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704 |
0 |
2014-05
526770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723 |
25 |
2015-12
1792723
1 백메가
|
91784 |
알리에서 반품해보신분들의 조언좀 구하고 싶습니다. (6) |
캡틴아메리카노 |
2017-11 |
4858 |
0 |
2017-11
4858
1 캡틴아메리카노
|
91783 |
RAID-5 볼륨은 일반 데스크톱 운영 체제인 윈도우 7,8 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는 볼륨… (4) |
테돌아이 |
2014-06 |
4147 |
0 |
2014-06
4147
1 테돌아이
|
91782 |
Hp 젠8 서버에 윈도우 재설치가 불가합니다. 도와주세요 (5) |
Nicoffeine |
2021-08 |
3589 |
0 |
2021-08
3589
1 Nicoffeine
|
91781 |
kt광모뎀에 연결하면 공인아이피 더주나요? (8) |
행복하세 |
2017-11 |
11568 |
0 |
2017-11
11568
1 행복하세
|
91780 |
메이보드 정체가 궁금합니다 아시는분 도움요청 (11) |
comduck |
2020-04 |
3872 |
0 |
2020-04
3872
1 comduck
|
91779 |
델 T7400 1,3 라이트 에러 (2) |
주황별 |
2014-07 |
4389 |
0 |
2014-07
4389
1 주황별
|
91778 |
워크스테이션 질문입니다. (5) |
오영정 |
2009-07 |
6317 |
0 |
2009-07
6317
1 오영정
|
91777 |
공유기에 접근"만" 안됩니다. (8) |
김효수 |
2014-07 |
19113 |
0 |
2014-07
19113
1 김효수
|
91776 |
노트북하드 용 고정나사 수량 (약 50개 정도) 구입할 만한 곳 있나요? (5) |
겨울나무 |
2015-11 |
10586 |
0 |
2015-11
10586
1 겨울나무
|
91775 |
윈도우 7 설치시 문제.... (4) |
리짱 |
2016-10 |
4495 |
0 |
2016-10
4495
1 리짱
|
91774 |
2U 서버 상판에 대형 팬을 장착해 보신분 계실까요? (4) |
Rainwalk |
2023-03 |
1663 |
0 |
2023-03
1663
1 Rainwalk
|
91773 |
HP PRODESK 400 G3 mini 바이오스 관련 문의드립니다 (9) |
파렌하잇 |
2021-08 |
7622 |
0 |
2021-08
7622
1 파렌하잇
|
91772 |
메인보드 cpu 인식 문제 도와주세요! (6) |
innersme |
2020-04 |
5698 |
0 |
2020-04
5698
1 innersme
|
91771 |
해놀접속시도인가요? (6) |
행복하세 |
2021-09 |
2495 |
0 |
2021-09
2495
1 행복하세
|
91770 |
무료로 사용가능한 3D프린터 출력용 설계 프로그램이 어떤게 있을까요? 추천 부탁드… (10) |
여수I완스 |
2021-09 |
3292 |
0 |
2021-09
3292
1 여수I완스
|
91769 |
LCD 모니터 햇빛 반사에 의한 눈부심 방지 (9) |
ZEBE |
2009-08 |
24483 |
0 |
2009-08
24483
1 ZEBE
|
91768 |
Mikrotik 장비에서 다수의 회선을 aggresive로 묶는 방법 (5) |
조성현입니다 |
2012-10 |
5876 |
0 |
2012-10
5876
1 조성현입니다
|
91767 |
tesla C2075 Bios 업데이트 (1) |
권용섭 |
2014-07 |
4337 |
0 |
2014-07
4337
1 권용섭
|
91766 |
뉴비 메일 인증 질문좀 드립니다. (2) |
라면사리추… |
03-07 |
539 |
0 |
03-07
539
1 라면사리추…
|
91765 |
타워맥5.1 부팅관련 문의드립니다.ㅠ (11) |
삐아띠 |
2021-09 |
4673 |
0 |
2021-09
4673
1 삐아띠
|
DB 서버라 접속자가 적거나 없는 시간대가 존재하니
풀로드로 24시간 가동될일은 잘 없으니 병철님 의견도 맞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유지보수와 사고대응의 측면에서 보면 시간은
곧 돈이고 축적된 데이터의 손실은 돈으로 때우기
힘들정도로 귀중하니 생각잘하셔서 결정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취미로 운영하는것도 아니고 개발 서버도 아닌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검증된 벤더 서버를 사용하시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데이터 망실에 대비해서 반드시 이중 삼중
백업솔루션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조립 시스템이 벤더보다 더 비싼 경우도 있습니다..
조립시스템의 AS는 부품단위이고 전체 시스템을 AS및 기술지원하지 않습니다..
조립서버도 3년 AS및 기술지원이 있을수 있습니다.. (단 벤더보다는 기술지원의 질이나 폭이 좋을수도 나쁠수도 있습니다..)
벤서 서버는 무조건 3년 무상 AS /기술지원은 아니고 구매시 기본 AS /기술지원이 보통 3년입니다..
벤더는 기술지원도 여러가지가 있기에 잘 알아봐야 합니다..
5년 연장 팩이나 장애 발생 접수후 24시간안에 장애 복구 팩 같은 것이 있습니다..
(이런 기술지원도 가격이 꽤 나갑니다..)
벤더 서버를 구입하면 무상AS/기술지원이 무조건 제공 되는건 아니군요;; 옵션이라니 가격이 가격이다보니 기본 제공인줄만 알았습니다.
한번 조사해봐야겠네요. 여러 의견 종합해보니 아마 제 수준으론 벤더 서버가 맞을 것 같습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박문형님^^
조립PC라 24/7이 안된다기 보다는 개인용 PC 사양이기에 24/7이 안된다는 것이죠.
본인이 PC 책임지고 관리할게 아니라면 전문업체에 맡기는게 맞습니다. 특히 벤더에서 의미하는 유지보수 및 기술지원이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지원을 의미하는것이 아닙니다.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지원이 아니라면 어떤것을 의미하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답글 감사합니다 이선호님^^
설마, 없는 상황에서 서버 장만하시려는 것은 아니지요
현재 사용중인 서버의 장 단점도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현재 사용중인 서버의 스펙도 알려주시구요
어떤 점이 아쉬운지도 말씀하시면 더 좋구요
현재 서버가 있기는 한데 예전에 했고 담당자는 퇴사했고..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뭐 이런 상황이신가요?
질문이 구체적일수록 유용한 답들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저는 이번에 이중보직으로 난생 처음 서버까지 맡을 상황이구요..구 서버PC는 제가 고쳐보려고 기를 쓰고 해봤는데 하드웨어쪽 문제가 있기도하고 2013년에 나온 제품이라 버릴 상황입니다. 그리고 정보를 얻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 2cpu에서 이렇게 선배님들께 여쭤보며 부랴부랴 얻고 있는 중인 상황입니다.
지금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여기서 독박 독박 이야기 하는데 지금이 바로 그 상황입니다
이중 보직으로 서버를 담당해야 할 것 같다는 말씀은 기존에 하던 일에 서버 관리일을 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전에 서버 관리 경험도 없구요
완전히 독박 상황입니다
이거 그냥 덥석 물었다가는 오도가도 못하게 되고 욕 바가지로 먹고 퇴사할 수도 있습니다
서버를 구축해서 뭘하시려고 하나요? (무슨 서버를 구축하시나요? 웹 서버, db 서버, 메일 서버, 백업 서버 등등)
전에 사용하던 서버내부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는 모두 가지고 있나요?
회사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모두 구매해야 하는 거는 잘 알고 계시겠지요
어쩟든 일을 최소로 줄이는 것을 연구해야 하고 특별히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도 물어 보세요
벤더 제품을 추천 드리구요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불러서 예전에 사용하던 서버에 뭐가 설치되어 있는지 자문을 받아보세요
뭐가 설치되어 있는지 알아야 하거든요
왠만하면 못한다고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리얼홀릭님!
본인이 총대메고 조립했다가 문제 생기면 완전 독박에 힘들어져요...
답글 감사합니다 FreeBSD님!!
산업용은 어쩔수 없이 조립서버 들어갑니다. 그리고 특정 소프트웨어가 들어가는거는 어플라이언스처럼 조립서버로 들어가는경우도 많습니다.
조립의 기준이란게 말만 네임밸류 제품이 아닐뿐이지 실제 안에 부품은 거이 동일한 부품들이고...
하지만 최근에 펌웨어 올리다가 난감한 상황 생기니까 서버쪽은 벤더쪽이 진리인가 싶기도 하네요.
그리고 벤더제품으로 구입했다고 유지보수는 별도입니다. 벤더가 장애분석을 해주지 않습니다. 하드웨어 불량이다 하면 그것만 교체해주지 장애에 대한 모든 변수는 하드웨어가 일어나는게 아니기에 유지보수는 별도로 가야됩니다.
서비스가 안된다고 벤더 조져봐야 답도 안나올거...
저는 당연 기술지원이라고 3년 써있길래 장애분석은 당연히 있는 줄 알았습니다.
조립서버여도 유지보수 계약을 맺으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여기서 유지보수란 하드웨어쪽 문제 생겼을때 부품 교체 정도라 보면 되는 걸까요?
펌웨어 올리시다가 난감한 상황이 생기셨다고 하셨는데 이상황에서 어떤면에서 벤더쪽이 진리인지 여쭤봐도 될런지요?
배우는 입장이라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ㅠㅠ
장애가 났는데 하드웨어 이슈 없으면 그걸로 끝입니다. 그러기에 벤더든 조립이든 유지보수업체가 필요한게 그걸 대체해줄 계약이 필요한겁니다.
펌웨어에 대한 이슈는 극히 드물긴 하지만 왠간하면 이슈 없으면 잘 안올립니다. 올리다 뻑나거나 이상증상으로 대체가 불가하면 그런게 리스크가 있다는거고 운영중인거 잘 안건들기에 뭐 걱정안해도 될 문제입니다.
유지보수 업체가 이거 하드웨어 장애인거 같다고 판명되면 그때 벤더콜해서 부품교체를 요구하는겁니다. 그전에는 벤더가 들어와도 하드웨어 체크 돌려서 이상없으면 아무리 장애상황이라고 해도 벤더가 책임질 의무와 계약은 없다는겁니다.
일단 벤더의 장점은 부품수급이 빠르다는거고 각 지역마다 2시간안에 도달할수 있는 인프라가 되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조립은 한 시대가 지나면 부품수급이 쉽지 않습니다. 중고부품을 수급하는게 더 빠를정도니까요...
일단 서버를 운영하면 제품값이 비싼게 아니고 그걸 운영하는 비용이 많이 듭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AS는 공짜라는 인식이 너무 강하고 제품구입했으면 다 해줘야지라는 인식이 너무 강해서 작은 회사들은 지원나가기 싫을정도입니다.
저의 경우는 그 후지다는 애즈락 메인보드의 일반 pc(a8 7600이었던가...) 2년 무정전으로 굴려 본 경험도 있구요, 생각보다 많은 게임회사가 조립서버로 서버팜 구성해서 서비스 잘만 합니다) 물론 떨어질때는 떨어지는데 보통 소프트웨어적인 문제구요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db서버는 커넥션 개수보다 트랜잭션 개수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100커넥션보다는 분당 쿼리가 얼마나 오고가는지를 살펴보시구요, db가 하드웨어 빠빵해서 나쁠 건 없는데 테섭같은거 굴릴 때 저는 nuc로도 디비 구축해서 잘 굴려본 경험도 있습니다.
그리고 벤더서버라고 사후지원이 좋은지는 전 잘 모르겠어요... 어차피 레이드 깨지면 사후지원이고 뭐고 소용없어서요.
업계에 있는데..
조립서버라는 것은 별로 없습니다..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많이 구입하는 서버 타입...
1. 비싼 신형 서버
2. 저렴한 중고서버
3. 극히 일부분의 조립서버 - 이 경우 중고서버로 돌아가는 경향.
가격저렴 x 5
안정성 최고
cpu 지원리스트에만 있으면 저렴하게 교체 가능
ram도 저렴하게 증설 가능
ssd hdd 역시 엔터프라이즈 중고로 증설 가능
as가 문제인데
그냥 예비푸품 충분히 갖추고 있으면 됩니다.
문제는 이걸 직접 관리할 수 있느냐겠지요.
벤더라도 고장은 납니다.
안정성 확보가 확실하게 되어야 된다면 당연히 향온향습, UPS, 시스템 이중화가 전제가 되어야합니다.
한서버가 죽더라도 다른서버가 서비스를 이어서 할 수 있게..
댓글을 읽다가 혹시나 싶어서 답니다.
솔찍히 사표내던가 다른 담당자 뽑으라고 딜하시는걸 강력 추천드립니다
서버는 통신과 같이 잘돌면 당연한거고 뮨제 생기면 온갖 책임소재를 들먹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