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웍 관련 고수님들의 자문을 구합니다.

   조회 3969   추천 0    

 안녕하세요 다파라치아 입니다.

너무너무 머리가 아픈 일이 생겨서 2cup 고수님들의 자문을 구해봅니다.


간략하게 설명을드리면 

현장은 물류센터입니다. 서버및 pc를 저희쪽에서 납품을 했고 네트웍 공사 까지 하였습니다.

대략 적인 수량은 서버는 2대 / pc는 20대/ 모니터링용 pad 30대 / 무선 ap 2대 입니다.

그외 plc가 약 50개 정도 설치 되어 있습니다.

네트웍 구성은 

로컬망은 서버-1층허브(시스코)-지하1층 허브 - PLC 이런 형태이고 (서버는 사측과 로컬 같이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PC들은 무선으로 사측 망에 연결이 됩니다.

문제점은 

특정 PLC(2대)로 나가는 PING이 랜덤하게 튀기 시작을하면서 응답속도가 느려지면 제어프로그램이 작동을 멈춰 버리는 증상입니다.

특이한 내용은 핑이 튀기 시작하면 1층 허브와 지하 1층 연결된 랜선을 뺏다 꽂으면 핑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프로그램 업체는 약 25개의  PLC로 통신하는 프로그램인 같은 프로그램인데 왜 2대만 그런가 ? PLC 문제 아닌가 하는 입장이고

서버는 리소스가 10%를 넘지 않습니다. 부하가 걸려서 통신이 딜레이 걸리는거 같지도 않습니다.

PLC 업체는 특정 IP에서 데이터가 많이 들어 온다(서버쪽)라고 하는데 이또한 명확 하지가 않습니다.(프로그램 업체 논리에 따르면)

허브는 HP 1420 시리즈에서 시스코 2960X 로바꿨는데 로그에 별다른 내용이 보이지 않습니다.


아 벌써 일주일 넘게  씨름중인데  이달까지 완료가 되어야 하는건이라  골치가 아픕니다. ㅜㅜ


네트웍 관련 고수님들의 자문을 구해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7
랜선은 어디꺼 쓰셨나요??

그리고 잘 안되는 2대의 랜선 길이는 ??
     
다파라치아 2019-07
LS Cat6인데 내일 직접 끌어보려고 합니다
서버룸에서 지상 1층까지를 사측에서 했습니다
50m를 넘지 않습니다
안철현 2019-07
특정 장치에 대해서 ping이 튄다는게 패킷로스가 발생하거나 링크가 붙었다 떨어졌다ㅑ 하는 증상일것 같네요.

관련.경험으로는.케이블 문제일 수도 있고..
케이블 품질.. 너무 길거나.. 등등

아니면 네트워크.장비간 half full duplex 설정이.서로 안맞는 경우..(특히 구형 장비와..)
아니면 고정ip가 할당된경우. 어떤 장비에 ip가 이중으로 할당된경우. ip충돌을 해서..패킷로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뺏다가 다시 꼿으면 정상으로 되다고 하니
장비간 속도설정이.안맞아서 서로 링크가 불안정해지는 상황일 수도 있구요.

장비간 auto negotiation하시지 말고.. 수동으로 falf duple.. 100m 정도로 셋팅해보세요..
서완호 2019-07
저도 고등학교때 이것저것 plc네트워크 작품 하다가 그런일이있었습니다.
10대? 를 네트워크로 묶어서 1대로 모니터링 하는것인데 plcrun하고 3시간 정도굴리면 1놈이죽는......(네트웍이)
수동으로 속도 잡아주니 안죽고 잘 굴러가덥니다.....호허허
연이랑진 2019-07
서버에서 PLC로
* TCP Connect - Send/Receive - TCP Close
을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는듯 합니다.
Close가 불완전하거나 Close안하고 새로 Connect 할경우,
소켓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소켓이 타임아웃으로 Close되어 사라질때까지, 사용가능한 소켓수를 점점 잡아먹다가.. 나중에는 통신못하게됩니다.

이경우 잠시동안 통신멈추었다가 하면 정상으로 되거나,
랜케이블 빼버리고 연결하면 당연히 다 정상 Close로(PLC쪽에서) 처리 되기 때문에 정상으로 돌아갑니다.
이 경우는 통신데이타량이 정말 작아도 생깁니다
박주연 2019-07
1. 케이블이나 네트웍장비, 서버 문제일수도 있지만
그럴 가능성이 적어 보입니다. (다른곳에서 납품한것이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연이랑진님이 쓰신내용이 오히려 가능성이 큽니다. ( 서버 측에서 TCP/UDP 커넥션 상태만 보셔도 얼추 알수 있습니다.)
타업체부분과 구분하셔서 납품하신 장비가 아님을 증명하실 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다른회사 제품 디버깅 해줄........)

2. 네트웍에 문제가 있다면 별도의 syslog 서버에 기록을 남기는게 좋은데
log 에 남는 에러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인터페이스 카운터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시간별 변화)
네트웍 진단을 ping 으로 확인하기에는 문제가 많으니 다른 방법을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지하1층 허브도 매니지먼트가 되는 허브로 임시로 바꿔놓고 모니터링 하시면 좋습니다.
간이로 특정 구간별로 노트북을 놓고 노트북과 서버간에 일정량의 네트웍 전송을 계속하도록 해서
PLC 장애때 노트북이 정상인지 확인해서 증명하셔도...........

3. PLC 노이즈 많이 발생합니다.
특히 모터 종류가 많을 경우 노이즈 엄청납니다.
현장에서 계측해야 하는데 업체에서 해줄지 모르겠네요.......위 상황만으로도 발뺌하는거 같은데
이경규 2019-07
일주일동안 이것저것 다해봤을텐데.. 해결 안 된 내용으로 봐서는 물리적인 문제는 아닌듯.
보통 이런 통신문제는 업체끼리 핑퐁치고 해결이 잘 안됩니다.
문제 PLC 패킷 덤프 해서 보면 원인 찾기가 쉬울텐데요 
주위에 네트웍 엔지니어분께 좀 봐달라고 하세요
임상현lsh 2019-07
당장 간단하게 할수 있는 부분은
커넥터 접점상태 확인, 이중화/속도 바인딩 수동지정밖에 없을거 같네요
박문형 2019-07
전자파 잡음 문제라면 STP케이블이 필요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이건 접지가 확실해야 통합니다..


QnA
제목Page 1417/5708
2014-05   5143133   정은준1
2015-12   1677316   백메가
2018-08   3780   오성기
2016-09   3780   박문형
2018-10   3780   전진
2017-05   3780   민사장
2020-03   3780   풀로드시스템
2023-03   3781   tidd
2018-09   3781   쿨쿨쿨
2016-08   3781   NiteFlite9
2016-01   3781   밤맛
2015-07   3781   김효수
2016-09   3781   이미지하우스
2015-08   3781   다온
2017-12   3781   늘파란
2019-11   3781   켄틀리12
2015-09   3781   죠슈아
2019-01   3781   헌터D
2014-02   3781   세가새턴
2018-03   3781   다함께싸다구
2019-04   3781   무아
2016-02   3781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