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칭 허브로 현재 시스코 SG350-10 L3 스위치와 넷기어 GS724Tv4 두 가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GS724Tv4를 중고로 이용하고 싶은데, AS 정책에 대해 궁금한 점이 두 가지 있어 질문 올려봅니다.
1. 넷기어 및 HP는 스위칭 허브는 영수증이나 구매 내역 없는 중고 제품도 AS를 받을 수 있습니까?
EUS 등 해외 수입제품이 아닌 국내 제품이라는 전제 하에, 넷기어 코리아는 라이프 타임 워런티를 제공하고 있다고 고객센터로부터 들었습니다.
이 라이프 타임 워런티도 단순히 단종 전까지만 보증해주는 것이 아닌, 제품이 단종되면 상위 제품으로 교환해 줄 정도로 정책이 좋은 편이더군요.
HP는 직접 문의하지 않아 완전히 확인은 못했으나, 스위치 허브 제품군의 경우 라이프 타임 워런티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A/S를 받을 시 필요한 요건이 뭔지를 모르겠더군요.
단순히 시리얼 넘버 등이 적힌, 제품 자체만 있으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영수증이나 구매 내역 등 본인이 구매를 했다는 증거물이 필요한 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런게 없을 경우 A/S가 불가능한지도요.
2. 시스코 스위치 허브 제품군은 보증기간과 AS 방법이 어떻게 됩니까?
넷기어 같은 경우는 보증기간이 영구적이고, 아예 넷기어 코리아 고객센터가 있어 그쪽으로 물품을 보내면 AS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시스코는 이상하게도 검색을 해도 A/S 보증 정책에 대한 내용이 제대로 안 나옵니다.
https://www.cisco.com/c/dam/global/ko_kr/products/tool/pro-w/511ben.pdf
그나마 찾은 게 언제 작성되었는지 모를 문서 하나만 검색이 되는데,
스위치허브에 대한 언급 없이 하드웨어 보증기간 5년이라 적혀있으나,
2페이지에 RMA 신청 내역이 적혀있어 국내 지사에서 A/S 접수만 하고 해외 본사로 보내는 것이 아닌지 의심이 되는 상황입니다.
회사 등록하고 아주 비싸게 구입한 첫 구매자에게 해당..
HP, Netgear 모두 해당..
Lifetime Warranty의 뜻 - 해당 제품을 팔고 기술지원 정책 기간 내에 한하여...
시스코의 보증정책은 워런티계약자에게만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중고로 구매한 경우 워런티 연장이 안되고, 모든 보증프로그램에서 제외입니다.
그러나, 유지보수계약자들에게는 엄청난 지원을 해줍니다. 실제 경험으로 모 대학에서 근무중 작업자의 실수로 학교의 메인코어스위치
(시중가 몇억짜리 장비)도 TNT택배를 이용해서 무상교체를 해줬습니다. 심지어 추석 연휴였습니다.
HP 제품중 ProCurve 2848 제품에 한정된 경험으로 생산이 중단된 이후라도 시리얼넘버(스티커)만 훼손되지 않으면 선출고 교체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 PC방에서 요긴하게 사용했습니다.
이어서 넷기어 고객센터에서도 724T 시리즈의 거의 무한 서비스를 진행했었으나, 활발한 중고거래의 후유증으로 제한적인 서비스로 변경되었습니다.
넷기어의 경우 최초 구매자에게만 서비스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즉, 중고 구매자는 유료로만 서비스가 가능합니다.(PC방 사장들의 무대뽀정신에 두손두발 다 들었다는 후문이 .... 그 이슈를 만드는데 일조하긴 했지만요..)
15~20만원을 유지하던 724시리즈의 가격이 초저가로 풀리게 된 이유죠.
다만 저는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구매를 하려는 것이다 보니, 보증 정책이 어떨 지가 궁금하네요.
말씀해주신대로 아무래도 넷기어 HP 모두 최초 구매자에게만 무상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역시 넷기어에서 무상 서비스를 서비스 신청 시 구매 내역을 함께 제출해,
구매내역 상의 신상 정보와 서비스 신청자의 신상 정보가 일치해야만 가능한 것이겠지요?
구매자 / 연락처 / 주소(사용장소) 정도의 기본 정보와 특수사용자(그 당시는 피씨방에 한정되었었습니다.)의 경우는 상호까지였습니다.
넷기어 고객센터에 등록한 정보를 기준으로하고, 세부적인 기술상담이나 통화자(서비스 요청자)는 가리지 않았었습니다.
중고로 구매하실 거라면, 어느 정도 감가되는 가치중에 서비스부분도 포함시키시는 것도 고려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구매하실때 그런 신상정보까지 넘겨주는 조건이라면 판매할 분들이 얼마나 있을지요...
중고 가격이 거의 4 ~5만원대로 폭락했죠. A/S 를 고민하는것 보다는 차라리 고장날 상황을 대비하여 중고제품 여러개를 구매해두는게 나은 선택일겁니다.
한때는 피씨방의 표준이나 마찬가지였죠. 그만큼 고객센터의 부하도 심해졌구요. (원격으로 모든 셋팅을 지원해줬습니다.)
지금도 HP 2848, Dell 2848, 넷기어 724(748) 사용하는 곳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망해버진 PC방에서가 아니라,
24포트보다 48포트로의 전환과 당연(?)한줄 알았던 서비스의 축소가 배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