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의 수명은 어느정도 일까요

   조회 4112   추천 0    

 저도 복불복인것은 알고 있습니다.

하드던 SSD 던 솔직히 회사 따지지 않고 복불복인것은 맞겠죠

회사것마다 조금씩 문제가 될 확률만 다를뿐..


다만 SSD 의 경우 최대 10만 시간이라던지 대충 

최대한 사용가능한 시간대가 어느정도 일련지요 


그리고 크리스탈인포에서 

정상 / 94% ~ 99% 대 로 나오는 SSD 의 경우 큰문제는 없는것일까요 

다른부분은 문제 없을듯 한데 


달랑 정상 이렇게 나오는것과 정상 98% 이렇게 나오는것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좀 많이 사용한 SSD 의 경우 조금씩 % 가 낮아지는것인지 

암튼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CMaster 2020-01
일반 리테일은 사실상 100%이외는 손상 된거라 보시는편이 좋습니다.
읽기 쓰기 한도로 %치환되는게 아니기에
데드셀이 하나라도 나게 되면 그게 셀단위로 차단이 되기때문에 의미가 없고

엔터프라이즈들은 데드셀이 발생한다라기 보다
읽기 쓰기 용량으로 사용량을 따져 사용량을 계산하기때문이죠...

해서 일반 SSD는 사용률을 따지지 않지만
엔터프라이즈는 사용률에 RW LifeTime을 표기 하는 이유입죠...
엠브리오 2020-01
SSD 는 Flash 메모리 기반이고, Flash 메모리의 원래 이름은 "EPROM" 입니다.

EPROM 이란 명칭은 썼다 지웠다 할수 있는 ROM 이란 뜻이죠.
다만 썼다 지웠다 할수 있는 횟수의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덮어쓰기가 되지 않아서 새로운걸 쓰려면 해당 영역을 전부 다시 지워야만 쓰기가 됩니다.

지우기/쓰기 횟수가 넘어가면 배드블럭으로 처리하고, 사용하지 못하도록 건너뜁니다.
배드영역이 10% 이라면 정상 90% 라고 나오겠죠.

저런 방식은 EPROM의 일반적 특징이므로 별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부팅영역에 배드가 생기면 남은 수명에 관계없이 SSD 홀랑 날려먹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부팅영역은 배드가 생기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그러나 실전에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도 허다하죠.
     
PCMaster 2020-01
제품의 범위로서
EEPROM>Flash Memory 이고

제품의 작동 방식상으로는
EEPROM ≠ Flash Memory 입니다.

EEPROM은 1Byte단위
Flash Memory는 블럭단위입죠..

때문에 Flash Memory에 한개의 데드셀이 생기면 그 블럭 자체가 치환되버리죠.
          
엠브리오 2020-01
설마 Flash 메모리가 나중에 나온건데 EPROM 보다야 성능개선되었겠죠. ㅎㅎ

다만 동작원리 및 제약조건은 별로 바뀐게 없다는걸 쉽게 풀어서 얘기한겁니다.
               
PCMaster 2020-01
뭐 저도 그렇게 이해는 했지만..
혹시라도 모르시는분이 보시면 오해 할 소지가 있어보여서요 ㅎㅎ
                    
980Ti4SLI 2020-01
어이구야... 복잡하군요
그럼 저는 마이크론 크루셜 MX300 275GB 사용중인데, 91% 수명이면 배드영역이 9%나 된다는 건가요?!
                         
PCMaster 2020-01
1%라도 생기게 되면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이게 블럭단위의 단점이죠...
해당 셀 앞뒤의 셀또한 수명이 다되어 갈 가능성이 높다보니
                         
모스월드 2020-01
91%수명과 배드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습니다. 위에 적은 글에도 잘못된 정보가 너무 많네요
                    
980Ti4SLI 2020-01
어이구야...
               
maronet 2020-01
PCMaster님이 설명해주신 것 처럼 EEPROM과 Flash는 다르고,
EPROM(자외선으로 지움고 재기록)과 EEPROM(전기적으로 지우고 재기록)도 근본적으로 다른 종류에요.
gmltj 2020-01
엔터프라이즈 급 고급형들은 셀이 죽을 것을 대비해서 여유 영역을 따로 만들어 놓아서 배드가 생기면 그 부분으로 대체해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합니다. 그렇지만 요즘 나오는 저가형들은 좀.... 어쨋든 쓰기 때문에 수명이 닳아서 하루에 얼마 쓰기로 몇시간의 수명을 보장한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실험실 데이터일뿐 실제 그렇게 적용이 안될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그렇다고 쳐도 94~99프로 정도의 수명이 남은 거라면 그냥 일상적인 용도로는 큰 문제 없이 작동할 겁니다.
모스월드 2020-01
유저모드에선 tBW, PBW로 보시면 됩니다. 100%이외에는 손상이라기 보다  PE 횟수를 세어서 그만큼이 남았다는 뜻이지요. PE는 스펙으로 나오고 이를 유저모드로 변환한것이 tBW,PBW로 보시면 됩니다
영산회상 2020-01
전에 구글 서버 운영에서 나온 빅데이터에 따르면 ssd는 hdd에 비해서 사용량보다는 사용시간에 민감하다고 본 것 같아요.
그와 별개로 512gb 삼성 ssd가 70만원할 때 산건 맨날 토렌트 돌리고 해도 멀쩡한데
나~중에 산 840 evo인가 하는 망작 모델은 산지 얼마 안되서 말썽이네요...(1TB모델인데... )
     
모스월드 2020-01
tBW비교해보시면 됩니다. MLC tBW와 TLC tBW차이 정도 됩니다
     
840 evo는 워낙. 말이 많은 녀석이라....
          
영산회상 2020-01
맞아요 근데 넘 늦게 알아서 as도 안되고 그냥 가끔 패치 프로그램? 돌리는슈밖에...
어드반 2020-01
수명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따라서 달라요.
동력 2020-01
사실상 이제 낸드 수명 문제는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네이버 모 SSD 커뮤니티에서 한 유저가 중국산 120G 가지고 1년째 쓰기 테스트 하고 있는데 누적 쓰기량이 4PB 를 넘어섰습니다.

CDI 에서 남은 수명은 진작에 0% 로 바뀐지 오래고.. S.M.A.R.T 에서 재할당 섹터 수가 4로 늘었지만 배드검사 해보면 아무 문제없이 쌩쌩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QnA
제목Page 1754/5708
2014-05   5143831   정은준1
2015-12   1677973   백메가
2018-04   4115   김건우
2018-02   4115   2cpumem
2019-10   4115   겨울나무
2016-08   4115   오소리
2020-01   4115   꾀돌이
2014-03   4115   아름다운노을
2019-04   4115   차평석
2018-05   4115   하데스
2014-09   4115   김준유
2016-11   4115   밤기차
2015-03   4115   나파이강승훈
2016-03   4115   Dominozlol
2018-08   4115   Sikieiki
2015-11   4115   제이든
2015-03   4115   김건우
2022-04   4115   죠슈아
2017-01   4115   astral
2017-04   4115   phose
2007-04   4115   조정우
2017-04   4115   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