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센터에 위치한 VM에서 동일한 IP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dragoune   
   조회 3433   추천 0    

이번주에 발생한 라쿠텐 클라우드의 망할 문제로 서버 이전을 가속화하고 있는데
이중화하라는 오더가 내려왔습니다.


그런데 고객중에 UTM을 사용해서 허용IP 이외에는 아에 통신을 막아둔 고객도 있는데
VM이 있는 지역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대응이 되게 하라는데...

제가 아는 범위에서는 public IP 주소를 그대로 가지고 갈 방법이 없습니다.

물론 통신사랑 연계하면 가능하겠지만 그짓하느니 복구를 기다리는게 빠를 것 같고요...


혹시 간단히 가능한 방법이 있을런지요?
예를 들면 Azure를 사용하면 사용하던public IP를 가지고 그대로 다른 리전으로 Live migration 가능하다던가...
(가능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가상 라우터랑 가상 L3 붙여서 넘기고 넘겨서 VPN 등해서 라우팅 변경변경해주면 될 것 같기도 해서...)


이상입니다. 맨날 이상한거 여쭤봐서 죄송합니다. (__)


...주말에 한국 가려고 했는데 3연휴라 그런지 미친듯이 큰 태풍이 와서 그런지 비행기값이 무척 올라서 돌아버리겠습니다.

죠커보고 싶은데... 일본에서 보기는 싫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19-10
네 클라우드가 그거 지원안하면 클라우드가 아니죠.
그게 아마 멀티태넌트라고 했었나 그걸겁니다.
A라는 회사의 서버의 사설아이피를 갖고 있는데 B라는 회사의 서버도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충돌이지만 저걸 자연스럽게 서비스 해주는곳이 클라우드죠.
일반적으로도 구현은 가능합니다. VLAN 태그를 사용하면 그만이거든요.
     
dragoune 2019-10
답변 감사합니다. 우리 회사에서 사내 정치 때문에 쓰던 라쿠텐 클라우드는 인프라도 한군데 밖에 없는데
스위치가 죽어서 10시간 이상 특정 서버만 DNS서버에 연결이 안되는 괴 현상이 발생했던지라... ㅡㅜ

윗분들이 직접 욕을 들으시고서는 좀 생각이 바뀌신 참입니다.

물론 돈 이야기 나오면 또 싹 들어갈 것 같긴합니다만...
     
박경원 2019-10
그건  사용자들 마다 각자 RFC1918 주소들을
원하는대로 사용하게 해주는것이고

질문자분이 원하시는건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데이터 센터에 있는 다른 VM들이 동일한 퍼블릭 IP를 가질 수 있냐 물어보시는것 같네요
엠브리오 2019-10
IP주소도 별도로 돈주고 구매해야되는 인터넷망 사업자의 자산입니다.

망을 바꿨는데, 해당 IP만 가져와서 쓸수는 없는 겁니다.
KT를 쓰다가 해지하고 LGU+로 바꿨는데 KT에서 쓰던 IP주소만 따로 가져와서 사용할수는 없는 거죠.
     
dragoune 2019-10
답변감사합니다. 그래서 전 세계에 인프라를 가지고 있는 azure 라면 가능하지 않을까 상상을 해보았습니다.
전에 azure의 라이브마이그레이션에서 비슷한 내용을 본 것 같기도 해서 말이죠...
새총 2019-10
vrf를 지원하는 장비를 쓰시면 될듯 합니다.
개념은 아랫글 퍼왔습니다.
https://m.blog.naver.com/happy_jhyo/70150410484
     
dragoune 2019-10
아... 역시 가능한 방법이 있었군요
선구자분들은 대단하시네요...


감사합니다!!
epowergate 2019-10
URL이 아니라 IP로 한다면 어려울 좀 수도 있습니다.
사용 하시고자하는 서비스사 (AMAZON, AZURE??)에 문의하시면 정확한 답과 비용이 나올겁니다.
     
dragoune 2019-10
안타깝게도 AWS나 Azure는 쓰고 싶은 서비스고 지금 쓰는건 라쿠텐 클라우드라는 거지같은 서비스라서... ㅡㅜ
DAP박인호 2019-10
S사 서비스 할때 AWS에서 Virtual IP 서비스 이용했었는데.
     
dragoune 2019-10
AWS도 가능한 것이었군요!! 감사합니다!
찬이 2019-10
일단.. 생각하시는건 불가합니다.
사설망만을 사용한다면 가능하지만 공인망으로 가면 다른 리전에서 동일 IP사용은 불가합니다.
AWS등에서도 불가하구요 VRF도 VLAN을 나눠주는거지 하나의 IP로 HA구성하는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AWS의 설명입니다.
"탄력적 IP 주소는 특정 리전에서만 사용됩니다."

IP주소는 논리적 주소이지만 지역성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1.1.1.0/24 대역 하나를 서울과 부산에서 나눠쓸수는 없습니다.
이것은 수많은 네트워크망에서 하나의 IP를 찾아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라우팅"의 원리로부터 불가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AWS의 Route53의 경우도 서비스 변경에 따라 DNS를 바꿔 한 도메인으로 다중리전HA를 가능케 합니다.

질문글에 올리신대로 VPN을 사용하면은 당연히 가능합니다만 속도저하와 네트워크트레픽에 대한 비용증가의 문제도 있지만
해당 리전이 죽으면 VPN도 죽는다는 큰 문제가 있습니다.
     
dragoune 2019-10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ㅠ_ㅠ
지식이 부족하니 어리석은 질문을 올리고 말았습니다.

각 서버는 사설망을 가지고 위에서 라우팅을 바꿔주는 형식으로 생각했었는데
역시 망사업자 레벨이 아니라면 어렵겠네요...
파닥파닥 2019-10
anycast 등을 고민해 보시면 되겟지만, 왠지 규모를 추측컨데 배보다 배꼽이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dragoune 2019-10
근속 6년이 넘었지만 아직까지 노트북한대 안사줄 정도로 짠돌이 회사라 금액크게 부르고 싶은 심정입니다 ㅋㅋ
박경원 2019-10
다른 두 데이터센터에 같은 IP를 가져갈 방법은 생각이 나질 않네요
DNS를 기반으로 이중화를 고려해보는건 어떨까요
     
dragoune 2019-10
망할 UTM을 설정하는 업체들 때문에 그게 안되네요... RTP 포트 열어달라는 것도 절대 안된다고 하는 놈들이야...
전화 쓰는데 RTP 포트를 못 열어주겠다는게 당최 이해가 안가는 놈들이지만...
거기다 추가로 IP도 제한해야 하겠다고 하는데 이야기가 안통합니다. 설정한번하는데 4,50만원은 받아가고 말이죠
limitless 2019-10
Azure, NBP 클라우드 파트너 입니다.
여러 방식으로 해결 가능합니다.
연락주시면 도움드릴께요.


QnA
제목Page 1227/5724
2014-05   5237087   정은준1
2015-12   1762738   백메가
2015-02   4789   소년시대
2020-11   7779   의롭게살리라
2011-02   8153   과거지사
2019-08   2753   동행큐브
2022-05   1739   만사오케이
2018-06   9045   수필처럼
2024-01   3073   saint
2011-03   6745   이현중
2015-02   4668   토나르
2018-07   3871   하데스
2013-10   5305   배고프고가…
2016-04   4896   아마데우쓰
2015-03   5323   나파이강승훈
2018-07   3525   호박고구마
2024-02   1611   장동건2014
2015-03   3633   러브베이스볼
2011-04   8184   그래피아
2015-03   16746   2CPU최주희
2016-05   4129   김강호
2016-05   5603   옹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