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bsd 듀얼부팅 질문이요

   조회 3782   추천 0    

이번에 한번 써보고 싶어서 페도라 삭제후 설치를 했는데 부팅 엔트리에 윈도우밖에 없네요.

혹시 어떤 설정을 하면 되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ㅜ 

리눅스는 알아서 다 해줘서 grub 같은거 신경도 안쓰고 살았네요 ㅜ

Mr. le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모스월드 2019-05
리눅스의 Grub도 FreeBSD의 BTX Loader에서 출발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문제는 윈도그가 MBR영역을 점유를 해서 생기는 문제이고, FreeBSD DVD(CD, USB)로 부팅후에 Boot Loader복구를 하시면 될 것입니다.
아니면, 윈도그 설치 --> FreeBSD설치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비엘이브 2019-05
윈도우가 먼저 깔려있는 상태에서 설치 했습니다. 리눅스는 알아서 다 하던데 ... 리눅스랑 해결법이 같으면 좋겠네요ㅎ 자고 일어나면 부트로더를 이참에 파헤쳐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모스월드 2019-05
원래 "다 알아서 하는것"은 없습니다
          
하셀호프 2019-05
리눅스가 다 알아서 한다구요?
이거 정말 격세 지감입니다
우분투 나오면서 정말 많이 편리해 진거 같습니다
프비도 해봐야 하는데...
               
비엘이브 2019-05
저는 정말 테스크탑용으로 간단하게 쓰고 있어서요 ㅎㅎ
서버라는 단어를 무서워합니다.
윈도우에서 겨우 넘어가는 단계입니다 ^^
김한구BSD 2019-05
boot0cfg를 사용해서 부트매니저를 설치하면 됩니다....
일단 USB나 DVD 등으로 프비 부팅후에....커맨드 라인으로 들어가서.....
boot0cfg -B /dev/ada0 이런 식으로 하면 됩니다.
ada0는 첫번째  SATA 혹은 SSD이고..만약 스카시라면 /dev/da0가 됩니다..
스카시 혹은 SAS 컨트롤러에 JBOD나 RAID로 묶여 있으면 이게 또 달라지긴합니다...
boot0cfg로 검색해보세요...
     
비엘이브 2019-05
오 감사합니다!
아침부터 이것저것 찾아봐서 boot0cgf에 대해선 조금 알것 같아요 ㅎ
꼭 해내고 싶네요 ^^
서버가 아닌 것 같은데.. 그렇다면 일단 멀티부팅보다는 VM으로 설치하시길 권해드립니다.
grub을 통해서 멀티부팅을 하려면 grub을 update할 수 있게 port collection의 grub2를 설치하고 부트메뉴에 추가해줘야 할겁니다. 아니면 rEFInd라는 걸 한번 알아보시죠.
     
비엘이브 2019-05
아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조금 이해가는 부분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ㅎ
김한구BSD 2019-05
MBR로 하신다면 Gag boot manager라는 놈도 있습니다....꽤나 쓸만합니다....
     
비엘이브 2019-05
아쉽지만 BIOS 아니고 UEFI네요 ㅜ
오늘안에 해결 될 줄 알았는데 쉽지가 않네요 ...
이것저것 읽어봐도 부팅은 감이 안오네요 ㅎ
비엘이브 2019-05
grub 활용한 부팅으로 해결했습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343/5727
2015-12   1776354   백메가
2014-05   5251309   정은준1
2019-05   4578   다롱이
2019-05   4121   witbox
2019-05   3478   금콩커피
2019-05   2611   김영기
2019-05   2842   김경철
2019-05   4930   김건우
2019-05   3574   금콩커피
2019-05   4561   이호승
2019-05   3366   신은왜
2019-05   3963   나파이강승훈
2019-05   4551   꾸준함이진리
2019-05   4303   이건희
2019-05   3605   NiteFlite9
2019-05   4528   잘하자
2019-05   4477   김제연
2019-05   2592   나너우리
2019-05   3634   마하의속도
2019-05   2770   박문형
2019-05   4361   ArtsRommel
2019-05   2467   song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