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ime ddns 원격 관리 보안?

뽀칠이   
   조회 5347   추천 0    

 보편적이고 해서 

iptime ddns른 이용합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있어서요.

저는 원격으로  공유기 들어가서 공유기 재부팅이나 잘못된 접근 pc가 있는지  정도 확인 하고,

녹화기나 nas 를 포트포워딩 해서 접속을 하고 있습니다.


질문 드리자면요.

1.공유기 로그인 암호는  안전할깔요.?

공유기 관리자 id,pw(10자리-영어숫자특수)

문자열 입력- 사용안함

2.email를 통한 로그 통보 방법은 없을까요.?

몇개 블로그 통해 gmail  사용하면 된다는데 잘못한건지 잘 안되서요.



보안에 안전할지.  사용하면서 항상 걱정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철현 2019-07
IPTIME 공융기를 외부에서 관리할때 보안관련 우려인것 같습니다.
우선 외부로 웹관련 포트가 열려있다는것 자체가 안열려 있을때보다 보안위험은 증가합니다.
관련해서 최대한 안전하게 하는 방법은

1. 원격관리 포트 변경 : 기본포트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포트(예: 8465 등)로 변경 ( 80, 8080, 9000, 5000  등 유추하기 쉬운 포트 사용금지 )
  - 이것도 맘먹고 포트스캐닝하면 나오긴 입니다.
2, ID/암호 강화 ( 기본 ADMIN 말고 별도 ID와 특수문자등이 포함된 암호)

위와 같이 하더라도 공유기자체의 보안위약점이 있으면 뚤리긴합니다.
그래서 보안취약점이 보강된 최근 펌웨어 확인 및 업데이트

이정도면 개인인 경우 웬만하면 괜찮습니다.


E-Mail을 통한 로그 통보는 저는 해보지 않아서
보통은 해당 e-mail 아이디 암호를 넣으면 되것지요..
팔코 2019-07
통신사가 다른 모든 iptime 공유기에 VPN 접속 시도가 있어 ddns 뚫린거 같아
관리자 로그인할때 문자열 입력적용 시키고 VPN 끄고 필요할때만 켜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선호 2019-07
포트가 열려있다는 것은 침입 통로가 열려 있는것과 같으니 여느 보안 프로그램, UTM, 방화벽을 사용하든 완벽한것은 없습니다.
다만 개인 공유기까지 사력을 다해 접근해야 할 이유가 없으니 보안문자 입력하는 정도에서 사용하셔도 크게 무리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QnA
제목Page 2891/5708
2015-12   1677973   백메가
2014-05   5143831   정은준1
2013-09   5201   악땅
2008-09   5201   송화식
2015-01   5201   천외천oo노…
2011-12   5201   무슨생각
2006-08   5201   한동훈
2017-11   5201   김건우
2007-05   5201   최승현
2006-10   5201   김철기
2006-06   5201   배동관
2007-05   5201   서용환
2007-02   5201   김용수_
2005-12   5201   임현규
2012-07   5201   싱어송라이터
2017-05   5200   VSPress
2007-02   5200   한동훈
2017-04   5200   우야노
2008-07   5200   김현우
2008-09   5200   윤호용
2007-09   5200   박종익
2006-06   5200   손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