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bsd 여러 설정 질문입니다~

   조회 3291   추천 0    

이것저것 하고는 있는데 잘 안되는것들 질문 드립니다.

1. locale 설정

dot.login_conf 파일을 직접 

me:\         

:charset=UTF-8:\

:lang=ko_KR.UTF-8:

로 #떼고 수정을 하고 재부팅 해도 locale 해보면 바뀌지 않습니다.

/etc/profile에 export LANG=ko_KR.UTF-8

이런식으로 넣어주면 재부팅하면 잘 바뀌긴합니다. 

그런데 정석적인 방법은 아닌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2. vi vim

/etc/profile에 alias vi="vim" 설정을 넣었는데 source 명령으로 실행시키면 적용됐다가 

재부팅 하면 적용 안돼서 질문드립니다.


3. fstab ntfs 마운트

ntfs-3g /dev/nvd0s1 /mnt/media -o rw로 마운트하면 마운트 잘됩니다.

fstab에 등록방법좀 알고 싶습니다.


4. nvidia driver 설치

그냥 망망대해에 있는 느낌입니다...

운영체제를 알지도 못하는지라 그냥 따라하는 것 밖에 할 수 없는 수준인데 

nvidia 홈피에서 freebsd x64용 다운받아서 make install 해도 안되고

nvidia_load="YES"

linux_load="YES"

kld_list="nvidia-modeset" 등등 옵션을 써도 안돼서 

혹시 조언이 해주실분이 계시면 좋겠네요.


모든 작업은 root로 했습니다. 

사실 1,2,3은 글에 적었지만 대충 사용은 가능한데

4번이 제일 문제가 됩니다...

어떤 말씀이든 감사히 듣겠습니다~



Mr. le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모스월드 2019-05
FreeBSD로 밥먹고 살다가 FreeBSD11부터 건드리질 않아서 기억이 가물가물 하네요.
1,2 ${HOME}/.cshrc 파일에 등록해보세요
Vim이 설치된것은 맞나요?
3. /etc/rc.conf에 NTFS관련 모듈을 올려줘야 할듯 한데요
4. https://www.nvidia.com/object/freebsd-x64-archive.html
비엘이브 2019-05
감사합니다.
1,2번은 이것저것 만져보겠습니다.
3번은 솔직히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ㅎㅎ
4번은 메뉴얼인줄 알고 기대했었는데 다운링크라서 조금 아쉽네요.
링크에서 받아서 make install해도 안되는 상황이어서요 ㅜ
     
모스월드 2019-05
4번 다운받은 파일에 Makefile 있나요? 단순 바이너리 아닌가요? 그냥 쉘 커맨드로 설치하는듯 한데요. nVidia카드가 먼지는 모르겠지만 제조사 바이너리가 있고 xorg에서 배포되는 소스코드 형태가 있어서 어느 한쪽을 택해서 테스트 해보시면 됩니다. 이는 FreeBSD라고 해서 다른 운영체제와 다른지 않고 X윈도가 서드파티 어플인 이상은 여타의 유닉스/리눅스와 동일합니다.
          
비엘이브 2019-05
많은 도움이 되어서 그래픽카드드라이버 설치에 성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1, 2번은 사용하시는 쉘이 뭔지 알면 좋을 것 같아요. 3번은 /etc/fstab에 추가하려면 mount 명령을 통해 mount 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어야 할 것 같아요. ntfs-3g는 살짝 벗어나 있는 것 같기는 한데요.. ntfs-3g 실행 파일을 /sbin/mount_ntfs로 symbolic link 시켜놓으면 혹시 될지도 모르겠네요. 그 다음 아래와 같은 라인을 /etc/fstab에 추가하면 어떨까 합니다:
/dev/nvd0s1 /mnt/media ntfs rw 0 0
이렇게 했을 때 안된다면 그냥 /usr/local/etc 아래에 그냥 mount하는 스크립트를 하나 추가하는 방법으로 해야할 것 같습니다.
4번은 해봐야 알 것 같긴 한데.. X 환경은 이미 설치가 된 상태인가요?
비엘이브 2019-05
리눅스 쓸때는 bash만 쓰다가 이글을 쓰고 나서부터 이것저것 여러 쉘들을 만져보게 돼서 각쉘의 설정파일들에 대해서 조금씩 이해가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디에 설정을 해야 모든 쉘에서 vi를 vim으로 설정할까 궁금해서 해보는데 없는것인지 아직은 모르겠네요. 그런 방법이 없다고 하면 과감히 포기하고 bash를 사용하려 합니다. 이 문제는 해결됐습니다.
로케일 설정은 /etc/login.conf에서 해야 하는 것 같아서 이것저것 해보고 있구요,
마운트는 제가 자료보관용으로만 쓰는 파티션을 마운트 하는게 고작인데 현재 window10/fedora/freebsd 세개 사용중인데
확장성이 좋다고 하나요? 어느 운영체제든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 뭔지 몰라서 현재는 ntfs로 자료저장을 하는데
더 좋은걸 알고 계시면 제게도...ㅎㅎ
심볼릭링크도 알기만 하지 해본적이 한번도 없어서...시도는 해보겠습니다 ㅎ 감사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제일 답이 안나오는 nvidia는 아직도 아무 진전이 없네요ㅜ
gnome3쓰고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342/5729
2014-05   5264360   정은준1
2015-12   1789338   백메가
2016-07   3814   KyuJoonA
2018-06   3814   하셀호프
2015-07   3814   안주사냥꾼
2021-09   3814   행복하세
2017-10   3814   으라차차차
2018-12   3814   버어럭
2014-11   3814   나파이강승훈
2017-09   3814   삐돌이슬픔이
2016-08   3814   컴박
2022-05   3814   박문형
2021-09   3814   행복하세
2021-11   3814   주용아빠
2017-12   3814   김건우
2020-02   3814   voworks
2018-03   3814   페르세우스
2018-05   3814   김건우
2020-03   3814   keros
2014-03   3815   lsmwica
2018-03   3815   여주이상돈
2018-10   3815   미니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