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sense 같은 라우터는 ecc없어도되나요?

   조회 2609   추천 0    

 자작라우터들보면 ecc없이 만들던데

24작동일텐데 ecc없어도 신뢰도가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0-02
ECC 있으면 좋지만 없는 경우가 더 많지요..

공유기도 상황이 비슷합니다..
     
maronet 2020-02
그쵸~ 메모리 장애가 그리 자주나는거라면 전세계 공유기들 난리나것죠.
SIMM 메모리 쓰기 시작한 이후로는 메모리 패리티 오류 나는거 못 본 것 같습니다.
          
OS와 Application 그리고 DATA 가 RAM에 올라가 있을때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영역이 아주 넓고 그 메모리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해서 프로세스와 데이터정보를 가지고있을때 메모리에 올려져있는 엄청난 양의 bit중에 1개의 bit가 오류를 격을 수 있는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그래서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서 ECC RAM을 쓰는데요. 라우터같은경우에는 (또는 다른 넷워크 장비) 라우팅을 해주는 어플리케이션도 싸이즈가 적은편이고 RAM에다가 올려놓고 계속해서 작업해야하는 데이터의 양도 거의 없습니다. tcp의 경우 만약 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다시 보내주고 udp의 경우 데이터에 오류가 있건말건 그냥 보내도 크게 문제없는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니 ECC RAM의 필요성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듯합니다.

예를 들어 4기가바이트에서 1비트에러 확율과 512기가바이트에서 1비트에러확율을 따져보시면 1차적인 답이 나오고, 라우터에서 욺직이는 데이터의 특성을 살펴보면 추가적인 답이 나오네요.
               
maronet 2020-02
이론적으로는 액세스 수가 많을 수록 오류 발생이 높겠죠. 혹시 지금까지 PC/서버 사용하시면서 초기 메모리 모듈 에러 말고요. 실제 운영되면서 메모리 비트 에러난거 보신적 있으세요? 전 80년대에 보고 본적이 없내요. 그래서 데스크탑 급으로 DIY하는 분들은 굳이 의미 없다 생각합니다.
현실계에서는 말씀하신 형태로 오류나는 것 보다는, 우주입자가 셀에 충돌해서 데이터유실되는 확률이 더 높을겁니다. 유럽 어디 산 높은 곳에서 그거 지속적으로 테스트 하는 분 계시더군요.


QnA
제목Page 670/5708
2015-12   1675093   백메가
2014-05   5140479   정은준1
2022-03   2611   까치산개꿀탱
2021-04   2611   홀릭0o0
2021-04   2611   makesound
2020-08   2612   머리감자
2023-09   2612   홍익
2018-12   2612   Jasper
2021-06   2612   피카
2018-12   2612   가상화공부중
2023-01   2612   딥마인드
2021-04   2612   새로운차원
2021-07   2612   narnarhi
2019-12   2613   galaxyfamily
2024-05   2613   앙끄
2020-08   2613   백룡
2022-04   2613   epowergate
2019-03   2613   winner712
2021-04   2613   새로운차원
2019-04   2613   comduck
2019-11   2613   IPA1000
2021-02   2613   푸치코