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개조해서 sata 커넥터 늘려도 될까요?

순정품   
   조회 4043   추천 0    

자작 나스 사용중입니다. 

현재 파워에는 sata 커넥터가 4개밖에 없는데 하드가 계속 늘어납니다.

사용도 안하는 ide 전원을 잘라버리고 거기에 안쓰는 파워에서 sata 커넥터 잘라서 연결해서 쓰면 문제가 있을려나요?

데이터도 아닌 단순 전원선이라 별 문제없지 싶긴한데 잘 몰라서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란 2019-07
크게 상관없슴다.

12V, 5V, GND 구분 잘 하시고, 접촉저항 최소화 + 절연 잘~ 하심되요.
     
순정품 2019-07
답변 감사합니다.. 똥손이지만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서광희 2019-07
잘라내는 것보다 ide to sata 커넥터를 이용하시는건 어떨까요?
     
순정품 2019-07
물방울 커넥터 유명하더라구요.. 불난다고.. ㅠㅠ
ide to sata 케이블이 더 나을거 같습니다.
ide를 sata로 여러개 지원하는 케이블도 있습니다.
     
박문형 2019-07
가끔 접촉불량으로 불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션한맥주 2019-07
케이블 제작하고 하드 연결 하시기 전에 전압 체크 꼭 해보세요.
     
순정품 2019-07
넵..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9-07
한라인에서 커넥터만 주렁주렁 다시는 것은 보통 3개 이상 달면 끝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나서 하드에 안좋습니다..

파워 본체에서 한라인에 한커넥터씩 여러개 만들어 붙이는게 가장 이상적일수 있지만 그렇게 붙이는게 쉽지 않습니다..
     
순정품 2019-07
전압강하 문제는 생각도 못했네요.. ㅠㅠ 조언 감사드립니다.
봉래 2019-07
원칙상 과연결만 하지 않으면 상관없긴한데 실제론 케이블이 불량이거나 접촉이 잘 안된다던가 한 라인에서 뽑아내다보니 끝쪽 하드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난다던가 하는 문제가 있어서 다소 돈이 들더라도 처음부터 여러 sata커넥터를 지원하는 파워를 추천합니다.

케이블 불량으로 전선이나 커넥터에 과열이 발생해 녹아버리는 일이 생각보다 자주 발생합니다. 그나마 케이블만 손상되면 나은데, 하드디스크를 같이 고장내는 일이 생기기도 하므로 데이터가 중요하다면 그만큼의 투자는 해야합니다..
이천풍 2019-07
케이블이 18 awg 보다 더 두꺼운지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6awg는 더 두껍고, 20awg는 더 얇습니다.
최근 20 awg 또는 심지어 22 awg 정도로 얇은 전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sata 전원 포트가 1~2개인 경우에는 얇은 전선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순정품 2019-07
헉.. 이런 복병도 있군요... ㅠㅠ 뭔가 어렵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안형곤 2019-07
커넥터 접불 생각보다 많습니다.

가급적 커넥터를 줄이고 직접 납땜하는게 낫습니다.
     
순정품 2019-07
납땜은 어떻게 해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온프로 2019-07
잘 설계된 파워라면..

SATA 전원 라인 1개는 45W 정도로 설계됩니다..

그리하여.. SATA Y케이블로 분기 시킨다면...
SAS 드라이브는 12~15W 정도 계산해 주세요..
그러므로  1개의 SATA 전원라인에는 하드드라이브의 부하가 3~4개 정도만 걸리도록 설계하세요..
     
순정품 2019-07
뭔가 어렵네요.. 윗분들 글보니 그냥 제대로된 파워구입이 필요한거 아닐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술이 2019-07
IDE to SATA 4채널 파워 몇년동안 문제없이 잘 구동됩니다.
반대로 SATA to 2채널 파워 및4채널로 하면 문제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하드 확장을 위해서 파워 멀티 젠더를 사용해야 한다면 4pin 에서 SATA 파워로 확장하는걸 사용하는게 안정적인거 같습니다.
너무 잘돌아가서 여분 확장젠더 많이 구입해뒀습니다.
     
순정품 2019-07
오.. 제품 이름 좀 알려주세요^^


QnA
제목Page 1292/5728
2015-12   1781984   백메가
2014-05   5257134   정은준1
2018-07   4136   복부비만
2013-11   8886   리영민
2013-11   9291   Bearth
2020-12   3985   께보
2018-08   3485   페르세우스
2016-05   5247   이윤주
2024-03   3119   무명인12
2011-06   6856   이동진
2011-06   10397   GoodWolf
2013-12   28277   매니아1
2011-06   7039   남바완
2019-10   3542   QS왕통키손…
2011-07   5698   darksion
2019-10   2580   박문형
2021-01   3687   Noman
2016-06   5414   푸하히
2013-12   4121   스카이
2016-06   5801   PLANX
2021-01   2947   의롭게살리라
2014-01   4475   이원재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