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서버 구축중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조회 2733   추천 0    

 안녕하세요. 

이번에 사내 서버 구축을 맡게되어,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중입니다.

사이트는 대략 7~10 개 정도 구동예정인데요.

주변에서 젠서버를 추천많이 해주시길래, 우선 감잡아볼겸, 남는 데스크탑으로

젠서버 오픈소스인 xcp-ng 로 설치해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성능이나 모니터링, 기본기능 지원 등 이 충실해서 좀 놀랐습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게 좀 생겨서요.


1. 대략 7 ~ 10 개의 사이트를 운영할 서버를 구축하게 된다면, 꼭 서버컴을 사야 하는지? 혹은 성능좋은 데탑으로도 가능한지?


2. 젠서버 백업을 해보니, 결국 vm 풀백업이 젤 중요한듯 한데, vm풀백업을 위해서는 해당 vm 이 멈추고, 외부에서 ssh 접근해서 명령어로 vm 파일을

백업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자동화로 처리할 수 있을지? (해당 vm 구동정지 -> vm 파일백업 -> 해당 vm 구동)


3. 젠서버의 경우, 하나의 아이피로 각각의 vm 서버에 가상ip 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서비스하는데, 보안을 어떻게 해야 할지...


4. vm백업 파일의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안전한 곳의 저장소에 옴기고, 그 해당 저장소는 인터넷이 차단된, 로컬 저장소로 다시 자동으로 옴겨주는 그런 기능을 하는 백업 솔루션이 있는지?


제가 기업용 서버 구축은 처음이다 보니.. 모르는게 참 많네요.

눈팅해보니, 이곳엔 서버 구축 관련 고수님들이 많으신곳 같아, 2레벨이 염치없지만, 이렇게 질문드려 봅니다 ^^;


PS. 서버 추천이나 견적도 연락주시면 대환영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4
PC든 Server든 퍼포먼스만 맞고 호환성에 문제가 없다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수 있겠지만

장시간 돌릴 것이라면 서버 시스템을 권해드립니다..
     
네 24시간, 365일 돌려야 하는 서버라서요.
서버 시스템이 좋겠네요.

답변감사드립니다.
구차니 2019-04
저도 잘 모르겠지먼 호스트 갯수보다는 호스트별 부하를 알아야 견적에 도움을 주실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서버란게 무중단이 핵심이다 보니 비용이나 공수가 많이 듭니다. 서버 운용 인력이 없다면 호스팅을 츄천드립니다(책임소재라던가 등등)
     
답변감사드립니다.

호스팅하면 저도 편하고 좋을것 같긴한데요.

서버운용인력은 저로 정해진 상태라.. 호스팅은 안할것 같습니다 ^^;
          
구차니 2019-04
망했군.. 라는 마음이시겠네요.. 토닥토닥
책임소재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혹은 줄이기 위해서라도 강력하게 호스팅이나 임대를 추천드립니다.
거기 담긴 자료,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이런걸 피할수 있지 않다면 직접 손 안대시는게 수명연장에 도움이 됩니다.
네무루 2019-04
다른건몰라도 24/7로 돌아가는웹이면 서버를 권장합니다.
     
답변감사드립니다.

네무루님 24/7 이라 하심은,

24시간 주7일 풀로 돌아가는 웹을 말씀하신거 맞나요?

데스크탑으로는 힘들까요?

제가 몇년전에 집에서 데스크탑으로 게임서버를 3년간 운영한 경험이 있는데,

운영하는 동안 서버가 물리적으로 다운되거나, 문제가 되었던 적은 없어서요.
          
네무루 2019-04
개인적인 용도로 돌리는거면 일반사양으로 돌리다 뻑나면 가서 해결하고 하실수있으시면 해도될거같긴합니다.
회사가 규모나 구조나 방식이 어떤지 몰라도 회사에서 이윤을 추구하기위해 이용하는 용도이니 서버를 추천드리는 부분이죠.
하드웨어 관리가 귀찮거나 규모나 사정이맞으면 위엣분처럼 호스팅도 방법이구요.  일단 금전적인 문제가 걸려있으니.. 잘판단해보시길
박문형 2019-04
데스크탑으로 운영하시다가 문제 생기면 책임을 지실수 있으신가요??

서버와 데스크탑에서 차이중에 하나는 서버는 ECC 메모리를 사용하기에 메모리의 데이터가 문제가 생겨도 에러 정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epowergate 2019-04
결정은 돈과 회사분위기가 결정합니다.
제 생각은 돈보다는 회사 분위기인데 니가 했으니까 나중에 문제생기면 니가 책인저 하는 분위기면 무조간 서버로 가세요.
회사분위기가 최선을 다한 직원을 인정하는 분위기이면 그때 예산이 결정합니다.
저라면 성능이 좀 떨어지더라도 서버로 갑니다.
인디고 2019-04
제가 테스트용으로 구축중입니다.
작동 테스트 및 개발이 진행될때까지만 딱 쓰고 클라우드나 서버로 갈 예정이네요.
아마 데탑으로 실사용은 어렵지 않을까 하네요.


QnA
제목Page 1362/5729
2014-05   5263794   정은준1
2015-12   1788746   백메가
2013-03   7097   에아빠
2016-01   4979   다온
2018-02   3979   욕심쟁e
2021-11   2090   디지유
2016-01   3938   라긍
2020-06   3639   팅팅탱탱탱
2014-09   12998   마장기신
2020-06   6600   수퍼싸이언
2016-12   5107   리오
2019-04   2812   꺼꾸리1
2014-10   4098   대한민국
2020-07   4449   AplPEC
2010-03   11942   starcontrol
2014-10   3782   장동건2014
2013-04   10536   백두성
2010-03   8201   다온아이
2013-04   5930   오준호5
2010-04   9482   이성훈
2014-10   9424   viper9
2013-05   8575   오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