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 PCI 그래픽카드 사용해보신 분들께 질문..

봉래   
   조회 3284   추천 0    

장터에 PCI 그래픽카드가 올라와서 마침 필요한차에 구매하려다 말았는데, 생각해보니 궁금한게 있습니다.


원래 그래픽카드가 PCI 대역폭이 부족해서 AGP까지 임시로 나왔던거로 기억하거든요. 지금이야 PCIe로 주로 나와서 AGP야 사라졌지만.. 무튼 GT520, HD5450같은 2010년대 초반의 VGA들이 PCI 규격으로 감당이 되나요?


물론 게임 등을 하려는건 아니고 잘 해야 FHD급 동영상이나 보지 싶은데 그래도 실사용상에 여러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해서 일단 질문글 올려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임상현lsh 2019-06
FHD영상은 하드웨어 가속 아닌경우 프레임이 밀립니다.
알파고 2019-06
PCI대만 해도 모든 컴퓨터 자원이 영상을 돌리기에는 힘들었어요..

그래서 하드웨어 엠팩 카드가 있었지요..
AGP부터는 그래도 avi같은건  재생이 가능했습니다.

원하는 FHD는 재생이 10번 깨어나도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PCI는 그냥 오래된 하드웨어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수준으로 보면 됩니다.
     
봉래 2019-06
답변 감사합니다.. FHD는 어렵군요. 혹시 HD급은 어떤가요?
구차니 2019-06
대역폭으로는 문제가 없으나 그래픽 가속 능력이 문제라 pci 세대의 그래픽 카드와 그 세대의 cpu로는 무리일거라 생각됩니다
자세한 시스템 사양이 필요할듯 합니다
     
봉래 2019-06
아.. 대역폭 문제가 아닌가요? HD5450나 GT520의 경우 FHD 가속은 지원하는거로 알아서 문제가 있다면 PCI의 대역폭 문제일거라 생각했는데...
구차니 2019-06
아 찾아조니 대역폭 걸리듯 합니다64bit가 아니거나 pci-x (ex말고)
가 아닐 경우 32bit에 133MB/s 인데
fhd 한 화면에 비트맵으로 8메가 입니다
30프레임이면 30x8=240이니 대역폭에 걸릴듯 합니다
구차니 2019-06
단 동영상 해상도가 아닌 비디오 어댑터 해상도를 낮추면 30 프레임 재생이 가능할 듯 합니다
     
봉래 2019-06
HD면 대략 프레임이 비트맵으로 3.6메가(1280x720x32bit) 정도 나올테니 30프레임 기준 106MB/s를 겨우 충족하겠네요. 다만 현실적으로 PCI의 이론상 대역폭이 다 나오느냐는 또 다른 문제니 불안정성이 좀 있을거같고요. 정말 좋은 답 감사합니다. 속시원한 답변 주시네요. ^^
          
임상현lsh 2019-06
힘듧니다.
레거시 pci는 단방향인데다 다른슬롯과 공유하는 버스라서 실사용시 133MB가 지속적으로 안나옵니다.
이천풍 2019-06
FHD 동영상 보는 데 별다른 지장이 없던데요.
아마도 하드웨어 가속이 되나 봅니다.
     
봉래 2019-06
그런가요?;; 점점 헷갈리네요. 하드웨어 가속여부보다는 대역폭이 문제될거라 생각했는데요..
          
이천풍 2019-06
제가 이쪽 전공도 전문분야도 아니라서 정확히는 설명하기 힘드네요.

대역폭 문제는 약간 다르게 작동한다고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블루레이급 영상은 1920×1080 (59.94-i / 16:9 / 2D 인코딩 전용) 화면에 36 Mbps 대역폭을 사용하며, DTS HD 음향에 24.5 Mbps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동영상 데이터 자체는 36+24.5 = 60.5 Mbps 범위 내에서 그래픽 카드에 입력됩니다.
즉, 동영상 재생을 위한 데이터는 겨우 8 MB/s 정도의 대역폭만을 사용합니다. 이는 PCI 대역폭인 133 MB/s보다 한참 적은 양입니다. 
이 데이터를 받아 압축을 풀어서 VGA 카드의 출력 포트로 내보내는 것이 VGA 카드의 역할이기 때문에 입출력 대역폭의 문제는, 게임 등이 아니라면, 그다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편 블루레이 동영상 표준은 100 Mbps 통신회선을 통하여 전송할 것을 고려하여 제정된 표준임을 감안하면, PCI 버스에서도 무리없이 전송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Bluray HD ( 1920×1080 / 59.94-i / 16:9 / 2D 인코딩 전용)까지는 100 Mbps 회선을 통해 전송 가능하며,
Bluray HD ( 1920×1080 / 24p / 16:9) 등은 같은 Bluray HD 동영상이라도 HEVC (H.265) 포맷을 지원한 경우에만 재생이 가능합니다.
여기에서 인터레이스 동영상 (59.94-i 등)은 H.264 포맷을 지원하는 경우에 재생이 가능하고, 넌인터레이스 동영상 (24p 등)은 HEVC (H.265) 포맷을 지원하는 경우에 재생이 가능합니다.
즉, 하드웨어 가속이 필요합니다.

문제가 된다면, 게임 등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비압축 데이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고, 이미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천풍 2019-06
그래픽 카드에 음향 데이터가 입력되는 까닭은 HDMI 또는 음성지원 DVI 포트 때문입니다.
HDMI 출력되는 동영상은 당연히 음향이 포함되며, 음성지원 DVI의 경우에도 기기에서 지원되는 경우에 음향을 재생해야 하므로 데이터 입출력이 필요합니다.
               
봉래 2019-06
무슨 말인지 알겠습니다. PCI로는 코덱을 통해 압축된 데이터를 VGA에 입력하고, 압축이 풀린 후의 데이터는 VGA에서 hdmi등으로 외부 출력되므로 PCI대역폭의 문제가 아니란거군요.
                    
이천풍 2019-06
예, 그렇습니다.
그게 안 된다면, 대역폭이 PCI에 비해 한참 모자란 라즈베리파이의 SD카드에 저장된 1080i 동영상을 재생할 방법이 없습니다.


QnA
제목Page 4717/5723
2015-12   1760423   백메가
2014-05   5234033   정은준1
2018-11   3306   빨강토끼
2020-04   3306   허인구마틴
2023-06   3306   컬러
2019-02   3306   서버구머
2022-06   3306   hdsniper
2020-11   3306   meviesta
2019-04   3306   행복하세
2015-07   3306   2cpumem
2018-08   3305   심사숙고
2021-11   3305   galaxyfamily
2017-09   3305   노가리강추
2018-09   3305   Win31
2020-04   3305   전설속의미…
2017-09   3305   AplPEC
2017-10   3305   제로섬
2022-01   3305   hdsniper
2020-10   3305   VSPress
2020-03   3305   helpit
2015-02   3305   권용1
2020-09   3305   VS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