로 잘 굴려먹겠다고 하면 나중엔 다 걷어낼겁니다. 눈이 60프레임에 적응되어 있는데 네트워크를 통한 차세대 스트리밍 프로토콜이 나오지 않는한 현재까지는 답없습니다.
대기업 DB 프로젝트 구축 관리하고 있는데 베트남도 있습니다. DSL 환경이 아직까진 최선의 인터넷입니다. 4메가 8메가도 충분하지만 레이턴시가 문제죠. 30ms만 나와도 아주 끝내줄건데 베트남까지의 거리는 100ms도 넘을겁니다. 잘나오면 60ms 될지 모르겠네요.
이규섭 2019-04
전에 외국계 다닐때 AD서버가 북미에 있던것만으로도 속터져 죽을것 같았는데 VDI는... 어휴 힘들겠네요.
미크로틱 이진대표에게 연락해보십시요. 누크블록으로 구성된 마이크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및 회선 VPN의 해결사입니다.
한국에서 블록킹되면 일본서 즉시 지원가능하기도 합니다.
     
헬로우 2019-04
+100
저 시스템을 전에 다니던 회사가 도입해서 국내에 몇개 없는 성공 사례였는데
다니면서 엄청 고생했습니다.
결국 걷어냈습니다.;;;


QnA
제목Page 1383/5731
2014-05   5268190   정은준1
2015-12   1793206   백메가
2014-07   3863   장동건2014
2017-08   3863   불알왕
2019-07   3863   김건우
2020-02   3863   올빼미잠와
2018-11   3863   뚜뚜김대원
2021-07   3863   조우진cas
2017-06   3864   전설속의미…
2017-05   3864   두cpu
2017-05   3864   Win31
2023-09   3864   surren
2015-08   3864   jack33
2015-04   3864   아마데우쓰
2016-12   3864   리카라바
2021-05   3864   김동영남
2018-11   3864   두cpu
2019-11   3864   Sikieiki
2014-11   3865   나파이강승훈
2019-07   3865   가성비가좋다
2015-08   3865   epage
2015-02   3865   박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