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망 기가로 변경중인데요.. 아이피에 따라 속도차이가 ;;

gowork   
   조회 4391   추천 0    

안녕하세요 비오는 하루네요..


내부 서버와 내부망간에 파일 전송 속도를 높이고자.. 내부만 기가망 교체작업중인데요..


전체적으로는 복잡하지만.. 간단하게 설명 드리면 l2에서 스위칭 허브, 공유기로 각각 회선이 들어가고, 이 두회선을 스위칭 허브 1대에서 내부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l2 > 공유기 > 스위치(1) : 내부망 아이피 사용을 위해..

l2 > 스위치(2) > 스위치(1) : 스위치(2)가 서버대역, 스위치(1)이 내부망 대역

 

위처럼 구성하는 이유는 내부망 192 대역에서 나가는 아이피를 통일(관공서 사업 유지보수 등) 하고자 공유기에 아이피를 잡아서 사용 중입니다.

서버대역과 내부망 전송속도를 높이고자 작업중인데요, 최종 사용자 PC에서 아이피를 192.x.x.x 로 잡으면 서버 파일 다운로드 속도가 100M로만 나오고

아이피를 115.x.x.x 공인망으로 잡으면 1G 속도가 다 나오고 있네요..


일단 공유기 설정문제인지.. 이엠텍을 통해 원격지원 등 받아보았으나, 설정에 특별한 이상은 없다고 알아보고 전화주신다고 하는데요..


혹시 비슷한 경험 하신분 계시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무아 2019-12
뭔가 이상한데요. 저렇게 연결해도 되나요?
스위치1에 공유기도 들어오고 스위치2도 들어오고..
아예 완전 분리를 하는게 좋지 않나요? PC에도 이더넷 카드 2개 쓰고.
     
gowork 2019-12
네 연결은 잘 됩니다. ;;
완전분리하는게 좋긴한데 최종사용자 쪽이 노트북도 대부분이고, 사용자도 50명이상이라 ;;
션한맥주 2019-12
혹시 192 대역으로 통신할 때는 100Mbps 까지만 지원하는 장비를 경유하지 않나요?
전체적으로 복잡하다고 하셔서 여쭤봅니다.
     
gowork 2019-12
네 혹시라도 경유하면 어떤 아이피를 넣어도 100Mbs 만 나와야 할듯 한데.. 최종단에서 아이피(내부/외부)를 뭘 넣느냐에 따라 속도가 틀려지는 ㅠㅠ 뭔가 어렵네요 .
무아 2019-12
tracert 서버주소  해보세요.
아마도 192로 잡어서 tracert 하면 스위치1-공유기-I2-인터넷사업자-I2-스위치2-서버
이런 순서로 삥 돌아서 갈 거 같은데요.
아이피를 112 로 잡으면 스위치1-스위치2-서버 로 바로 가고.

공유기 문제는 아닌거 같고
스위치1을 메니지먼트 되는 걸로 써서 뭔가 작업을 걸어주면 바로 갈 것 같기도 한데.. 잘 아시는 분에게 패쓰
예를들어 스위치1 하단에서 서버대역쪽으로 접근하는 것은 스위치2가 연결된 포트쪽으로 그렇지 않은 것들은 공유기가 연결된 포트쪽으로 연결되게 설정이 되면 될듯한데요.
     
gowork 2019-12
네 tracert 해보니 말씀하신것처럼 돌아가는것 같아요..
아이피를 192로 잡으니.. 거쳐가네요.. 115로 잡으면 바로 들어가고요..
          
무아 2019-12
노트북쪽 이더넷 포트 설정 쪽에서 가상으로 IP 를 하나 더 잡아주는 것이 될텐데 그렇게 해서 2개를 잡아보세요.
즉 노트북 이더넷 포트1개에 아이피를 2개 모두 설정해서 쓰는..
이런 식으로
               
gowork 2019-12
빠르고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위의 방법으로 해보니 잘 되는것 같은데.. 고정아이피를 모든직원에세 부여하는게 어려워서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무아 2019-12
그러면

스위치1을 메니지먼트 되는 걸로 써서 뭔가 작업을 걸어주면 바로 갈 것 같기도 한데.. 잘 아시는 분에게 패쓰
예를들어 스위치1 하단에서 서버대역쪽으로 접근하는 것은 스위치2가 연결된 포트쪽으로 그렇지 않은 것들은 공유기가 연결된 포트쪽으로 연결되게 설정이 되면 될듯한데요.  스위치2쪽도 메니지먼트 해야하겠네요.

형태로 해야할 거 같습니다.
gowork 2019-12
답변 주신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일단 아래 방식처럼 연결하여 해결은 했는데 내부에서 많이 사용하면 서버쪽 속도가 괜찮을런지 걱정이네요..

l2 > 스위치(2) > 공유기 > 스위치(1) 방식으로 연결하니 잘 되네요 ;;
제온프로 2019-12
네트웍 컨설팅을 받으시는게 좋아 보입니다..

연결은 되게 연결되어 있네요.. 표준방식은 아니구요...

L2  는 Line 2 인지 L2 Switch 인지 해깔리네요..


l2 > 스위치(2) > 공유기 > 스위치(1)  이 방식은 4개중에 하나만 문제 생겨도 시스템 전체를

새워버리는 설계네요..
제온프로 2019-12
기본적으로

                    (방화벽)
                          |
                공유기(Gateway)
                          |
                  L3 Switch  (Vlan으로 네트웍 분리)
                          |
L2 Switch 1  --  L2 Switch 2 -- L2 Switch 3
|||||||||||      ||||||||||||    |||||||||||
PC1 / PC2 / PC3 / PCn.......................PCend

이 틀에서 변형 해 보세요..


QnA
제목Page 1185/5730
2015-12   1791967   백메가
2014-05   5267048   정은준1
2019-12   23337   jake
2017-07   3657   김영한
2014-03   3815   inquisitive
2018-11   5060   Nikon
2018-11   3944   준컴덕
2012-01   5722   쿵푸팬더
2021-04   3428   2CPUI김세훈
2016-08   10312   2CPU최주희
2024-07   2120   dietist
2015-07   3314   황진우
2016-08   4395   wdm42
2012-01   5958   참세상맹글기
2014-03   15972   binary
2022-12   1972   민사장
2017-08   4340   블루영상
2020-01   3056   빈경윤
2014-03   6084   akfalles
2015-07   4280   미수맨
2016-08   4325   퍼싱글
2018-11   4046   앙드레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