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윈도우 노트북의 미래

DDDIE   
   조회 4955   추천 0    

퀄컴  ARM이  인델 x86에 비해서 스마트폰/ 태블릿 쪽에서는 확실히 좀 더 대중적인 상황이 유지되고 있고...


구형 플래그십 모델도 단순한 워드 / 엑셀 정도로는 충분히 렉없이 가능하더라구요. 


그런 면에서 생각해 본다면 12인치 랩탑 / 미니 pc 정도는 ARM + 윈도우10 조합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되는데...



실제로 이런 제품이 몇해전에 나왔다가 별 인기가 없어서 들어간 것 같거든요


앞으로 ARM + 윈도우10이 많아질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형진 2019-06
노트북인데 굳이 ARM을 쓸 이유가 있을까요
솔직히 거기에 윈 10을 깔기에는 OS 비용이 아깝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안나올 것 같습니다.
     
DDDIE 2019-06
OS 가격을 생각 안했네요.
근데 저는 OS랑은 별개로

인텔 vs ARM 쪽으로 봤어요

ARM 성능이 발열에 비하면 높아서요
isaiah 2019-06
경쟁자인 x86도 동시대의 기술과 자본이 듬북 들어고 있고
 결국 기함급 arm cpu들이 일방적으로 우세한 구도는 나오기 힘들태니

 성능에 비해서 가격이 비싼 상황은 계속 유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사람들이 성능이 집착하지 않게 되거나 돈에 무감각해지거나 둘중 하나는 가능할지도 모르죠..
     
DDDIE 2019-06
제생각에는
일반 사용자라면 그래픽 작업이나 3D 게임 안하면 고성능 CPU는 낭비같아요

물론 서버쪽 시장이나 워크스테이션 / 게이머 시장은 다르겠지만요
          
isaiah 2019-06
낭비가 맞는데... 그 '일반 사용자' 컴퓨팅 파워가 노는걸 아까워 하는게 아니라..
 컴퓨팅 파워를 구매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돈을 기준으로 생각을 하죠.

 낭비 없이 빠듯한 arm 기기를 사서 배터리 12시간을 누린다고 흡족한 부류의 사람들이 아닌게 문재입니다..
 반값에 비슷한 성능의 x86 기기가 손에 들어온다는게 문재죠

 반대로 게이머 웍스유저들은 가성비가 심각해도 10시간 가고 소리조차 안들린다면 가성비가 시궁창이라도 사는 사람이 있겠지만..
 그사람들이 요구하는 성능 하한선을 만족 못하고요...
엠브리오 2019-06
윈도10이 설치된 저가형 x86 타블렛이 한때 중국에서 유행했더랬는데,
그 이유가 윈도우10  라이센스를 그냥 뿌렸기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그 라이센스는 해당 기기에만 유효한거였죠.

윈도우10 라이센스 비용을 얼마나 내릴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ARM으로 만든 타블렛에 윈도우가 탑재되려면 전체 가격대비 라이센스 비용이 높아서 힘들겁니다.
     
DDDIE 2019-06
그렇군요
김제연 2019-06
전 arm 이 서버쪽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보이네요 .. 지금도 그렇지만..
라우터 서버 nas쪽 서버쪽은 속도는 느리지만.. 멀티코어로 미는것 같던데
ARM인텔보다 코어 수 올리기 쉬운 구조인가요?
     
DDDIE 2019-06
ARM 옥타코어도 나오는 걸 보면 발열 대비 코어수도 괜찮은 것 같아요
Dosh 2019-06
솔직히 그렇게 유행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UWP로 포팅된 프로그램이 다수가 되면 모르겠습니다만..

애초에 Intel 에서만 잘 작동하는 프로그램의 수가 ARM에서 작동하는 것보다 수도없이 많고 많이 쓰여 왔는데 굳이 ARM을 쓸 이유가 보이지를 않습니다.
그냥 사물 인터넷이나 모바일용으로 느껴지고 좀 더 고급 작업에 쓰기에는 앱의 수가 너무 적은게 단점이라고 하면 단점이 되겠습니다.
     
DDDIE 2019-06
윈도우10 ARM도 윈도우10 앱스토어에서 구매한 것만 작동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런 부분은 ARM측에서 지원을 하지 않으면 좀 어렵긴 하겠지요
맨홀홍 2019-06
가격이 관건이 될 듯 한데 퀄컴 칩을 사용한 제품중에서 플래그쉽 제품이
그리 착한 가격이 아닌 것을 보아서는.... 일반용이 아닌 기업용으로
주로 나올 것 같습니다.
extra 2019-06
개발직 직종 혹은 취미인 분들은 가격만 싸면 장난감 삼아 구매할 것 같아 보이지만 일반 사용자는 안살것 같습니다.

이유 1. 비슷한 가격대의 기존 32비트 64비트 노트북, 넷북 등이 존재
이유 2. 국내의 경우 한글, 해외를 포함했을 경우엔 MS 오피스를 포함한 호환성

결국 크롬OS도 실험적으로 하고 있지만 결국 아무리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을 하더라도 기존 일반 사용자들한텐 큰 메리트는 못느끼죠.
솔직히 산분들 애초에 IT 제품에 관심 있어서 산거지 일반인들이 산건가요...사더라도 오히려 일반인들은 후회하죠(제한된 기능을 모르고 기존 프로그램들이 호환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구매했으니...)


QnA
제목Page 1328/5730
2015-12   1790356   백메가
2014-05   5265368   정은준1
2012-05   5878   서정욱
2019-01   7223   여주농민76
2023-02   3921   midmid
2009-03   7109   오성기
2016-09   4441   눈팅돌이
2023-02   2700   Sikieiki
2014-05   10060   풀로드시스템
2012-07   12964   미수맨
2012-07   6093   굴다리교
2016-10   4386   2CPU최주희
2019-01   3471   행복하세
2020-03   2588   김승권
2012-07   5194   MikroTik이진
2019-01   3707   전산직딩
2021-07   4297   빌더짱
2017-10   3740   송주환
2020-03   2891   Uknow
2023-03   3827   짱님
2015-10   13591   정은준1
2024-12   574   star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