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5-2687w v3 와 e5-2696v3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laputa   
   조회 8650   추천 0    

아는게 거의 없이 도움만 받는 회원 입니다. ㅡ,ㅡ

회사에서 호스팅업체에 서버호스팅하고 있는 서버를 업그레이드 하려 합니다.

지금서버는  e5-2650v3(2개) 에 램 32g, 3.5hdd 32테라 구성인데 hdd를 48테라정도로 늘려야 할것 같아서 cpu와 램도 함께 바꿔보려 cpu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최신서버로 교체하면 좋겠지만 요즘 어려워서 버텨보려 합니다.


램과 hdd는 크게 고민할게 없는듯 한데 cpu는 좀 헷갈립니다.

cpu bench mark 에서 보니 e5-2687w v3 와 e5-2696v3 중 e5-2687w v3가 더 신형이고 가격도 비싼것 같은데..  속도는 e5-2696v3 가 더 빠른걸로 나와 있습니다.

cpu모델에 w 가 들어있는건 몇가지 기능이 향상된것이라는 정도로만 알고 있는데.. 이건 듀얼cpu를 지원하지 않는건가요?

두 cpu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십시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또리군 2019-05
기본 클럭은 e5-2687w v3가 더 빠릅니다. 터보 클럭도 그리 차이안나구요.
듀얼 구성도 가능합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processors/processor-numbers-data-center.html
W=worksation 용이라네요
제온프로 2019-05
듀얼 CPU는 모두 지원하고요...

사용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두 CPU의 아이덴티티가 극명하게 차이가 납니다..
2696 V3는 코어 중심의 V3 계열에서는 끝판왕입니다...

이에 비해 2687W V3는 소비전력부터 높은 깡패 같은 시피유입니다.
클럭이 높아 오토캐드, 솔리드웍등.. 클럭 의존도 가 높은 시스템에서
사용합니다.. 성능도 우수하여 가격은 또 깡패입니다..
있다고 해서 무조건 사용 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메인보드에서 프로세서당
160w 이상이 설계 되어 있어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쿨링 안정성이 확보 되야합니다...

가상화 용도라면.. 당연 2696 V3가 성능이 우위 입니다..

인텔에서 가상화서버용으로 나온 CPU가 E5-2683 V3,  E5-2683 V4 입니다.
E5-2696v3는 Intel ARK에서 검색되지 않네요. E5-2xxx은 모두 듀얼 CPU를 지원합니다. E5-4xxx는 쿼드까지 지원하고요.
E5-2687Wv3은 W가 붙은.. 서버 보다는 웍스테이션에 적합한 CPU.. 라고들 하더라고요? 서버에 적합하냐.. 웍스에 적합하냐.. 이런건 사실 돌리고자 하는 application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많은 코어를 제공하는 데 포커스가 있는지, 아니면 개별 코어의 성능을 높이는데 포커스가 있는지의 차이인 것 처럼 보입니다. 코어 수를 늘리는 작업에 의해 게이트 수가 늘어나는 건 당연하지만, 개별 코어의 클럭을 높이는데도 게이트 수가 꽤 많이 늘어납니다. 그래서 둘 다를 만족시키는 건 어렵습니다. E5-2687W는 항상 두 마리 토끼를 최대한 쫓아보는 제품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가장 많은 게이트를 우겨넣었을 것 같고.. TDP도 160W 수준으로 특출나게 높습니다.
대부분의 Xeon E5-26xx 프로세서들은 클럭이 낮아도 많은 코어를 제공하는 쪽에 포커싱 되어 있는 것 같아요. 그리고 아마도 호스팅용 서버라면 많은 코어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몇 가지 예외에 E5-2637, E5-2643, E5-2667, E5-2687W가 포함되는데.. 얘들은 코어 수가 많지는 않지만, 개별 코어 클럭이 3GHz 이상으로 높게 설정되고.. 코어 당 캐시용량(같이 쓰는 거지만 그냥 용량 나누기 코어수) 또한 큽니다.
좀 다른 이야기이긴 합니다만, 예전에 궁금해서 한번 찾아봤었는데.. E5-26xx v1에서는 모두 코어 당 2.5MB로 일정합니다. E5-26xx v2에서는 위에 언급한 4개 프로세서가 코어 당 캐시 용량이 3MB를 넘습니다. E5-26xx v3에서는 E5-2637v3와 E5-2643v3만 3MB를 넘습니다. E5-26xx v4에서는 E5-2637v4, E5-2643v4, E5-2667v4가 코어 당 3MB를 초과합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코어 당 캐시 용량을 제공하는 CPU는 E5-2643v2로.. 4.166MB입니다. 4MB를 초과하는 것은 E5-2643v2가 유일합니다. 거기다 기본 클럭도 3.5GHz로 가장 높습니다.
laputa 2019-05
또리군님, 제온프로님, 분노의 다운힐님...

상세하고 성의 있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을 보니 이제 좀 알듯 합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십시요.
이라달 2019-05
2687w v3은 E5시절부터 고클럭 최적화 제품으로 분류된 네이밍인데
v3에서는 기본클럭대비 ACTB 마진이 0.1밖에 되지를 않습니다.
2687w v2는 차별화된 클럭을 내세워 단일 코어 클럭의 강력함이 타 모델과 궤를 달리했지만
v3에 들어가서부터 전작에 비하여 다운클럭이 심하여 전작의 기대만큼 퍼포먼스를 못내는 모델입니다.

2696v3은 OEM모델로 2699처럼 명성이 높지 않지만 2699v3보다 맥시멈 터보클럭과
11코어이하 부하시 더욱 우세한 성능으로 모든 E5 v3 라인업 중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내주는 모델입니다.

컨셉상으로는 2687w v3이 적은 코어를 보았을때 더욱 높은 성능을 내주어야 지당해 보이나
막상 클럭 비교를 해보면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대부분 2696v3이 높은 성능을 내주는 의외의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단숨에 결론으로 가서
아래 모델별 클럭 비교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2696 v3 vs 2687w v3
1~2코어 2696 v3이 우세  3.8 > 3.5
3코어 : 2696 v3이 우세 3.6 > 3.3
4코어 : 2696 v3이 우세 3.5 >  3.2
5코어 : 2696 v3이 우세 3.4 > 3.2
6코어 : 2696 v3이 우세 3.3 > 3.2
7코어 : 두 모델이 비등 3.2 = 3.2
8코어 : 2687w v3이 우세 3.1 < 3.2
9코어 : 2987w v3이 우세 3.0 < 3.2
10코어까지 : 2687w v3이 우세 2.9 < 3.2
11코어 이상 : 코어 개수가 많은 2696 v3이 무조건적인 우세
     
이빠빠 2019-09
''
laputa 2019-05
이라달님...  머리에 쏙 들어오는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십시요..


QnA
제목Page 4746/5708
2015-12   1675093   백메가
2014-05   5140479   정은준1
2014-12   8555   제라드듀갈
2010-02   8555   FreeBSD
2004-04   8555   정회정
2015-01   8556   ADUS
2014-07   8556   미니TM
2003-06   8557   임지운
2016-03   8557   MikroTik이진
2011-02   8557   dragoune
2013-11   8557   윈도우10
2020-05   8557   DDDIE
2004-03   8557   박영록
2017-09   8558   반성만
2016-11   8558   황성진
2003-08   8559   이성곤
2004-02   8559   이승구
2010-07   8559   감기
2004-03   8559   함문수
2010-01   8559   홍인성
2009-04   8559   데몬핸드
2014-11   8559   주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