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시 스토로지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조회 3592   추천 0    

용도는 vm용 스토로지 서버.. 올플레시가 가능한 서버를 찾고 있습니다.


ssd는 intel dc s3610 800기가 sata모델 입니다.


하드웨어와 OS가 문제네요.

1. smb, nfs, iscsi 연결이 가능할것

2. 세팅이 간편하고, 사용자별 권한설정이 쉬워야 합니다.

3. 24베이 통채로 raid 가능할것(raid6(23EA), hotspare1)

4. 스냅샷 같은 백업이 가능할것

5. OS 포함, 랙형타입, 벤더제품일것, 예산은 1천만원 약간 오버되어도 가능.


사용환경은 연중 관리온도 20~23도로 관리되는 항온 항습실, UPS있는곳 입니다.

실제 접속 서버는 약 4대, vm으로 생성된 서버는 약 30대 정도 될것 같습니다. vm에서 hdd 이미지를 스토리지에서 바로 엑세스 할려고 합니다.

연결 방식은 nfs로 할지 iscsi로 할지는 안정했습니다. 일단 테스트 해보고 속도 테스트 한후에 결정을 하겟지만.. nfs가 파일 관리 하기가 편해서 nfs로 연결할것 같습니다.


찾아보니 시놀로지 nas에서 플레시스토로지로 fs3400이 예산안에서 맞기는 한데.. 제온D 모델에 소프트 레이드..

뭔가 속도가 떨어질것 같은 그런느낌이 드네요.


hp나 델에서 나오는것은 어떤게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브랜드 제품이라도 알려주세요. 큐냅은 2.5인치 전용 제품이 없어서 안될꺼 같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epowergate 2019-12
결국 VM으로 생성할 서버들이 얼마나 중요하냐가 결정할것 같습니다.
방법은 많습니다.
HP DL380G9/10이나 DELL R73/40XD로 하시면 됩니다.
OS는 Snapshot등을 원하시면 ZFS가 답일겁니다.
문제는 ZFS 장애발생하면 복구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NFS는 몰라도 iSCSI는 CPU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iSCSI는 CACHE도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약 fs3400가 예산에 들어오면 추천합니다.
그리고 SSD는 이미 가지고 계신것 같은데 그냥 NAS 제조사에서 함께 구매하시길 추천합니다.
장애 발생해서 보내면 AS 거부당합니다.
     
우앙뿌앙 2019-12
iSCSI 는 TCP/IP 기반 통신이라 CPU 사용률이 없을수가 없는데....
          
epowergate 2019-12
대부분이 offloading하기 때문에 CPU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서버용 NIC들이 iSCSI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무지 가볍습니다.
               
우앙뿌앙 2019-12
음... 케이스 바이 케이스 같아요.

오프로드가 기본으로 켜있지만 백업같은 대량전송 할때 꽤 많은 CPU usage 가 발생 하던데요. (단순 파일송신, 수신등 할때 3~5퍼정도 증가함)

구닥다리 장비도 아니고 580G9 G10 인데..
                    
epowergate 2019-12
Offloading이 TCP Offloading 뿐만아니라 iscsi target IO도 포함을 합니다.
Linux에 기본으로 있는 iscsi target이나 MS-Windows Server에 있는 iscsi target은 usermode로 작동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CPU 사용율이 높아지지만 그것이 뭔가를 프로세싱하는게 아니라 Memory Copy때문에 발생하는겁니다.
UserMode에서 iscsi가 작동을 하려면 DISK => Network까지 전송하는데 3~4번의 Memory Copy가 발생을합니다.
하지만 KernelMode로 작동을 하는 iSCSI Target, 예를들어 SCST등,을 사용해 보시면 CPU 사용율이 현저하게 낮아집니다.

예전의 HP의MSA나 DELL의 equalogic등 iscsi-fc 전용장비들을 보면 형편없이 낮은 사양의 CPU/메로리용량을 장착하는데 그렇게 해도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요즘에 iscsi-fc 장비들은 좋은 CPU+메모리를 사용합니다.
그게 iscsi protocol 때문이 아니라 inline-dedupe, 압축등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우앙뿌앙 2019-12
OS에 부록으로 있는 iSCSI Target 이 유저모드로 작동을 한다는 것은 처음 알았네요.


정확한 환경은 이렇습니다.

1. 고객사 IDC에 큐냅, 시놀로지 장비가 들어가있음 용도는 백업 저장소 
    - EMC Data Domain 을 고려했으나 가격이 8배? 18배? 차이가나서 포기함
    - 큐냅과 시놀로지에 8테라였나 10테라하드 12개 풀로 장착 한 iSCSI 저장소 물리노드 4개? 였나...
 
2. 서버에는 MSSQL 및 기타 파일(엑셀, 사진) 등을 1의 장비로 업로드함 (작업스케줄러를 통한 파워쉘 복사)
    - 1과의 연결은 1G NIC x2 (Windows MPIO 및 Windows iSCSI 초기자 사용)
    - 1서버의 사양은 580 G9/G10 클러스터 두세트

새벽 백업배치 트리거 후  2에서 1로 전송시 백업용량은 약 100기가~1테라
이때 1서버의 CPU Usage 가 약 3~5퍼 발생
이때 2저장소의 CPU Usage 는 약 20~40퍼 발생

여기서 2저장소의 RAID 6 리빌드 동시에 백업 배치가 돌아버리면 CPU 부하량이 100퍼까지 치는 현상도 종종 나옵니다...
가끔 iSCSI 세션이 끊어지기도 해요.

그에비해 말씀주신 것 처럼 HPE MSA 정도되는 스토리지에서 iSCSI 시나리오는 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펌웨어 이슈말고는 뭐 고장난적도 없고.....

거기다!!! 시놀로지 큐냅은 소프트웨어 기반 싱글컨트롤러가 가장 약점이라 생각합니다. (컨트롤러 죽으면 다죽음..)
               
프로시아 2019-12
댓글 감사합니다.
iscsi 가 cpu점유율이 확실히 낮기는 한데...
1개의 LUN 마다, 1대의 서버만 연결해서 파일 추가, 수정이 가능하다보니..
VM에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타 pc에서 연결해서 작업하기가 번거럽더군요.
그래서 고민중인게... nfs에서도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 nfs로 연결할려고 고민하고..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면 iscsi 연결도 하고 있습니다.
                    
epowergate 2019-12
"작업하기가 번거럽더군요" 때문에 사용하는겁니다.
그렇게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만약 NFS를 사용하다 실수로 1개의 VM-DISK를 2개의 VM에 할당하거나 하면 재앙 발생합니다.
좋은 자동화툴들은 이러한 일들을 미연에 방지시켜주겠지만 그렇지 못한 환경이라면 불편해도 iscsi 추천합니다.
물론 성능도 iscsi가 훨씬 빠를겁니다.  이건 테스트 해보시면 알듯합니다.
우앙뿌앙 2019-12
올플래쉬에 시놀로지나 큐냅쓰는곳이 과연 있을까요? ㅎㅎ...

고장나면 장비 뜯어다가 총판에 가져다줘야 합니다.  재수없으면 AS 막 한달걸리고 그래요....

예산이 천만원이면... 시놀로지 큐냅말고는 답이 없을겁니다.

돈 조금 들여서 HPE MSA 같은거 디스크 최소사양으로 구매후 디스크만 야매로 장착해서 쓰세요.

사실 저정도 요구조건이면 EMC Unity 정도 써줘야...
     
프로시아 2019-12
음... 많이 투자하고 싶지만.. emc unity 견적 한번 받아봐야 겟네요.
24베이 최저사양이.. 막 2천만원 넘을까봐 먹정이네요.
epowergate 2019-12
아, 우앙뿌앙님 답중에 답이 있네요.
OS는 EMC의 UNITY S/W 버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프로시아 2019-12
댓글 감사합니다.
내일 한번 견적한번 받아봐야 겟네요.
헬로우 2019-12
질문과 답이 고급지네요
많이 배웁니다^^
     
프로시아 2019-12
네... 확실히 2cpu에는 이런장비를 다루는분들이 많다보니... 답변이 든든 합니다.
Unitu vsa는 는 4tb 커뮤니티 버전있습니다
그 이상은 유료입니다
Vdi 환경이 아니네요 잘 못봤습니다
기본은 iscsi로 생각하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Nfs smb와 iscsi는 속도 차이가 많습니다
소푸 2019-12
현업에서 시놀리지 nas 사용중입니다.

iSCSI구축시 시놀리지의 경우 SSD캐싱기능을 넣을수 있습니다.
SSD캐싱으로 RAID 1으로 잡아서 구축하신후
esxi 같은 vm에 연결해 사용하시면 퍼포먼스가 끝내줍니다.

참고로 디스크 10개에 레이드 5로 잡은 하드가 sata3 3.5인지 일반 하드입니다.

개인적으로 io나 안정성도 매우 만족스러웟습니다.

돈내는 클라우드업체 서버호스팅 보다 100배 안정적이고 좋습니다.
http://2cpu.co.kr/QnA/490535


QnA
제목Page 1195/5729
2014-05   5264159   정은준1
2015-12   1789090   백메가
2020-09   3700   룰루and랄라
2010-10   8925   뭄바이
2015-01   13406   천외천oo노…
2016-03   4418   motu
2019-07   4119   뿌랍
2010-10   16429   여주이상돈
2022-03   4413   영원한혁신
2015-01   5977   푸르릉
2010-12   6762   김건우
2020-10   5335   bangCH
2015-01   4090   지니보이
2018-06   5580   쿨쿨쿨
2022-04   2041   화란
2018-06   5368   pisaro1
2011-01   7099   ShadowM
2019-08   3680   명랑
2017-03   4741   Tu7885
2013-09   14089   이혁중
2013-10   7114   강웅식
2015-02   6148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