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전선교체 cv선으로 해도 괜찮울까요?

   조회 8734   추천 0    

드디어 누전되는 라인을 교체하려고

업자를 불렀습니다


보시더니 HIV 전선이 아니라 CV선으로 하면 되겠다고

CV선을 강추하던데요

3400w 오븐도 거뜬하다는데


문제없는지 궁금합니다

꿈만 꾸는 공상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천풍 2019-05
CV선이든 뭐든 상관없습니다.
전선의 용도에 따라 분류해서 알맞은 굵기 또는 그보다 한 등급 더 굵은 전선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오히려 옥외용 HIV 배선이 누전이나 침수 등에 강합니다.
CV 배선은 주로 옥내용입니다.
     
cv선이 외부에 한겹 더 있어서 습기에 강하다고 HIV보다는
낫다고 하시더라구요

어차피 실내용 매립전선이니 상관없다고 하시니
다행입니다.
이선호 2019-05
옥내용 콘센트 배선은 최소(보통) 2.5SQmm, 여유있게 시공하는 곳은 4SQmm를 사용합니다.
2.5SQmm만 되어도 3kWh~4kWh 전력은 큰 문제없이 사용 가능하고, 4SQmm정도면 5~6kWh는 안전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가격이 비싸고 넣기 힘들어서 그렇지 TFR-CV 사용하시면 좋지요.
     
그냥 원 계획대로 HIV로 해달라고 했습니다
계획과 어긋나면 뭔가 찜찜해서요 ㅋ
김준유 2019-05
CV케이블은 cd관 안에 집어 넣기 쉽지 않아요.. 특히 오래된 배관에서는요...
     
부산 갔다가 이제 왔네요
자신있게 말씀하셨으니 뭔가 방법이 있겠죠 ㅎㅎ
설마 외부로 뺄려는 건 아니리라 봅니다
이준민 2019-05
옥내용 매립배관에 입선은 HIV가 좋습니다 하지만 HIV의 경우에는 화재시 유독가스가 발생하기때문에 최근에는 HFIX전선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HFIX 전선의경우에 습기때문에 수트리현상이 발생하여 절연파괴가 쉽게 일어날수 있다는것이죠 그래서 이점을 개선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HFIX플러스 등등) 이걸 사용해 보시는것도 좋겠구요 CV의경우에는 김준유님 말씀대로 입선이 쉽지 않습니다 그때문에 옥내 배관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편입니다 그리고CV전선이라고 하여 무조건 전류를 강하게 흘릴수있는것은 아닙니다 전선의 굵기가 가장 중요하며 일반적인 아파트 옥내 전열라인으로 쓰이는 16C 배관에 CV케이블(아마도 2.5SQ 3C를 사용할거라 생각됩니다) 입선은 경우에따라 좀 어려울수도 있겠습니다 이때 입선이 어렵다고 마가린, 식용유, 마요네즈 등의 유지를 사용하여 입선할경우 시간이 지나면 유분에의해 피복이 손상되어 다시 누전이 발생할수 있으니 가급적 수용성인 제품을 사용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제가 하자처리를 한다고하면 배관을 먼저 블로잉하여 건조시킨이후 HFIX를 입선하되 입선시 원활하게 작업진행이 안될경우 수용성 풀링윤활제를 사용하여 입선하고 배관 말단부에 실리콘이나 난연성 폼을 이용하여 밀봉하여 결로로 인한 수분침투가 되지않도록 처리합니다. 최근 대형 건설사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실제로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여 하자가 발생한적은 없었습니다. HFIX 입선시 누전발생으로 인한 하자 대부분은 습기와 유분에서 기인합니다 하지만 제생각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수분보다는 유분인 경우가 더 많다고 생각됩니다 실제로 동일조건하에서 입선시 윤활을 목적으로 유분을 사용한 경우에 더 높은 확율로 피복의 절연파괴가 일어나는것을 볼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내선용 윤활제가 수급도 쉽지않고 가격도 비싼편이기에 현장에서 사용하는경우가 굉장히 드물고 공기에 쫒기다보니 입선시에 배관내 수분제거를 안하고 그냥 입선하는경우가 많아서 더욱 그렇다고 볼수 있겠습니다.
     
또하나 배우네요 감사합니다
화재시 전선 유독가스로 피해를 입는 것보다
다른 가스로 먼저 맛이 갈 것 같습니다 ^^;
단독 1라인만 HIV로 교체하는 거라
괜찮을거라 행복회로 돌려봅니다
임상현lsh 2019-05
규정으로 관내용으로는 cv케이블 쓰라고 안되어있을텐데요.
할거면 tfr cv정도는 되야하는데 이거 피복상태가 관내시공이 가능한 유형이 아닐텐데말이죠.
그냥 속편허게 hiv전선으로 요구하세요.
     
네 HIV로 해달라고 해놨습니다
뭔가 전기 전문가는 아닌듯한 느낌이 들어서
조금 그렇네요 ㅎㅎ
배선차단기 40A 달린 것 보고 전기는 홀수인데
왜 40A 달려있지? 하시더군요

이사온 아파트도 배선용은 40A 달려있는데 말입니다...
박주연 2019-05
CV 케이블은 미터로 끊어서 팔기 때문에 권한거 같네요
IV는 묶음으로 사야되는 경우가 많아서.............(드물게 미터로 끊어서 파는곳도 있긴한데 거의 없음)

케이블에 전기가 흐르면 열이 발생되는데 (도체 굵기와도 관련 있음)
배관에 들어간다고 뻑뻑하게 집어 넣으면
열 축적되어 불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CD 배관도 있고 벽체(콘크리트외)에 매립되어 있다면 외부로 부터 어느정도 보호가 되니
배관 사이즈를 고려하면 IV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되네요

참고로 제대로 배관사이즈 선정하고 설치한다면
윤활제 쓸이유가 없습니다.

P.S 솔직히 동네가게에서 제대로 케이블, 배관 계산해서 쓰는곳을 보기가...........공사업체도 그냥 대충 쓰는데
      대충 쓰면 된다고 하는데가 많죠 (왜 이걸 써야하는지 모른체)
     
HIV 전선으로 교체했고 WD 한통 사용했다고 합니다
관에 이물이 있어서 안들어가서 그랬다네요
Marl보로 2019-05
온도 습도 .. 두 가지 만 보시면 될 듯. 전류용량은 대개의 주택이 30암페어니까 최소한 파이3.2mm , 염화비닐 피복전선은 장기간의 습기에 취약합니다.


QnA
제목Page 1336/5730
2015-12   1792336   백메가
2014-05   5267350   정은준1
2014-05   3810   김황중
2021-05   3810   늘파란
2019-04   3810   제로콜라
2014-11   3811   wons
2020-03   3811   NINANO
2016-08   3811   이해하면오…
2015-01   3811   김준유
2014-04   3811   뮤노
2018-10   3811   사랑하라
2020-12   3811   화란
2015-06   3811   김건우
2015-09   3811   하셀호프
2014-08   3811   가빠로구나
2018-03   3811   inoree
2016-03   3811   e5472
2014-03   3811   승후니도쿄
2018-04   3811   코쿠
2014-03   3811   병맛폰
2015-08   3811   LastFantasy
2017-04   3811   Goldentoo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