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으로 pc에 설치된 3D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waney   
   조회 12316   추천 0    

2cpu 고수님들 안녕하십니까

제 사정상 외부에서 노트북이나 저사양 기기를 통해 3D등 (NX, Autodesk VRED) 무거운 프로그램들을 장기간? 구동해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개인 PC를 옮겨서 사용하면 좋으련만 그럴 수 있는 환경이 아닌지라.. 

노트북으로 개인 PC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 노트북으로 개인 pc 접속해서 pc 에 설치된 프로그램 및 자원을 활용하여 3D 프로그램 사용


1. 팀뷰어나 리모트 뷰 말고 대안은 없는지?
2.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이 그나마 빠르다고 하는데 3d 등 실시간 활용하기에 무리가 없는지?
3. 가상화를 이용하는 방법은 없는지? (팀뷰어 등 사용해봤는데 원격 접속은 접속이 끊어지면 이래저래 오류들이 많아서 리스크가 큰 것 같습니다)


환경
- OS : 윈도우 10 (노트북, PC 동일)
- 노트북사양 : 맥북에어 2011 late 부트캠프 사용(내장 그래픽)
- pc 사양 : 2680 v3 듀얼 

간단하게 생각하면 팀뷰어나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면 될 것 같지만.. 이래저래 접속이 불안하게 끊겨버리면 다시 접속에 오류가 생긴다든 등 리스크가 큰 것 같습니다. 
안정적으로 접속,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있으니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주환 2019-11
*비밀글입니다
     
waney 2019-11
죄송합니다 ㅜ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사유라 비용을 들여 무언가를 구축하기엔 무리가 될 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있습니다.
여차하면 pc를 nas화 시키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송주환 2019-11
*비밀글입니다
               
waney 2019-11
아 무시무시한 솔루션들이군요. 현실적으로는 불가하지만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DDAYs 2019-11
예전에 저도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며 시스템 구축까지 해보았습니다.
우선... 소수를 위해서 이런 시스템 구축하는건 닭잡는데 소잡는칼 쓴다라는 표현이 딱 어울립니다.

제가 시도해보거나, 알아봣던 방법으로 3가지가 있었습니다.
우선 윈도우 Hyper-V를 이용한 방법, Vmware Horizon을 이용한 방법, Xen Desktop 을 이용한 방법 등이었습니다.

3가지 모두 공통적으로
Active Directory 서버를 구축해서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Connection Brocker 서버 라고해서 연결을 관리하는 Gateway 역활을 하는 서버,
그리고 최종적으로 그래픽 가속을 위한 가상화 서버를 구축해 줘야 했습니다.

제대로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소 3대 이상의 물리 서버를 구축해야 하며,
윈도우 서버 제품군에 라이센스 비용까지 합치면 어마무시한 금액이 되어 버립니다.
Hyper-v가 그나마 가장 저렴한데, vmware나 xen으로 가면 윈도우 라이센스 금액까지 플러스 되어 라이센스 금액만 작게는 몇천단위가 나올거에요.

하드웨어 가상화를 통해서 전송이 될때만 3D 가속이 되기 때문에,
가상화 하드웨어를 구축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가상화 성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XEN > ESXi >>>> Hyper-V

Hyper-V가 가장 성능이 낮은 대신 하드웨어 구축비용이나 라이센스 구축 비용이 가장 낮게 들어 갑니다.
저사양 3d게임 정도는 네트워크로 구동이 가능할 정도니까요.
일반 원격데스크탑으로는 3D 가속 안됩니다. 시스템에 그래픽 카드가 달려 있어도 3D가속이 안되는 그래픽 카드로 체크 됩니다.

덤으로 HP의 RGS라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게 라이센스가 있어 자세히는 구축해 보지 못했는데,
윈도우가 깔린 HP 워크스테이션에서 Hyper-V 가속과 비슷하게 가속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Software 인것 같았습니다.

서두에도 말씀드렸지만, 소수를 위해서 이런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한다는건 상당히 비효율적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구축 비용이 억단위가 넘어갈테니까요..
대기업에서 몇백명이 써야 하는데 수시로 인원이 바뀐다거나, 또는 라이센스 비용을 줄이는 목적으로 쓰기에는 맞다고 보입니다.
Pro-E나 Catia 같은건 억단위 가니까... 100Copy 구매해서 써야 하는데서 50Copy만 구매해서 나머지 남는 금액으로 시스템 구축하고 관리인원 채용해서 돌려도 남으니까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축이 되고나면 다음은 네트워크 입니다.
서버가 설치된 환경의 네트워크 속도가 빨라야 하는것은 당연하고,
내가 접속하는 환경까지도 속도가 보장이 안되면 원활한 3D 전송은 어렵습니다.
동일한 LAN 환경이 권장 환경입니다.

그러니, 소수를 위해서는 Quadro 달리고 데스크탑 수준의 CPU가 달린 노트북도 500이하로 구매가 가능하니까
그냥 차라리 고사양의 하드웨어를 쓰시는게 답입니다.

최근 스팀과 NVIDIA 그래픽 카드를 통해서 3D게임을 스트리밍 하는것이 많이 발달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 이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게임이나, 3D 설계 프로그램이나 비슷한 맥락이라고 보기 때문에,
게임 스트리밍이 어느정도 완성되면 분명 3D설계 프로그램을 스트리밍을 하는 쪽으로도 응용 될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도 사실 조금은 우려스러운것이 3D 설계프로그램은 대부분 OpenGL을 사용하기에 Quadro를 쓰는데, 게임은 대부분 Direct X기반 가속이라...)
     
송주환 2019-11
엔비디아의 정신나간 라이센스 정책으로 인해 vDGA를 사용하는 안을 테스트 중입니다.
아마 이게 GRID 1.0을 제외하면 현 시점에서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일 겁니다. 호라이즌 라이센스는 생각만큼 비싸진 않구요.
          
DDAYs 2019-11
ESXi가 편하고 좋은데..
그거에 비해... 라이센스 비용이 어마무시해 지니까요...
윈도우 서버, Cal , 개별 윈도우 까지 하면.. 라이센스 금액이.. 후덜덜 해 집니다.

윈도우는 Data Center 사면..
한방에 다 해결되는데, 이거 벤더에서 사면 500 정도,
패키지로사면 1000정도 하거든요..

esxi로 3D가상화 하려면 esxi 라이센스 비용만도 3000이상 필요할거 같은데요..
비용 효율로 따지면 윈도우를 따라갈순 없습니다.. 그만큼의 성능은 포기할수 밖에 없죠..
               
송주환 2019-11
Horizon 라이센스 패키지 안에 vSphere Enterprise Plus가 포함되어 있어서.. 오히려 vSphere보다 더 쌉니다. 대신 VDI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붙습니다.
물론 윈도 서버 라이센스, CAL은 필요하지만 의외로(?) 소규모로 쓰기에 나쁘진 않습니다.
                    
DDAYs 2019-11
윈도우도 가상화 보급때문인지..
Cal 라이센스 같은 정신나간 정책을 쓰는거에 비해서
가상화 라이센스는 거저랑 다름없이 주는것 같습니다.
                         
송주환 2019-11
윈도 서버는 per-core 라이센스 적용 이후부터 정나미가 떨어지더군요. 학생용 라이센스가 아니었으면 쳐다보지도 않았을 겁니다.

리눅스 만세.
     
waney 2019-11
아 찾아봐야 vdga 찾아봐야겠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DDAYs 2019-11
vDGA는 안찾아 보셔되 될듯 합니다.
이유는 AD구축이나 ,Connection Brocker, 가상화 PC 구축 까지는 동일 하게 해야 하니까요.
가상화서버 에서 VGA를 구성할때 dVGA를 사용하면 VM 한대에 그래픽 카드의 자원을 전체적으로 넘겨 주는것인데,
추가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하냐 안하냐의 차이이지 접속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 안해도 되는건 아니기 때문이죠.
     
waney 2019-11
어마어마한 솔루션을 말씀주셔서 잠시 멘붕이 왔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하드웨어를 구입하는게 가장 저렴하겠습니다. 이동이 전제되어야 해서 일종의 원격 가상화나 데스크톱을 생각했는데 ㅠㅜ 너무 무리한 시도가 아니었나 싶네요
          
DDAYs 2019-11
네트워크 3D전송 솔루션이 저렴한게 없기 때문에 그런것이지, 생각한게 터무니 없거나 한건 아닙니다.
저도 설계 일 하면서 외부에서 사무실의 설계용 PC를 사용해 보고 싶어 하나씩 해보다가 배운 정보 입니다.
조시무새 2019-11
네트워크 라이센스 지원하니 클라이언트 깔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vpn)
     
waney 2019-11
클라이언트도 각 라이센스 구입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확인해봐야겠네요~~
술이 2019-11
돈 하나도 안들이는 방법은 VPN 구축하는겁니다.
실제 머신 그대로 사용할려면 일단 RDP는 제약사항이 많습니다. 그리고 가상화를 이용한 방법도 아마 비용면에서 힘들겁니다. 관리도 힘들뿐더러...
제일 심플한건 VPN에 VNC로 붙어서 작업하는거 말고는 답없습니다. RDP도 소프트웨어 이슈 안타면 RDP로 붙어서 작업해도 되는데 그건 해봐야 압니다.
     
DDAYs 2019-11
기본적인 부분을 간과하고 답변을 다신듯 합니다.
RDP로 3D 설계 소프트웨어의 VGA가속이 가능하면(Direct X는 약소하게나마 지원),
애초에 Horizon이나, Xen Desktop 같은 3D VGA가속 솔루션 자체를 처다볼 필요도 없는 부분입니다.
          
송주환 2019-11
Remote-FX로 가능하긴 합니다. 성능이 구려서 그렇지
               
DDAYs 2019-11
Remote-FX는 DirectX 만 가속합니다.
OpenGL 가속이 주류인 3D 설계 소프트웨어는 가속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도 가속 안되는 것보다는 정말 쥐꼬리 만큼 성능이 더 나오긴 합니다.
                    
술이 2019-11
OpenGL 가속이 안되는게 아니고 해당 소프트웨어가 정해진 VGA카드만 지원해서입니다. RemoteFX라는 드라이버를 애초에 지원해줄 생각이 없는거임. 그리고 대부분 NVIDIA 계열쪽에 지원이 강세라...
그리고 캐드쪽에는 RemoteFX OpenGL 가속 지원 잘합니다. 캐드만 지원... 다른건 안지원.
                         
김제연 2019-11
제가 rdp 로 연결해서 glview 실행해서 보니까 ..
지원버전이 1.1 입니다..  opengl 1.1 지원되는건 될 수도 있겠네요 ..
어쨋든 최신은 4버전 이상이기도 하니까 지원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
정해진 VGA만 지원해서 그런다는건 첨들어봅니다. opengl 이 범용 일텐데 .. vga에 따라
되고 안되고 하는게 아니라 드라이버에 따라 좌지우지 된다고 보거든요
          
술이 2019-11
RDP로 3D 소프트웨어 가속이 됩니다. RemoteFX가 아닙니다. 실제 윈도우10에 RDP로 접속하면 DX지원은 가능하나 일부만 지원해서 해봐야 안다고 했잖습니까?
그래서 VNC 같은걸로 화면 스트리밍 전송하는걸 택하는거죠. 뭘 간과했다는건지...
호라이즌이나 젠이나 벰웨어를 하라고 하면 자전거 타고 출퇴근 하고 싶은데 벤츠타고 출퇴근 하라고 하는격이잖아요?
               
DDAYs 2019-11
애초의 조건이 3D openGL 가속 이 필요한 NX 구동입니다.
그게 가능한건 젠데스크탑이나, 호라이즌 밖에 없습니다.
RDP 로 3D 가속 되면 누가 비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사서 젠데스크탑이나 호라이즌 구축해서 저런 소프트웨어 돌릴까요.?
설령 가능해도 최대 성능이 5프레임 밖에 안나온다고 하면 그게 가능하다고 봐야 할까요.?
               
김제연 2019-11
rdp 로 3d 가속 되나요 ? 안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sketchup 만 실행해도 ..open 어쩌고 뜨지 않나요? 요즘엔 해결됐으려나 모르겠네요 .
                    
술이 2019-11
윈도우8 부터 지원하는데 혹시 윈도우 7 쓰는지?
예전엔 툼레이더도 RDP로 붙어서 게임하던적도 있었습니다. 처음엔 안될거라고 생각했는데 오호 이게 되네? 했던 그런날이 있었죠.
60프레임은 네트워크 통신기술로는 힘들어도 30프레임 나와주었던거 같았습니다.
그리고 스케치업도 RDP로 붙어서 실행했었던 기억이 나는데...
                         
김제연 2019-11
윈도우 10입니다. 스케치업은.. 제가 초반부터 사용했었는데 rdp로 안되서 .. 이것저것 깔아보다 포기했는데
이번에 스트리밍 하면서 잘되길래 .. 아 답은 스트리밍이구나 싶어서 글쓴게 요 몇일 전입니다.
툼레이더는 게임을 안해서 모르겠네요 .
               
김제연 2019-11
SketchUp을 시작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 그래픽 카드에서 하드웨어 가속이 지원되지 않거나 사용이 중지되었습니다. SketchUp은 하드웨어 가속 그래픽 카드의 사용을 필요로 합니다.

죄송합니다만 이 오류로 인하여 SketchUp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면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이곳 지원 센터 문서에서 확인하십시오.
     
waney 2019-11
제가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간간히 필요에 의해 vpn을 이용하고 있긴 합니다만, open vpn 이나 l2TP 나.. vpn을 네트워크 망의 단일화, 또는 분리 정도로만 생각했었는데 pc를 원격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나요? 혹시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제연 2019-11
스팀 , parsec, dixper, moonlight  등으로 검색해보시면 됩니다.
               
waney 2019-11
감사합니다~!!
김제연 2019-11
윗분들 말씀데로 하면.. 다 안될껍니다..
제가 얼마전에도 글 썼는데 스트리밍 이용하시면 그냥 됩니다...
esxi든 xen 이던 가상화 해서 grid를 쓰던 pci passthrough 를 쓰던 그 컴퓨터에 할당 해주는거라 .. 결국
그냥 일반 컴퓨터 한대 놓는거랑 차이가 없습니다  자원을 나눠쓰려고 하는게 아니니 전혀 상관 없는 이야기 입니다.
리모트 데스크탑은 opengl 가속이 안되니 무조건 안되고 vnc도 open gl 버전 낮은 버전만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냥 스트리밍 하시면 아무것도 신경 쓸게 없이 사용 하실 수 있습니다.
     
송주환 2019-11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몇 가지 테스트해봤을 때는 반응성이 구리거나, 4:4:4를 지원하지 않아서 외곽선이 깨져 보이거나 해서 생산성 업무에 활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는데,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면 안 쓸 이유가 없습니다.
          
김제연 2019-11
전 그냥 엔비디아 + 문라이트가 가장 좋은것 같습니다..
근데 신기한건.. 엔비디아 + 문라이트 + 4k 화면 을 테블릿 10인치에 놓고 하면.. 완전.. 노 딜레이처럼 100% 속도로 사용이 가능한데 (글씨가 작아서 못쓰지만요 )
다른 스트리밍 + fhd 가속은 쓸만함 ... 4k 로 했을경우 .. 버벅이고 테블릿만큼 속도가 안나오는데 왜그런지 모르겠더군요 ..
parsec 랑 dixper 도 웹에서 바로 되서 .. 엄청 편하구요 ..

모니터 연결 안하시거나 꺼놓으실꺼면 hdmi  더미 하나 꼽아주시면.. 저해상도에서부터 4k 해상도까지 마음데로 변환 가능하니
hdmi 더미 하나 구입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DDAYs 2019-11
엔비디아 쓸려면 지포스 익스피리언스 설치해서 스트리밍 하는데 지포스 익스프레스는 쿼드로 계열에 설치가 되는지가 관건 이겠네요.

산업용으로 open gl 드라이버 값으로 쿼드로 팔아 먹는 엔비디아 인데, 이런 돈줄을 놔두고 열어 놨을지가 의문입니다.
                    
김제연 2019-11
그거 안되면 다른 솔루션 쓰면 됩니다 .. 스팀이나 parsec나.dixper 등
                    
김제연 2019-11
그리고 .. https://www.nvidia.com/ko-kr/design-visualization/software/quadro-experience/
쿼드로는 따로있네요 .. 좋음.
                    
김제연 2019-11
당연히 열어 놓을 수 밖에 없는게 .. amd 도 amd link 등 스트리밍 쪽으로 지금 개발중입니다..
다만..amd 는 gpu 점유율이 amd가 훨씬 높은듯 합니다.. nvidia 는 10% 미만인데 .. amd 는 25% 꾸준히 찍어줍니다.
그래서 제가 RX580 쓰고 있다가 채굴 nvidia 1060 3g 사놓은걸로 바꿔달았습니다.
현재 스트리밍 서비스 VR 서비스도 하고 있고 .. fhd 급은 뭐 그냥 쓰기엔 아주 괜찮은듯.. 4k 만 좀 어떻게 하면 될듯
4k 인코딩이 가속이 안되서 그런듯
               
waney 2019-11
문라이트가 게임전용으로 알고있는데 쿼드로카드도 혹시 지원이 될까요?
                    
waney 2019-11
아 위에 답글을 달아놓으셨네요~ 다른 솔루션들이 있군요! 한번 시도해봐야겠습니다.
                    
김제연 2019-11
               
송주환 2019-11
Parsec은 AD 환경에서 이용 불가합니다. Ctrl+Alt+Del을 입력해주지 못함.
얘를 위한 그룹 정책을 따로 만들어주긴 좀 그렇고.. 로컬 네트워크에서 접근하는 것 또한 불가능하군요
                    
김제연 2019-11
AD 환경이 뭔가요 ? 로컬 네트워크에서 접근하는게 안된다는게 또 어떤 말씀이신지?
 전 그냥 PC라서 ESXI + rx570 passthrough + .. hdmi 더미 끼우고 자동 로그인 설정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김제연 2019-11
그리고 접속후에 ctrl + alt + del 누르는 거라면.. 일단 parsec 만 실행되어있으면 전송 가능합니다.
                    
김제연 2019-11
접속하면.. 로그인 화면 나오는거 때문에 그런거라고 하시면... 아마 다른것들도 다 그렇습니다..
저도 왜그런지 모르다가 .. esxi에서 돌리다보니 .. 원격으로 로그인하고 .. 프로그램 실행하고
접속하면 로그인 하는 화면만 뜹니다.. 다른 세션에서 실행되는건지 ..
그래서 .. 자동로그인 + 자동실행 해놓으니 정상으로 작동중입니다. rx570이라
dixper사용중이구요
     
DDAYs 2019-11
esxi나 xen이나 컴퓨터에 할당을 해주는건 맞는데,
젠이나 브엠웨어가 host os에서 가상머신 화면을 캡쳐해서 그걸 스트리밍 해주는 기술을 팔아먹는거거든요.
최근에는 말씀주신 스트리밍 기술이 많이 발달해서 게임 스트리밍 기술이 잘 되면 3D 소프트 웨어 쪽도 개발될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제연 2019-11
3d 소프트웨어 쪽이 개발된다는게 어떤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따로 설정할거 없이 rdp 처럼 접속해서 ... 프로그램 실행해서 사용하면 되거든요 .
               
DDAYs 2019-11
게임은 direct x 기반 가속이라 그걸 캡쳐하는 기술쪽이 게임 스트리밍에 적용 되어있거든요.
그에반해 쿼드로가ㅜ지원하는 open gl 가속 캡쳐해주는 기술은 가상화 머신을 통해서만 지원 했었거든요.
                    
김제연 2019-11
블랜더도 잘 돌아가는거 보면 문제 없을듯 싶습니다.
                    
송주환 2019-11
둘 다 NVENC라 큰 차이는 없을 것 같습니다.
NVENC API를 사용하는 데 지포스 익스피리언스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고..
제온프로 2019-11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장 편해 보입니다..
     
김제연 2019-11
가장편하지만 실행조차 안됩니다
          
waney 2019-11
https://www.nvidia.com/ko-kr/design-visualization/software/quadro-experience/

스트리밍+문라이트 조합이 최고인듯 합니다!!

외부에서 전혀 끊김없이 캐드와 각종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네요~ 실시간 렌더링은 아쉽게도 cpu 점유가 풀이라 끊기지만 아쉬운대로 사용할만 합니다.

훌륭한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문라이트는 엔비디아의 프로그램이 아닌 별도의 비상용(무료)로 보이는데 맞나요?
               
김제연 2019-11
네 맞습니다. 신시간 랜더링도 gpu 를 사용하시면 되지 않을까요.
                    
waney 2019-11
프로그램 기반이 cpu기반이라 그부분은 아쉽네요~~ 친절한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역시 2cpu입니다
                         
chalspark 2021-01
안녕하세요. 저도 비슷한 환경에서 원격업무를 위해서 구상을 하기 위해서 검색을 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위의 안내해주신데로 3D 이미지 작업하는데는 스트리밍+문라이트 조합이 가장 빨랐던거 같습니다.

좋은 사양의 워크스테이션 구매하여 작업이 필요할때 접속해서 분석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데, 위의 조합은 1개의 pc에 1개의 계정밖에 접속이 되지 않아서 혹시 멀티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좋은방법이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동시 사용자는 2~3명정도 될것같고 프로그램이 많이 무겁지는 않습니다. 다만 원활한 작업을 위해서 화면이 빨리 전송되어야합니다.


QnA
제목Page 1199/5725
2014-05   5240660   정은준1
2015-12   1766153   백메가
2022-11   1829   송명준
2015-07   5783   칼도
2017-08   3005   11번가
2018-11   8301   정의석
2012-02   5720   예관신규식
2016-08   6264   이건희
2015-07   8403   DOX
2021-04   3532   화난별
2022-12   2679   짱짱맨
2024-08   1347   홀릭0o0
2018-11   3187   호박고구마
2016-08   3356   geniefix
2020-01   3458   화정큐삼
2012-02   9489   김건우
2020-01   5230   봉래
2021-05   2298   드고
2016-08   6385   포스타
2014-03   5613   아름다운노을
2015-08   4074   전설속의미…
2017-08   5163   Drea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