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미국, 중국 싸움이 어떻게 될 거 같으세요? 우리 나라 영향은??

   조회 2778   추천 0    

 

지금 미국하고 중국하고 싸움이 한창이지요


화웨이는 벌써 끝났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구요


이거 어떻게 끝날까요?


중국이 흔들거린다고도 하고 북한도 묻어서 날아간다고도 하네요


이런거 질문하면 않되는지는 아는데 너무 궁금하네요


다른 어떤 사이트보다 이곳이 좋아서 이곳 분들에게 여쭙고 싶습니다


문제의 소지를 제기하시는 분들이 많으면 삭제하겠습니다


미국이 중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파기했다고 하네요

대만, 티베트, 위구르등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했구요

중국을 분리시키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미국이 우리보고 미국편에 서라고 요구하면 해야하지 않을까요


여러분들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1. 스타로 빗대면 저그랑 프로토스의 싸움입니다. 2.예상컨데 새우등이 터질 겁니다.
NiteFlite9 2019-06
우리나라를  볼모로 삼으려고 하겠지요.
특히 중국이 요구를 하겠지요.
최근들어서 중국은 자체적으로 기술확보하려고 더더욱 노력(?)하는것 같더군요
어떻든 결과는 미국이 이길겁니다.
선진국의 대부분은 미국과 우호적이니 중국이 글로벌정책을 포기하고 예전처럼 죽의 장막속으로 돌아가지 않는한 많은것을 양보?수탈?포기?하고 미국과 타협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이나 경제의존도로 볼때 미국편에 줄서지 아니하면 하루아침에 쪽박차게 될겁니다.  수출도, 지금 들어와있는 경제자본도, 군사력도 미국이 등돌리면 우리나라는 고립무원이 됩니다.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미국을 깡패로 생각합니다. 쪽팔리더라도 우리가 힘이없으니 그나마 소규모 조폭보다는 큰보스에게 줄서야 하겠지요. 그래야 다른 조폭들로 부터 나와바리?를 지켜주죠.
그냥 태백산맥에 폐광된 갱도에서 다이아몬드나 금맥이 터져 경제적 자립도가 생기면 좋겠습니다. 아참 울산앞바다 제 7광구도 있지요. ㅋ
단순 타협 정도로 끝날 상황이 아닙니다.
1) 중국에 있는 공장을 중국이 아닌 미국이나 다른 국가로 이전 하도록 정책을 펴고있고
2) 기술 탈취 무역 불공정 시정 등을 바로 잡으려 하는데 이게 중국으로써는 죽음이기 때문에 받아 들일 수 없는 것이지요

그리고 우리가 힘이 없는것이 아니라 조그만 생채기도 무서워 하면서 맞서지 않기 때문에 무시당하는 것이지요

중국은 우리와(삼성, 하이닉스) 미국(마이크론) 만 중국에 물건 안팔면 그것으로 중국 전자쪽은 문 닫아야 하고요
이미 디램쪽은 생산장비 금수 조치로 문닫았고요

중국 숨통을 끊어 버릴수 있는 패를 우리도 쥐고 있습니다.
우리 중국 수출 상당수가 산업용 부품 들이죠 이 부품 끊어 버리면 중국 무너집니다.
물론 우리도 피해가 있겠지만 이것 무서워 하면 계속 무시 당하죠
이천풍 2019-06
예전에 고구려가 무시 안 당한 이유가, 그러면서도 역설적으로 끝까지 전쟁 일으켜 멸망시킨 이유가,
중국 쪽 말을 안 들어서였습니다.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중국 쪽 말을 좀 안 들어줘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쪽에서 전부를 걸고 맞선다는 사실을 알려줘야만 상대방도 그만큼 존중해 주기 마련입니다.
imah 2019-06
중국은 맨손이고 미국은 칼을 들고 있는 형국인지라 결국은 미국이 이기겠죠.

중국이 내세우는 무기라고는 실상 인구에서 나오는 소비력뿐이라고 봅니다. 희토류나 공장 이런건 당장은 피해가 있을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해결되고 결국은 미국이든 타국이든 경제적으로도 이득이구요.

헌데 이 소비력이라는 것들도 중국시장의 특이성때문에 빛좋은 개살구라는게 점점 드러나고 있죠. IT쪽은 특허무시로 다 빼가고 자국제품만 팔리고 있고 타국 서비스는 아예 못들어오게 하죠. 자동차나 그런 쪽도 그럴 조짐이 보이구요. 뭐든 적당히해야 하는데 모든 공산품을 자기들이 다 먹으려고 하다보니 이 사단이 났나고 봅니다.

관건은 tsmc일 것 같습니다. tsmc를 잘 틀어막는다면 중국은 단순제조만 하던 20년 전으로 돌아가는 것이고 못 막는다면 그간 카피당했던, 라이센스줬던 반도체기술들 때문에 미국이 힘들어질것 같습니다. 이미 arm과 라이젠, 메모리까지 넘어갔으니까요. 아예 미국과 척을 졌으니 해킹으로 기술빼와서 개발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겠죠. 기술을 빼가도 생산을 못하게 만들어야하는데, 이를 위해선 tsmc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결국 현대기술은 반도체없이는 아무것도 안되니까요.
시도니 2019-06
양국의 경제학자들도 인정하는 것이지만...

미국과 중국의 경제 전쟁은 무한히 할 수 없습니다.

중국의 경제 손실이 커지는 만큼, 역설적으로 미국의 물가 안정에 치명타를 입히기 때문이죠.

이미 양국 뿐만이 아니라 세계의 경제는 서로 그물망 처럼 연결되어 있어 예상치도 않았던 곳에 나비의 날개짓이 어느 나라에 폭풍우로 나타날 수도 았게 됩니다.

또람뿌가 미친놈인 것은 맞지만, 만약에 힐러리가 당선되었다면 상황이 달랐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정도에 차이가 있었을 뿐.....  민주당도 보호무역주의는 수순이였을 겁니다.

이 보호무역주의가 양날의 검인 것이 일단 보호무역을 하면 자국의 산업도 보호하고 세금도 더 걷고 미국처럼 힘있는 나라에서 대놓고 좋을 것 같지만..

이번 미국에서 한국산 세탁기 전쟁을 빗대서 보면 이미 자국에 경쟁력없는 산업에 보호무역으로 둘러쳐 봐야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본다라는 것입니다.

값싼 원자재나 경쟁력있는 수입산 물품에 세금을 올리면 이 제품을 사용하는 자국의 산업이나 소비자도 엄청난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래서 중국이 희토류 카드를 꺼내들었던 것이구요.(이건 좀 실수 같긴 하지만....)

2020년 대선이 끝나면 또람뿌 이 미친놈이 어떻게 돌변할지.. 또 모르므로... 흠..
화란 2019-06
정치말고 경제적 상황만 본다면,

1. 중국의 경제손실보다는 미국의 경제(물가 등등) 피해가 더 적으므로
중국이 죽자고 덤비는 사태를 더 좋아(?)할 듯 합니다.

2. 중국은 반도체 '장비'는 이미 끝났다고 봐야하고, '반도체'는 수입해야겠죠.
근데, 이걸 트럼프 형아가 둘다 못하게할텐데...

3. 세계적으로 미국계열기술(?)과 중국계열기술(?)이 공존하다가... 시간이 지날 수록 중국계열기술은 마이너스 성장, 미국계열기술은 플러스 성장 할 것 같네요.

4. 우리나라는 그 과정에서 하이, 로가 아닌 스윙 정책을 펼쳤으면 좋겠습니다.( 이건 완전 개인적 소망^^ )


걍 개인의견이니 뭐라고 하심 안됩니다 ㅋ
하셀호프 2019-06
중국이 미국에게 패한다면 어떤 상황이 전개될까요
중국이 티벳이나 위구르, 조선족 자치구별로 나누일까요?
북한은 어떻게 될까요? 위태로워질 거 같은데요
지구촌 패권 구도가 극적으로 변할텐데요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요 트럼프 집권내에 마무리될까요?
불확실성이 너무 많습니다
정유미 2019-06
힘있는 넘들이 내가 죽게 생겼는데 그냥..아 난 죽었어...이러고 가만있지 않죠..
억지를 부리든 행패를 부려서라도 자기 이득을 찾죠.
그냥 단순 논리적으로 정신승리하는것은 힘없는 조그만한 나라들 뿐이죠.
땅부자 2019-06
이번일 때문에 정작 손해는 우리측에서 떠안을거란 예측이 팽배합니다.
중국에서는 이미 납작 엎드렸습니다.
내부 결속을 버릴수가 없어서 대외적으로만 떠드는거고
언더채널에서는 이미 항복선언에 가까운 상황입니다.
이러다가 조금 큰 한방 들어간후에 이번만 봐줄께 한번만 더 까불어봐 하는 상황으로 갈겁니다.
재밌는건 이 판에 러시아가 들어왔는데 러시아가 얻어갈게 없을거란게 재밌는 부분입니다.
한국상황은
의도된 이 벌어지거나
이 벌어진후에 번쩍
하고 그레이트 아메리카 어게인후
뒷처리를 한국이 하게 될겁니다.
거기서 이득이 남을지 안남을지는 정권결정에 달린건데.
아시다시피
     
하셀호프 2019-06
사실 비용을 떠 안는 시나리오가 전에도 있었지요
북한과 원자로 협상할 때 미국이 다 협상하고 비용은 남한이 부담하는 것으로...
북한은 그래도 어느정도는 부감 가능한 정도일수도 있지만
우리가 중국에 대한 일을 부담할 능력이 될까요
걱정스럽습니다


QnA
제목Page 2815/5725
2014-05   5244115   정은준1
2015-12   1769527   백메가
2016-12   4501   깜박깜박가
2016-01   4287   정은준1
2013-04   6914   민성일
2017-01   8012   쿰척쿰척
2019-04   2861   무아
2021-12   2274   majegersa
2014-10   8273   장동건2014
2016-01   4699   푸하히
2013-04   7281   윤경식
2019-05   3010   전설속의미…
2020-07   2633   미담
2018-03   4419   윌라멧
2019-05   6550   일국
2023-07   2788   네이스터
2016-02   4465   클라이막스
2019-05   3513   반성만
2010-05   9630   과거지사
2017-01   6146   김건우
2020-08   5310   FreeBSD
2010-06   8992   레인보우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