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31416 |
0 |
2014-05
513141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6194 |
25 |
2015-12
1666194
1 백메가
|
64549 |
html 질문 (4) |
컴박 |
2016-11 |
4808 |
0 |
2016-11
4808
1 컴박
|
64548 |
미크로틱 무선 신호 확장하기 (7) |
킵고잉 |
2016-10 |
4808 |
0 |
2016-10
4808
1 킵고잉
|
64547 |
메롬 시피유 쿨링 (1) |
서수봉 |
2007-09 |
4808 |
21 |
2007-09
4808
1 서수봉
|
64546 |
[H8DCI/마이크론 ECC 2GB] 한숨이 나오네요. 도움 주실 분 좀 찾습니다. (4) |
서용환 |
2007-04 |
4808 |
5 |
2007-04
4808
1 서용환
|
64545 |
가정용 cctv 사용하고 계신분 제품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2) |
캡틴아메리카노 |
2016-02 |
4808 |
0 |
2016-02
4808
1 캡틴아메리카노
|
64544 |
xp원본씨디에 오피스2003 넣기. (4) |
이상돈 |
2007-04 |
4808 |
22 |
2007-04
4808
1 이상돈
|
64543 |
블루레이 타이틀 재생해보기.. (9) |
이진수 |
2008-11 |
4808 |
5 |
2008-11
4808
1 이진수
|
64542 |
노코나 소음관련 질문드립니다. (3) |
정성훈 |
2007-03 |
4809 |
13 |
2007-03
4809
1 정성훈
|
64541 |
프로모션으로 받은 USB (9) |
나파이강승훈 |
2014-02 |
4809 |
0 |
2014-02
4809
1 나파이강승훈
|
64540 |
블로그 말고 간단하게 메모 남길 만한 사이트 잇나요? (5) |
가빠로구나 |
2013-02 |
4809 |
0 |
2013-02
4809
1 가빠로구나
|
64539 |
대용량 쿼리 파일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3) |
김상일 |
2008-08 |
4809 |
18 |
2008-08
4809
1 김상일
|
64538 |
인텔라인업보다가 했갈리는게 있는대요. (3) |
방o효o문 |
2013-04 |
4809 |
0 |
2013-04
4809
1 방o효o문
|
64537 |
aircomix 헤놀로지 6.1에서 에러발생 해결방법 문의드립니다 (3) |
이중허리 |
2018-04 |
4809 |
0 |
2018-04
4809
1 이중허리
|
64536 |
토요일 광인터넷 a/s 후 의문점.... (8) |
이종원 |
2007-11 |
4809 |
8 |
2007-11
4809
1 이종원
|
64535 |
[미크로틱]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IP를 특정 IP로 바꾸는... (2) |
김장우 |
2016-04 |
4809 |
0 |
2016-04
4809
1 김장우
|
64534 |
안녕하세요 G31M-ES2L 2.0 E5450사용에 대해서 초보가 질문드려요... (4) |
쥐삼일 |
2015-10 |
4809 |
0 |
2015-10
4809
1 쥐삼일
|
64533 |
그래픽카드 포트 문제 (1) |
niet38h |
2015-12 |
4809 |
0 |
2015-12
4809
1 niet38h
|
64532 |
자동 과일 깍기... 사용하시는 회원님 계신지요. (5) |
으라차차차 |
2018-04 |
4809 |
0 |
2018-04
4809
1 으라차차차
|
64531 |
서버보드 말고 64비트 PCI 지원하는 보드 있나요? (6) |
유제연 |
2007-07 |
4809 |
19 |
2007-07
4809
1 유제연
|
64530 |
Acer M28A 보드 쓰고 있는데 CPU업글하려고 하는데 질문요 (3) |
전대석 |
2007-03 |
4810 |
8 |
2007-03
4810
1 전대석
|
단 무거운 서버나 UPS는 아래에
보통 최대 5U 120KG 정도의 서버는 랙 꼭대기로 올려서 설치가 가능하나 그보다 커지면 인간의 힘으로는 많이 무리입니다..
(이것도 어찌 보면 미친 짓, 떨구면 사람 작살 납니다..)
그리고 랙마운트 서버들 사이에는 조금 틈이 있어서 바람이 흘러 댕기는게 방열에는 더 좋습니다..
약 20여년전 이슬림코리아 초창기에 콴타 펜티엄 3 소켓 듀얼 서버가 그런 디자인이였습니다..
앞으로는 꽉차게 조립 되어도 랙레일 사용하면 서버 자체가 슬림해서 서버와 서버 사이에 공긴이 좀 있있고 이것이 방열에 유리했습니다..
IDC에서는 랙 1개당 흘릴수 있는 전류가 15A던가로 한정되기에 42U 랙에 1U 서버 꽉 채우는 것은 많이 무리가 따릅니다..
저도 배나와서... 쭈구려앉기 싫어서 위에서 부터 달았는데 어제 말씀하신대로 하드 온도 때문에라도 바닥에 가깝게 설치하면
선풍이 안해주어도 온도가 좀더 내려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하프렉이라면 맨 위쪽에 KVM과 통신장비들을 마운트 하고, 중간쯤에 서버를 마운트합니다. 맨 밑에는 UPS를 놓죠.
그리고, 보통 하프렉 사용하시는 곳은 장소가 지저분한 곳이 많아(IDC에 비해서..) 바닥쪽에는 장비를 놓지 않습니다.
이게 바닥에서 멀어질수록 먼지가 확실히 적더라구요...
먼지 자주 불어주지도 못하는 애인데 말이죠..
다음에 기회봐서 1U / 1U / 2U / 2U 총 4개가 있는데 위로 다닥다닥 붙여놔야겠습니다.
랙레일이나 랙선반을 우선 서버에 맞게 랙에 조립을하고 아래서부터 서버를 꽂아 놓는게 맞다고 봅니다..
무거운 서버나 UPS는 100-200KG 정도 되기에 혼자서 못듭니다..
그 외 서버실은 항상 시원하게 하고 바람이 계속 흘러 주는게 좋습니다..
IDC 한번 들어가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그냥 스트레칭 해주고 고양이 자세 맨날맨날 10분씩 해주고 해서 요즘에는 별다른 병원 물리치료 없이 버티고 있습니다.
(딱히 시술이나 수술한건 없습니다. 한번 근육주사라고 맞았는데 별 효과는 없더라구요)
디스크 걸리고 나서 몇년간은 백수모드로 수영좀 배우고 다녔고
어느정도 다리 저림이 사라졌을때는 자전거 타고 맨날 스트레칭해주니 요즘에는 애들 목마 태우고 다니지 않는 이상에는 무리 없는것 같습니다.
아무튼 선풍기 하나 해놨다고 어제 50도 찍던게 15도나 내려갔습니다.
Current Drive Temperature: 35 C
Drive Trip Temperature: 60 C
Hard disk sentinel 프로그램에서는 하드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한데 43도 정도만 되어도 노란색으로 경고 표시가 됩니다..
참 선풍기도 몇일 돌리면 본체에서 열나서 불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위에 있는 애가 1도 올라갔네요. 오차범위내 온도변화일수도 있지만 다음에는 1U 공간비우지 말고 다닥다닥 붙여서도 온도 변화 체크해봐야겠습니다.
간혹 방열을 위하여 1U씩 띄우기도 하는데 사실상 큰 의미는 없습니다.
만져보시면 알겠지만 제대로 만들어진 렉마운트 서버의 상하판으로는 거의 열이 발산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역으로 말하면 제대로 만들지 못한 장비도 있다는...)
정말 중요한 것은 바람의 흐름입니다.
서버렉은 전/후면의 패널이 타공(매쉬)되어 있을 것을 추천드리며, 전/후면이 완전히 막혀있는 도어(유리나 철판)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렉의 전면 하단에서 바람이 들어와 장비를 통과한 다음 위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보통 상부에 팬이 있음) 구성을 해 주어야 합니다.
간혹 유리판 도어에 뒷문까지 닫은 상태에서 장비를 꽉꽉 채우는 것도 모자라서 상부팬도 안트는 케이스를 간혹 보는데, 완전히 미친 짓입니다.
아울러 장비가 없는 빈 공간은 블랭크패널로 반드시 마감하여, 장비 후면에서 배출된 더운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장비 전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중요한건 무게중심과 공기의 흐름입니다.!!!!!
나중에 서버 끌일이 있으면 2U 두개를 다닥다닥 붙여 놓아야 겠네요
근데.. 구매할때 같이 구매한거라 케이블 메니지 먼트 암을 달아놨더니 오히려 배기가 잘 안되는것 같기도 하고 고민입니다.
레일을 달아두니 편하고 폼은 나는데 묘하게 쓸모가 없는 느낌이기도 하구요 ^^;
가끔 막내들 시켜 놓으면 깨끗하게 한다고 암에 케이블을 말아놓은 경우가 종종 있어서 뒤통수를 따뜻하게 해 줍니다... ^.^;;
근데 암에다가 둘둘 말아 놓으면.. 암쓰는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신축성 있게 해놔야 레일대로 밀었다 땅겼다 할텐데 말이죠.
뒷통수를 따듯하게 할게 아니라 정수리도 치약 뚜껑으로 좀더 따스하게 해드려야 하지 않을까요? ㅋ
아.. 하프랙인데 상단 배기 팬이 고장나서 하나는 못 돌고 하나는 소음 엄청나게 나서(고장나기 직전 볼베어링 꺠진소리) 팬은 꺼놓고 살고 있습니다.
앞뒤 문이 없는 모델인지 인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옆문만 있고 앞뒤는 뚫어 놓고 살고 있습니다.
보조였지 정이 아니라 확실힌 기기는 기억이 안나네요..
언젠간.. 장터에서 파는 R510과 MD1500인가? 이렇게 셋트로 사서 구성해보고 싶네요
랙의 안정성을 위해서 아래서 부터 장착하고 싶습니다..
먼지가... 으아아아아아
이걸 막지 않으니 서버 뒷면으로 나오는 뜨거운 열기가 랙 뒷문의 타공으로 다 빠져나가지 못하고 앞으로 나오더라고요.. 서버 온도를 확인 해 봐도 블랭크 패널이 없는 경우가 온도가 높았습니다.
그리고, 조금 다른 얘기지만, 1U서버의 경우 서버 뒷면에 연결된 케이블이 많은 경우 뜨거운 열기가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듯 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서버를 한칸씩 띄우고 앞에는 블랭크 패널로 막는게 좋아보입니다.
다른 요인(앞부분에 하드 두개 덜 넣어서인가) 때문인지 다른 요소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본업때문에 일단은 쓸일이 없는 서버라 꺼놓고 다중에 테스트 해보려고 합니다
아직 풀랙까진 아닌지라 공간에 여유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