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193 |
0 |
2014-05
514319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384 |
25 |
2015-12
1677384
1 백메가
|
85836 |
Dell notebook용 win10 image파일 구하고싶습니다 (1) |
NiteFlite9 |
2016-08 |
3781 |
0 |
2016-08
3781
1 NiteFlite9
|
85835 |
흠 혹시 제온 바이오스 업데이트시 문제 (2) |
밤맛 |
2016-01 |
3781 |
0 |
2016-01
3781
1 밤맛
|
85834 |
드라이버 지원 끊긴 usb기기 (4) |
김효수 |
2015-07 |
3781 |
0 |
2015-07
3781
1 김효수
|
85833 |
가상화(KVM) 질문 |
이미지하우스 |
2016-09 |
3781 |
0 |
2016-09
3781
1 이미지하우스
|
85832 |
Imb-140d용 아답터 만드는중입니다. 질문드립니다. |
다온 |
2015-08 |
3781 |
0 |
2015-08
3781
1 다온
|
85831 |
CISCO AP 무선 설정 문의 (4) |
켄틀리12 |
2019-11 |
3781 |
0 |
2019-11
3781
1 켄틀리12
|
85830 |
마이크로서버 gen8 디스크 가이드 후면 모양새 좀 알려 주세요 (3) |
죠슈아 |
2015-09 |
3781 |
0 |
2015-09
3781
1 죠슈아
|
85829 |
모니터 미친듯이 깜빡이는 증상 (11) |
AMD빌런 |
2020-12 |
3781 |
0 |
2020-12
3781
1 AMD빌런
|
85828 |
UG NX, DELL VS 9700K 문의 (5) |
헌터D |
2019-01 |
3781 |
0 |
2019-01
3781
1 헌터D
|
85827 |
포토 프린터 선택문의 (5) |
박남규 |
2018-07 |
3781 |
0 |
2018-07
3781
1 박남규
|
85826 |
rest api를 aix cli로 실행할수 있을까요? (2) |
다함께싸다구 |
2018-03 |
3781 |
0 |
2018-03
3781
1 다함께싸다구
|
85825 |
시스코 컨트롤러형 AP 를 단독형으로 만들고 싶은데요.. .펌웨어를 찾을수 없어서 도… (8) |
청주이상철 |
2019-10 |
3781 |
0 |
2019-10
3781
1 청주이상철
|
85824 |
[ Intel E5-2400의 포지셔닝 및 2600대비 차이점 ] (5) |
전설속의미… |
2015-07 |
3781 |
0 |
2015-07
3781
1 전설속의미…
|
85823 |
4790k vs 2620 2ea (3) |
7h3AK47 |
2014-08 |
3781 |
0 |
2014-08
3781
1 7h3AK47
|
85822 |
로또 645 (7) |
무기명 |
2017-06 |
3781 |
1 |
2017-06
3781
1 무기명
|
85821 |
ESXI 6.5 설치방법 질문 드립니다 (3) |
전진 |
2020-10 |
3781 |
0 |
2020-10
3781
1 전진
|
85820 |
XPENOLOGY 사용시 궁금증 + 업데이트가 안됩니다. (4) |
나비z |
2014-04 |
3781 |
0 |
2014-04
3781
1 나비z
|
85819 |
[문의]onecloud 관련 한글메뉴얼 이나 서적? (2) |
퍼싱글 |
2016-11 |
3782 |
0 |
2016-11
3782
1 퍼싱글
|
85818 |
Z420 에 8코어 이상 장착되나요? (2) |
osthek83 |
2018-07 |
3782 |
0 |
2018-07
3782
1 osthek83
|
85817 |
S.M.A.R.T 카운터 리셋 (2) |
H4CHI |
2017-01 |
3782 |
0 |
2017-01
3782
1 H4CHI
|
그리고 잘 안되는 2대의 랜선 길이는 ??
서버룸에서 지상 1층까지를 사측에서 했습니다
50m를 넘지 않습니다
관련.경험으로는.케이블 문제일 수도 있고..
케이블 품질.. 너무 길거나.. 등등
아니면 네트워크.장비간 half full duplex 설정이.서로 안맞는 경우..(특히 구형 장비와..)
아니면 고정ip가 할당된경우. 어떤 장비에 ip가 이중으로 할당된경우. ip충돌을 해서..패킷로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뺏다가 다시 꼿으면 정상으로 되다고 하니
장비간 속도설정이.안맞아서 서로 링크가 불안정해지는 상황일 수도 있구요.
장비간 auto negotiation하시지 말고.. 수동으로 falf duple.. 100m 정도로 셋팅해보세요..
10대? 를 네트워크로 묶어서 1대로 모니터링 하는것인데 plcrun하고 3시간 정도굴리면 1놈이죽는......(네트웍이)
수동으로 속도 잡아주니 안죽고 잘 굴러가덥니다.....호허허
* TCP Connect - Send/Receive - TCP Close
을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는듯 합니다.
Close가 불완전하거나 Close안하고 새로 Connect 할경우,
소켓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소켓이 타임아웃으로 Close되어 사라질때까지, 사용가능한 소켓수를 점점 잡아먹다가.. 나중에는 통신못하게됩니다.
이경우 잠시동안 통신멈추었다가 하면 정상으로 되거나,
랜케이블 빼버리고 연결하면 당연히 다 정상 Close로(PLC쪽에서) 처리 되기 때문에 정상으로 돌아갑니다.
이 경우는 통신데이타량이 정말 작아도 생깁니다
그럴 가능성이 적어 보입니다. (다른곳에서 납품한것이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연이랑진님이 쓰신내용이 오히려 가능성이 큽니다. ( 서버 측에서 TCP/UDP 커넥션 상태만 보셔도 얼추 알수 있습니다.)
타업체부분과 구분하셔서 납품하신 장비가 아님을 증명하실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다른회사 제품 디버깅 해줄........)
2. 네트웍에 문제가 있다면 별도의 syslog 서버에 기록을 남기는게 좋은데
log 에 남는 에러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인터페이스 카운터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시간별 변화)
네트웍 진단을 ping 으로 확인하기에는 문제가 많으니 다른 방법을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지하1층 허브도 매니지먼트가 되는 허브로 임시로 바꿔놓고 모니터링 하시면 좋습니다.
간이로 특정 구간별로 노트북을 놓고 노트북과 서버간에 일정량의 네트웍 전송을 계속하도록 해서
PLC 장애때 노트북이 정상인지 확인해서 증명하셔도...........
3. PLC 노이즈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모터 종류가 많을 경우 노이즈 엄청납니다.
현장에서 계측해야 하는데 업체에서 해줄지 모르겠네요.......위 상황만으로도 발뺌하는거 같은데
보통 이런 통신문제는 업체끼리 핑퐁치고 해결이 잘 안됩니다.
문제 PLC 패킷 덤프 해서 보면 원인 찾기가 쉬울텐데요
주위에 네트웍 엔지니어분께 좀 봐달라고 하세요
커넥터 접점상태 확인, 이중화/속도 바인딩 수동지정밖에 없을거 같네요
그러나 이건 접지가 확실해야 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