랙에 서버 장착 순서가 혹시 있나요?

   조회 4863   추천 0    

하프 사이즈 랙을 쓰고 있는데

혹시 랙 제조사나 서버 벤더에서 권장하는 서버 장착 순서가 존재하나요?


예를 들어서 위에서 부터 아래로 한다라던가

한칸씩 띄우고 설치한다거나


혹은 반대로 아래서 위로 설치하고 서버간의 공백 없이 빼곡한게 좋다라던가


이런 가이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딸 넷 아들 하나 아빠 (큰 딸, 작은 딸, 왕큰 딸, 암 뭉뭉이, 수 뭉뭉이) - minimonk.ne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9-08
조립을 위에서 아래냐 아래서부터 위냐 라는 순서는 없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단 무거운 서버나 UPS는 아래에

보통 최대 5U 120KG 정도의 서버는 랙 꼭대기로 올려서 설치가 가능하나 그보다 커지면 인간의 힘으로는 많이 무리입니다..

(이것도 어찌 보면 미친 짓, 떨구면 사람 작살 납니다..)

그리고 랙마운트 서버들 사이에는 조금 틈이 있어서 바람이 흘러 댕기는게 방열에는 더 좋습니다..

약 20여년전 이슬림코리아 초창기에 콴타 펜티엄 3 소켓 듀얼 서버가 그런 디자인이였습니다..

앞으로는 꽉차게 조립 되어도 랙레일 사용하면 서버 자체가 슬림해서 서버와 서버 사이에 공긴이 좀 있있고 이것이 방열에 유리했습니다..

IDC에서는 랙 1개당 흘릴수 있는 전류가 15A던가로 한정되기에 42U 랙에 1U 서버 꽉 채우는 것은 많이 무리가 따릅니다..
     
구차니 2019-08
랙을 가득 채우는 상황이 아니라면 그럼 위에서 부터설치하시는 편이신가요?
저도 배나와서... 쭈구려앉기 싫어서 위에서 부터 달았는데 어제 말씀하신대로 하드 온도 때문에라도 바닥에 가깝게 설치하면
선풍이 안해주어도 온도가 좀더 내려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ZSNET5 2019-08
하프렉은 전도될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3U이하의 장비라면 위에서부터 마운트해도 별 무리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하프렉이라면 맨 위쪽에 KVM과 통신장비들을 마운트 하고, 중간쯤에 서버를 마운트합니다. 맨 밑에는 UPS를 놓죠.
그리고, 보통 하프렉 사용하시는 곳은 장소가 지저분한 곳이 많아(IDC에 비해서..) 바닥쪽에는 장비를 놓지 않습니다.
이게 바닥에서 멀어질수록 먼지가 확실히 적더라구요...
               
구차니 2019-08
창고 한켠에 둔거라 바닥보다는 적당히 올려두는게 좋겠네요..
먼지 자주 불어주지도 못하는 애인데 말이죠..
다음에 기회봐서 1U / 1U / 2U / 2U 총 4개가 있는데 위로 다닥다닥 붙여놔야겠습니다.
          
박문형 2019-08
저는 허리가 비루해서 (디스크 5년차) 실제 랙 작업은 못합니다만

랙레일이나 랙선반을 우선 서버에 맞게 랙에 조립을하고 아래서부터 서버를 꽂아 놓는게 맞다고 봅니다..

무거운 서버나 UPS는 100-200KG 정도 되기에 혼자서 못듭니다..

그 외 서버실은 항상 시원하게 하고 바람이 계속 흘러 주는게 좋습니다..

IDC 한번 들어가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구차니 2019-08
저도 디스크가 군대 다녀와서 걸리는 바람에 년도로는 한 10년 정도 지났네요.
그냥 스트레칭 해주고 고양이 자세 맨날맨날 10분씩 해주고 해서 요즘에는 별다른 병원 물리치료 없이 버티고 있습니다.
(딱히 시술이나 수술한건 없습니다. 한번 근육주사라고 맞았는데 별 효과는 없더라구요)
디스크 걸리고 나서 몇년간은 백수모드로 수영좀 배우고 다녔고
어느정도 다리 저림이 사라졌을때는 자전거 타고 맨날 스트레칭해주니 요즘에는 애들 목마 태우고 다니지 않는 이상에는 무리 없는것 같습니다.

아무튼 선풍기 하나 해놨다고 어제 50도 찍던게 15도나 내려갔습니다.
Current Drive Temperature:    35 C
Drive Trip Temperature:        60 C
                    
박문형 2019-08
임시방편일수도 있지만 훨씬 낫지요...

Hard disk sentinel 프로그램에서는 하드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한데 43도 정도만 되어도 노란색으로 경고 표시가 됩니다..

참 선풍기도 몇일 돌리면 본체에서 열나서 불나는 경우가 있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구차니 2019-08
심심해서 1U 거리 두고 있는 2U 서버(동일 모델 R730)을 켰더니
위에 있는 애가 1도 올라갔네요. 오차범위내 온도변화일수도 있지만 다음에는 1U 공간비우지 말고 다닥다닥 붙여서도 온도 변화 체크해봐야겠습니다.
ZSNET5 2019-08
서버의 장착순서는 없습니다만, 무거운 물품이 아래로 가야 렉이 넘어지지 않습니다.
간혹 방열을 위하여 1U씩 띄우기도 하는데 사실상 큰 의미는 없습니다.
만져보시면 알겠지만 제대로 만들어진 렉마운트 서버의 상하판으로는 거의 열이 발산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역으로 말하면 제대로 만들지 못한 장비도 있다는...)
정말 중요한 것은 바람의 흐름입니다.
서버렉은 전/후면의 패널이 타공(매쉬)되어 있을 것을 추천드리며, 전/후면이 완전히 막혀있는 도어(유리나 철판)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렉의 전면 하단에서 바람이 들어와 장비를 통과한 다음 위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보통 상부에 팬이 있음) 구성을 해 주어야 합니다.
간혹 유리판 도어에 뒷문까지 닫은 상태에서 장비를 꽉꽉 채우는 것도 모자라서 상부팬도 안트는 케이스를 간혹 보는데, 완전히 미친 짓입니다.
아울러 장비가 없는 빈 공간은 블랭크패널로 반드시 마감하여, 장비 후면에서 배출된 더운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장비 전면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중요한건 무게중심과 공기의 흐름입니다.!!!!!
     
구차니 2019-08
일단 서버가 앞에서 흡기하고 뒤로 배기하는 컨셉이라 1U씩 안띄우는게 오히려 더 낫지 않을까 싶었는데
나중에 서버 끌일이 있으면 2U 두개를 다닥다닥 붙여 놓아야 겠네요

근데.. 구매할때 같이 구매한거라 케이블 메니지 먼트 암을 달아놨더니 오히려 배기가 잘 안되는것 같기도 하고 고민입니다.
레일을 달아두니 편하고 폼은 나는데 묘하게 쓸모가 없는 느낌이기도 하구요 ^^;
          
ZSNET5 2019-08
매니지먼트암에 케이블을 둘둘 말아놓지만 않으면 배기에는 별로 영향이 없습니다.
가끔 막내들 시켜 놓으면 깨끗하게 한다고 암에 케이블을 말아놓은 경우가 종종 있어서 뒤통수를 따뜻하게 해 줍니다... ^.^;;
               
구차니 2019-08
굴러 다니던 매니지먼트암이 있어서 메뉴얼 찾아서 (Dell 12세대/13세대용) 그 안쪽으로 랜선 두개, 파워 2개만 넣어주고 케이블링 직접했습니다.
근데 암에다가 둘둘 말아 놓으면.. 암쓰는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신축성 있게 해놔야 레일대로 밀었다 땅겼다 할텐데 말이죠.
뒷통수를 따듯하게 할게 아니라 정수리도 치약 뚜껑으로 좀더 따스하게 해드려야 하지 않을까요? ㅋ

아.. 하프랙인데 상단 배기 팬이 고장나서 하나는 못 돌고 하나는 소음 엄청나게 나서(고장나기 직전 볼베어링 꺠진소리) 팬은 꺼놓고 살고 있습니다.
앞뒤 문이 없는 모델인지 인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옆문만 있고 앞뒤는 뚫어 놓고 살고 있습니다.
                    
ZSNET5 2019-08
앞뒤 다 뚫려 있으면 상단팬 필요 없습니다.
병철 2019-08
*비밀글입니다
     
구차니 2019-08
DAS도 언젠간 한번 써보고 싶긴하네요.. 군대에서 외부 SCSI DAS가 있었던거 같은데
보조였지 정이 아니라 확실힌 기기는 기억이 안나네요..
언젠간.. 장터에서 파는 R510과 MD1500인가? 이렇게 셋트로 사서 구성해보고 싶네요
제온프로 2019-08
온도 대류와
랙의 안정성을 위해서 아래서 부터 장착하고 싶습니다..
     
구차니 2019-08
공기청정기만 있으면 바닥에서 부터 달고 싶긴합니다 ㅠㅠ
먼지가... 으아아아아아
정의석 2019-08
발열에 민감한 경우, 서버 사이를 띄워놓는 경우에는 반드시 블랭크패널로 막아줘야 합니다.
이걸 막지 않으니 서버 뒷면으로 나오는 뜨거운 열기가 랙 뒷문의 타공으로 다 빠져나가지 못하고 앞으로 나오더라고요.. 서버 온도를 확인 해 봐도 블랭크 패널이 없는 경우가 온도가 높았습니다.
그리고, 조금 다른 얘기지만, 1U서버의 경우 서버 뒷면에 연결된 케이블이 많은 경우 뜨거운 열기가 제대로 빠져나가지 못하는듯 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서버를 한칸씩 띄우고 앞에는 블랭크 패널로 막는게 좋아보입니다.
     
구차니 2019-08
2U 서버지만 매니지먼트 암 때문인지 아래 있는 녀석은 하드 온도가 좀 높게 찍히네요..
다른 요인(앞부분에 하드 두개 덜 넣어서인가) 때문인지 다른 요소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본업때문에 일단은 쓸일이 없는 서버라 꺼놓고 다중에 테스트 해보려고 합니다
이선호 2019-08
저도 보통 중간부터 장착합니다.
아직 풀랙까진 아닌지라 공간에 여유가 있습니다.
     
구차니 2019-08
전 적당히 중간 약간 위에 설치를 했습니다.


QnA
제목Page 2479/5706
2014-05   5131416   정은준1
2015-12   1666194   백메가
2016-11   4808   컴박
2016-10   4808   킵고잉
2007-09   4808   서수봉
2007-04   4808   서용환
2016-02   4808   캡틴아메리카노
2007-04   4808   이상돈
2008-11   4808   이진수
2007-03   4809   정성훈
2014-02   4809   나파이강승훈
2013-02   4809   가빠로구나
2008-08   4809   김상일
2013-04   4809   방o효o문
2018-04   4809   이중허리
2007-11   4809   이종원
2016-04   4809   김장우
2015-10   4809   쥐삼일
2015-12   4809   niet38h
2018-04   4809   으라차차차
2007-07   4809   유제연
2007-03   4810   전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